20211227 #시라는별 72
이 시대의 사랑
- 최승자
불러도 삼월에는 주인이 없다
동대문 발치에서 풀잎이 비밀에 젖는다.
늘 그대로의 길목에서 집으로
우리는 익숙하게 빠져들어
세상 밖의 잠 속으로 내려가고
꿈의 깊은 늪 안에서 너희는 부르지만
애인아 사천 년 하늘 빛이 무거워
<이 강산 낙화유수 흐르는 물에>
우리는 발이 묶인 구름이다.
밤마다 복면한 바람이
우리를 불러내는
이 무렵의 뜨거운 암호를
죽음이 죽음을 따르는
이 시대의 무서운 사랑을
우리는 풀지 못한다
내가 최승자 시인의 시를 처음 접한 것은 작년 늦가을 안도현 시선집 『그 작고 하찮은 것들에 대한 애착』에서였다. 그 시선집에 실린 최승자 시인의 <개 같은 가을이>는 미친 개가 사람을 덥석 물기라도 하는 듯 내 마음을 덥석 물었더랬다. 그 길로 나는 시인의 첫 시집 『이 시대의 사랑』 을 구매해 일주일동안 읽었다. 시집을 관통하는 시인의 서글픈 내적 정서가 내 마음을 천둥처럼 크게 울렸던 것을 나는 기억하고 있다.
개 같은 가을이 쳐들어 온다.
매독 같은 가을.(<개 같은 가을이> 중)
안도현 시인은 이 강렬한 시구를 두고 ˝이 도발적 직유 하나로도 최승자는 시인이다˝ 라고 말했다. 그렇다. 최승자는 시인이다. 천상 시인이다. 그런데 가난한, 그것도 찢어지게 가난한 시인이다. 그것도 모자라 게으르기까지 한 시인이다. 가난을 벗어날 길이 없어 보이는 앞길 막막한 시인. 그런 시인이 몇 년만에 시집 대신 복간 산문집으로 독자 곁으로 돌아왔다. 긴 손가락에 담배 끼워 입에 문 채 연기를 피워올리는 나이 든 시인의 모습이 너무 반가워 『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부터 냉큼 사서 틈틈이 읽었다.
산문집 2부 <양철북 유감>이란 꼭지를 읽다, 아, 시인의 데뷔작이 이런 배경으로 탄생한 거였구나를 깨닫고책꽂이에서 『이 시대의 사랑』 을 꺼내 다시 읽었다.
[1975년 1월, 졸업을 한 달쯤 앞둔 대학생 청년이 간첩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는 밤에 애인과의 데이트 후 집으로 돌아가는 중에 노상에서 체포되었다. 뒤에 옮겨 적은 글들은 간첩 혐의로 체포된 그 청년이 1975년 5월 자신의 독방 안에서, 자신에게 차입되었던『양철북』이라는 책을 반환하면서 그 뒤표지 안쪽에 편지처럼 써넣은 글이었다. / 그리고 그 책을 차입해주었던 사람은 바로 나였다. 번호가 매겨진 부분은 다음 차입시에는 그 책들을 넣어달라는 뜻이고, 나머지 부분은 자신의 심경을 시처럼, 넋두리처럼 적어본 것이리라. 1975년은 그 청년에게는 물론
내게도 엄청난 양의 절망의 피를 흘리도록 강요했던 한 해였다(그때 그 절망적인 체험의 한가운데서 나는 내 데뷔작들 중의 하나인 <이 시대의 사랑>이라는 시를 썼고, 다시 7년 뒤 그때의 체험을 뒤돌아보며 <197+년의 우리들의 사랑>이라는 시를 썼다.)](115쪽)
간첩 혐의로 체포된 이십대 청년이 차가운 독방에 갇힌 채 『양철북』 뒤표지 안쪽에 써넣은 글은 이것이었다.
[다섯 자 여덟 치 / 내 뼈를 누일 곳 없어 / 빗발 스며드는 고분 속에 누웠다. / 곰팡의 색깔은 요염하고 / 그 속에서는 역사의 냄새가 난다. / 75년 5월.]
최승자 시인이 <이 시대의 사랑>이라 썼던 저 시대의 청년들은 ˝발이 묶인 구름˝으로 ˝밤마다 복면한 바람˝의 호출을 받고 시대의 ˝뜨거운 암호˝를 해독해 나갔다. 모든 젊은이가 그리 살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저 연인들은 ˝죽음이 죽음을 따르는 / 이 시대의 무서운 사랑을˝ 풀어 보려 애쓰며 살았고, 살아냈다.
25세 데뷔 시인이 달콤하거나 아름다운 생과는 거리가 먼 삶을 45년간 살아낸 후 70세 할머니 시인으로 돌아와 말한다.
오래 묵혀두었던 산문집을 출판하게 되었다.
오랜 세월이 지난 것 같다.
지나간 시간을 생각하자니
웃음이 쿡 난다.
웃을 인인가.
그만 쓰자.
끝.
시인은 고작 38세의 나이에 스스로를 ˝메마른 불모의 시인˝이라 불렀다. ˝살점 하나 붙어 있지 않고 먹을 수도 없는 불모의 딱딱한 뼈다귀만을 내놓는 시인˝이라고도 했다. 그러나 잎사귀 떨군 채 가녀린 몸뚱이 하나로 시린 겨울을 버텨내는 나무들이 기어코 꽃봉오리를 밀어올리듯, 천상 시인 최승자가 푹푹 고으면 구수한 맛을 내는 찐한 뼈다귀 국물맛 시로 다시 돌아와 주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