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박학다식한 예일대의 법학교수가 지어낸 프로이드의 탐정화라고나 할까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하지만 어렵게만 느껴지는 프로이드, 융 등 정신분석학자들이 등장하는 책
지적 유희를 즐기는 독자들에겐 소재 자체로도 어필이 될 만한 책인 것 같다.
책을 산지는 한참 되었지만 이제서야 읽게 된 걸로 봐선 나의 지적 유희 수준으로는 감당하기엔 좀 버거운 느낌이랄까.
일단 정신분석학을 잘 모르는 일반 독자들에게 프로이드는 멀게 느껴지는 저세상 인물이니까..
하지만 그냥 차분하게 범죄수사물로 생각하고 읽으면 나름대로 재미있는 책
550 페이지 분량의 책이 그리 두껍게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스피드하게 읽어나갈 수 있다.
한 100페이지까지가 어렵다고나 할까.
한창 유행했던, 아니 지금도 하고 있나.. 아무튼 팩션 형태의 소설인데 저자의 개인적 취향이 많이 반영된 책이라고나 할까.
스카페타 독자들이라면 그리 어렵지 않게 읽을 정도의 수준인 듯 하다.
물론 중간중간에 낯선 정신분석학 용어나 신경학자들이 나와 머리를 어지럽게 하지만, 그냥 등장인물이라고 생각하고 거기에 너무 집착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책을 끝까지 읽고, 에필로그, 저자의 말, 옮긴이의 말까지 읽어보는 재미는 영화의 보너스 트랙과도 같은 재미를 준다.
제목은 수도 업이 들어보았을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입문,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등의 말이 지겹도록 반복된다는 점이 옥의 티라면 티.
역사적 사실에 기반했지만, 그 사실로 이 정도 소설의 구조를 만들어낼 정도라면 그 저자는 정말 대단한 지적 능력을 보유하지 않았나 싶었는데 역시 예일대 법과 대학 교수.. 뭐 그 정도면 인정하고 넘어가야지.
프로이드 그리고 햄릿의 얼개 구조를 유지해나가기 위해 애쓰는데 사실 햄릿의 to be or not to be 라는 대사.. 우리나라에선 그냥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로 인식되어있는 그 문장이 소설 내에서 계속 되뇌어진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난 지금도 그게 그렇게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아마도 서양문학에 대한 나의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겠지만~
아무튼 책은 재미있었고, 팩션류를 좋아하거나, 스카페타의 책을 좋아하는 독자의 한사람으로써 한번 읽어볼만 한 책이라는 점에는 동의한다.
단, 차분히 하루 이틀만에 한번에 읽을 것.. 늘어지면 읽기 어려운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