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16 #시라는별 58
나의 삶
- 체 게바라
내 나이 15살 때,
나는 무엇을 위해 죽어야 하는가를 놓고 깊이 고민했다
그리고 그 죽음조차도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하나의 이상을 찾게 된다면,
나는 비로소 기꺼이 목숨을 바칠 것을 결심했다
먼저 나는
가장 품위 있게 죽을 수 있는 방법부터 생각했다
그렇지 않으면,
내 모든 것을 잃어버릴 것 같았기 때문이다.
문득,
잭 런던이 쓴 옛날이야기가 떠올랐다
죽음에 임박한 주인공이
마음속으로
차가운 알래스카의 황야 같은 곳에서
혼자 나무에 기댄 채
외로이 죽어가기로 결심한다는 이야기였다
그것이 내가 생각한 유일한 죽음의 모습이었다
이산하 시인이 편역한 체 게바라 서거 40주년 추모시집 『체 게바라 시집』 을 몇 시간만에 다 읽었다. 총 79편의 시가 실려 있으나 짧은 시들이 많고 시구들이 어렵지 않아 잘 읽힌다. 이 시집은 체 게바라의 마니아라 자칭하는 이산하 시인이 시에 비견할 만한 게바라의 간결한 글들을 시집 형태로 엮어 보고 싶은 바람에서 탄생한 것이다. 이산하 시인은 ˝이 시집을 체 게바라의 찢어진 군화를 꿰매고 구겨진 전투복을 다림질하는 마음으로 엮었˝다고 서문에서 밝혔다. 사람은 무엇으로 알 수 있는가. 그 사람이 읽은 책과 쓴 글로 알아볼 수 있다.
체 게바라는 어린 시절부터 책을 끼고 살았다고 한다. 이 습성은 총알이 빗발치는 전장터에서도 이어져 ˝전투 중에도 틈만 나면 책을 읽고 시와 일기를 썼다˝고 한다. 프리모 레비와 닮은 점이다. 나는 체 게바라를 지금껏 혁명가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 시집을 통해 시인이자 한
인간으로서의 체 게바라를 새로이 알게 되었다. 샤르트르는 그를 두고 ˝20세기의 가장 완전한 인간˝이라고 말했다는데, 나는 언제나 민중의 편에
서고자 했던 결연했지만 번민했던 불완전한 인간을 볼 수 있었다. 그는 민중을 위해 기꺼이 목숨을 내놓았고, 그가 바란대로 ˝품위 있게˝ 죽고자 했다.(잭 런던 단편 <불을 피우기 위하여>) 처형 직전 그는 방아쇠 당기기를 주저하는 볼리비아 병사에게 되려 호통을 쳤다고 전해진다. ˝당신이 날 죽이려고 온 것을 알고 있다. 떨지 말고 방아쇠를 당겨라! 당신은 단지 한 사람을 죽이는 것 뿐이다!˝(<나무위키>에서)
사실, 이 시집을 읽고 책을 덮으면서 든 생각은, 체 게바라의 시대는 저물었다는 것이었다. 적어도 내게는 그런 듯했다. 그리 멀지 않은 나라, 미얀마에서 독재 타도를 외치는 민주주의 투쟁이 지금도 벌어지고 있지만, 게바라식의 게릴라전은 이 시대와 맞지 않는 전투 방식 같다. 다만 민중을 사랑하고 평등을 지향한 그의 정신만큼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의 이미지가 어떻게 소비되든 별처럼 오래 빛날 것이다. 그가 읽은
책들과 쓴 시들 덕분에. 체 게바라의 일대기가 담긴 일기와 편지, 신문기사, 사진, 문서 등은 2013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탐독>
올바른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한다
‘해적과 달‘은 라스콜리니코프로 가는 길을 열어주었다
엘리샤에서 네루다까지
그리고 열띤 토론은 또 다른 책을 탐닉케했다
슈테판 츠바이크,
보들레르와 셰익스피어
엥겔스와 도스도예프스키
크로포트킨과 트로츠키
폴 발레리와 가르시아 로르카
그 외 많은 아니키스트들,
레온 펠리페의 ‘훈장‘
레닌의 ‘유물변증법‘
모택동의 ‘신중국론‘
샤르트르의 ‘벽‘
마르크스의 ‘경제학, 철학 수고‘
네루다와 랭보
. . .
특히
마야코프스키와
네루다의 시에 탐닉했다
<체 게바라의 유언>
난,
지금,
혁명의 불멸성을
생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