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26 #시라는별 31
비켜준다는 것
- 안도현
둥글레 새싹이
새싹의 대가리 힘으로
땅을 뚫고 밖으로 고개를 내민 게 아니다
땅이 제 몸 거죽을 열어 비켜주었으므로
저렇드키, 저렇드키
연두가 태어난 것
땅이 비켜준 자리
누구도 구멍이라 말하지 않는데
둥글레는 미안해서 초록을 펼쳐 가린다
안도현 시인의 <<북항>>에 들어 있는 시다. 얼어붙어 땅이 따스한 기운에 속살을 들썩이는 초봄에 올렸으면 더 좋았을 시다. 둥글레 새싹이 ˝땅을 뚫고 밖으로 고개를 내민˝ 것은 ˝땅이 제 몸 거죽을 열어˝ 길을 터 주었기 때문이라고 시인은 말한다. 나는 이 시를 이렇게 읽었다. 밀어올리는 힘과 열어주는 힘이 만나 ˝연두˝를 태어나게 하고 ˝초록˝을 키웠다고. 두 힘이 합쳐져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 했다고. 순우리말로 본다는 뜻의 봄을 열어보였다고.
며칠 전 책의 날이 결혼기념일이었다. 내가 열어준 길 따라 자기네 힘 닿는 데까지 대가리를 밀어올려 내 몸 거죽을 뚫고 세상 밖으로 나온 우리집 두 연두는 파릇파릇한 초록이 되었다. 내게 난 구멍을, 요즘 들어 바람 숭숭 드는 그 구멍을 두 초록이 따로또같이 바람 들지 않게 자신들의 푸름으로 가려준다. 물론 이따금씩만.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네 바퀴로 굴러가는 가족 자동차의 앞바퀴 두 개가 점점 닳고 있다는 것. 뒷바퀴 두 개에 자리를 비켜줄 날이 언제고 도래하리라는 것. 그렇다 해도 아직은, 언제나 봄날 같기만 한 아이들이어서 내게는 봄이 조금 더 오래 머물겠구나.
둥글레의 어린 새싹은 나물을 해먹기도 한단다. 신선과 선녀가 먹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젊음과 아름다움을 유지하게 해준다고. 새싹은 이미 먹기 글렀으니 둥글레차라도 마셔 볼까.(첫 사진)
내가 찍은 사진은 광대나물과 꽃잔디다. 광대가 분장을 한 꽃 같다 해서 광대나물이고 꽃이 땅을 뒤덮듯이 피는 꽃이라 꽃잔디 혹은 지편 패랭이꽃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