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가 과연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세계에서 유일하게 수익을 내는 것으로 알려진 파나마 운하... 아마도 우리나라의 롤모델로 자주 거론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자주 거론되겠죠.

그렇지만, 자연을 거슬러서 좋은 결과 있었던 적이 별로 없는 것으로 보아 마냥 기대되지많는 않네요.

부동산 값은 춤추겠지만, 그 많은 비용 대비 효과가 과연 있을지는 의문이네요. 그리고 환경파괴에 대한 댓가로 과연 어떤 결과가 있을지도 걱정이구요.

출처: http://bbs3.worldn.media.daum.net/griffin/do/country/bbs/read?bbsId=C005&articleId=11781&pageIndex=1&searchKey=&searchValue=

파나마는 앞으로 한참 논쟁이 될 한반도 대운하에서 자주 거론될 것입니다.

정부에서 잠시 보류라고 했지만 아직 공식 포기나 파기사안은 아니니 언제든지 수면으로 올라 올 가능성이 있겠지요.

복잡한 상관관계를 떠나 일단 파나마운하 배가 통과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한번 볼까요.

 --------------->

진입하는 배를 맞을 준비에 분주합니다.

이 건물은 양쪽 수로를 굽어볼수 있는 중앙통제실처럼 보이네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파나마는 운하통과비도 쏠쏠히 받고 이런 관광부수입도 올리고 있죠.

산업시찰이나 관광등 어떤 목적을 가지고 왔던 이나라에 들어오면 파나마를 대변하는 운하를 누군들 먼저 찾는 것 같습니다.

참 저는 한반도 운하를 누가 거론하면 철도를 십분 활용하자는 주의입니다.

워낙 많은 전문가들이 외국(특히 수에즈와 파나마)운하를 귀가 닿도록 예로 들었고 지리시간에도 친숙해진 현장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기중이던 대형선박이 1차갑문을 통과후 중앙쪽으로 다가오는 모습입니다. 

저 검은색 선박은 동양회사 선박이겠지요.

전면쪽 초록색도 선원들 구성을 보니 동양계로 보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게 아마 2차갑문일 것입니다.

물이 차서 배가 수월케 움직일 여건이 되면 이리 갑문을 엽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육중하게 열리는 갑문.

하루에 저 과정을 얼마나 되풀이하는지 모르지만 역시 모두 동력이 작용해야만 하지요.

당연히 물을 채우고 빼는 과정도 엄청난 과정과 수치들이 필요한 건 두말하면 잔소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양쪽에 있는 차량은 예인차량으로 죄다 일본제란 말이 있네요.

기차니 아니니 하는 말도 있지만 기차로 보기에는 웬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때론 예인하는 차량인지 배에 의존하는 것인지 모를 이상한 장면도 연출합니다.

적당히 물이 차오르면 예인선이 별반 필요없지만 임무를 마칠 때 까지 예인선은 좌우 양쪽에서 견인역할을 충실히 합니다.

기관실과 통신사만 바쁠까 나머지는 이리 한가로이 과정을 구경하고 때론 관광객들에게 손을 흔들어주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장면.

혹 넘어지지 않을까 보는 제가 더 위태롭네요.

저 로프들은 고래심줄처럼 튼튼할거라 믿어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순번을 기다리는 선박들이 대기하고 있다가 물이 차오르고 갑문이 열리면 안쪽으로 진입을 합니다.

기다리는 동안 저 배에서는 뭘 하는 것일까요?

육안으로 확인해도 해수면 차가 져보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항상 해오던 일이라서 저 갑문위를 수시로 나다니는 기사들은 그러려니 하겠지만 실제 물이 채워지기전의 갑문과 수면을 보면 약간의 현기증이 있을 수도 있어보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물을 채우고 빼는 과정은 빠른 것 같습니다.

어느 기계실에서 부지런히 사람을 대신해 기계가 일을 하고 있는 결과겠지만.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역량은 이런 운하를 봐도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조물주의 설계방식을 바꿀때는 댓가가 항상 비쌌습니다.

꼭 필요한 곳만 손대고 개발하여도 부작용들이 많은데 무조건 파헤치고 새로 뜯어 고치는 것이 능사는 아니지요.

갑자기 저 바닥까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일정정도의 수위가 항상 유지될 것이니 그건 어림없는 생각이지요.

미라플로레스 갑문통과 모습을 관광객들에게 주로 개방한다 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별개로 분리된 갑문이 합쳐지는 것도 그렇지만 그 위를 걸어다니며 업무를 보는 모습도 신기합니다.

물이 완전히 빠진 쪽은 차오르기전까지 가급적 바로 근처에서는 그쪽을 안보는 것이 좋을 듯.

선박 바닥이 땅에 닿으면 당연히 암초에 걸린 것 처럼 배가 못움직이니 얼른 뺀 만큼 물을 채워야겠죠.

처음에는 착각하고 저리 조금 부어지는 물-사실은 위쪽 갑문에서 누수된 물처럼 보임-이 안을 채우는 줄 알았죠.

어느 세월에.

보이지않는 손에 의해 물은 갑문 가득 채워지는 중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요 녀석은 참 외형적으로 봐도 튼실하게 생겼네요.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하게 믿음이 갑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이 채워지고 수면이 같아지면-물론 앞배가 과정을 다 마치고 지나가야만-저리 다른 배가 진입합니다.

여기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몇시간 아니 며칠을 기다리고 엄청난 통과비를 준다고 해도 삐잉 돌아가는 것보다 100배 나으니-지도로 확인해 보면 알겠지만-그것이 더 경제적이라 대기하면서 순서를 기다리지요.

다만 여기 운하 규격에 맞는 배만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구요.

경제성의 논리, 환경의 논리 다 필요없이 운하문제는 상식적인 잣대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한국은 알다시피 운하가 정말 필요없는 나라입니다.

나중 통일되면 한반도마저 티벳처럼 먹어들려는 중국에게 영토경계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 북한과 중국사이에 운하가 필요하다면 또 모를까.

근데 그럴 필요는 없겠지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몇번의 물채우기,빼기를 반복하면 중앙을 통과한 선박은 목적지를 향해 유유히 빠져나갑니다.

이런 과정들을 통하여 대서양배는 태평양으로, 태평양 배는 대서양으로...

전진 방향에는 굳이 대기하는 배가 있을 필요가 없어서인지 한결 뒷쪽보다 여유로워보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이 채워지는 동안 현장 기사들은 부지런히 다니면서 또 다른 선박통과를 위해 점검하고 또 점검합니다.

1913년이란 숫자가 확연히 들어옵니다.

 

파나마 운하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 하나를 잠시 언급하자면

수에즈 운하를 성공적으로 완성한 사람이 파나마 운하도 예상대로 자신있게 추진할 거라 여기고 뛰어들었는데 결과는 5년내 도산이 되어 미국자본으로 넘어갔다지요.

과거의 실적과 경험은 소중하지만 시대가 다르고 상황이 다른 것을 무시하고 뛰어든 결과를 보는 것 같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파나마 운하는 파나마이기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일 수 밖에 없구요.

운하 통과비 많이 받고 덤으로 관광수입까지 얻는 파나마 본받자고 주장하는 찬성절대지지자분들은 파나마가 절대교과서로 보이는 것은 아닐지 우려됩니다.

 

파나마는 파나마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인데.

 

영어방송에서는 여기를 통과하는 선박들 언급하다 한국이름이 중국과 일본언급후 쏙 빠졌는데 그나마 에스빠뇰 방송때 '꼬레아'라는 나라를 언급해주네요.

 

http://cafe.daum.net/7080folkso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