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 빈치 코드 1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이창식 번역 감수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이후 꺼져만 가던 기호학의 흥미를 되살린 책으로 기록되지 않을까.
최근의 기호학을 모티브로 한 책들은 다빈치 코드의 연장선에 있다고 봐도 무방할 듯.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역시 위대한 인물인 듯.. 르네상스가 지난지 그렇게도 많은 시간이 흘렀건만.. 아직도 그와 그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작품들이 소설, 영화, 희곡들에서 차용되는걸 보면 말이다.
뭐 무신론자인 내가 보기엔 역사적 사실에 약간의 조미료를 친 정도로 받아들였지만, 기독교를 믿는 나라들에선 그게 아닌듯.
그냥 지적 유희를 즐기는 타임에겐 딱 맞는 작품
역시 이 작품도 불핀치의 그리스로마신화를 읽은 상태에서 본다면 훨씬 그 재미를 더하긴 마찬가지... 서양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로마신화는 꼭 읽어야 한다는걸 다시한번 느끼게 해준 작품.
모르긴 몰라도 그리스로마신화와 장미의 이름, 이 두작품을 먼저 읽고 읽은 사람들이 훨씬 더 즐거움이 컸을꺼라 생각한다.
친근하면서도 기발한 소재와 스토리의 구성이 탄탄함을 볼 때 조만간 영화로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지 않을까. 이 정도 분량의 내용이라면 영화로 만들어도 충분히 재미있을 듯.
국내에서도 이인화의 영원한 제국이라는 작품이 있었지만, 사실 에코의 장미의 이름과 내용 전개나 여러가지 면이 너무나 흡사해서 실망했던 적이 있는데... 이런 류의 기호학 작품이 좀더 많이 나와 지적 유희를 즐기게 해줬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런 면에선 오세영의 만파식적이나 최근의 자산어보 같은 작품도 추천할만 할 것 같다.
신과의 만남이라는 면에서는 로빈 쿡의 발작도 약간은 한다리 걸친거 같기도 하고...
아무튼 재미있는 책임에는 분명하다. 하루에 2권을 다 읽어버려야 직성이 풀릴 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