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키루 - Living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그리고 인간에 대한 절망 그리고 희망. "살아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땀을 닦는다. 처음엔 더위에 흘린 땀이라 생각했지만, 아니다. 더위로 흘리는 땀은 외부의 열기를 이기지 못해 몸속에서 밀어내는 땀이다. 내보내려는 힘과 남아있으려는 힘이 서로 부딪히는 치열한 전투. 언제나 지는 쪽은 인간의 나약한 육체 쪽이다. 닦아내려 손을 대면 언제나 뜨듯하고 끈적인다. 마치 날선 칼날이 나약한 몸에 구멍을 내어 몸 밖으로 쏟아지는 피처럼. 하지만, 이번에 흘린 땀은 식어있었다. 몸의 긴장이 풀려 저 스스로 흘러나온 물이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이번에 출간된 김영하 작가의 단편집 제목은 이 책에 수록된 네 번째 단편 「밀회」에서, 더 정확히 얘기하자면 92쪽 위에서 13번째에서 15번째 줄에 걸쳐있는 혹은 밑에서 6번째에서 8번째 행에 걸쳐있는 문장의 한 구절을 따온 것이다. 처음에 이 제목을 접했을 때는. 마치 김경주 시인의 시집 『나는 이 세상에 없는 계절이다』를 따라한 치기어린 겉멋이라 생각했었다. 그 의미를 알기 위해선 책을 읽어야하고, 꼼꼼히 읽은 독자들만이 알아챌 수 있는, 작가가 독자에게 베풀 수 있는 멋진 은혜(혹은 선물).  

흐릿한 눈으로, 침대에 몸을 파묻고 한 편 한 편 심드렁하게 읽던 중, 서울의 온도가 35도에 가깝게 다가간다는 아나운서의 끈적끈적한 목소리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것을 들은 지 몇 분 지나지 않았는데, 난 까닭 없이 식은땀을 흘리고 있었다. 소설집의 거의 끝을 향해가고 있는 「퀴즈쇼」에서였을 것이다.  

이번 단편집에 수록된 「퀴즈쇼」는 2007년에 출간한 장편 『퀴즈쇼』와 다르면서도 같은 작품이다. 단편 「퀴즈쇼」의 기본 골격은 장편 『퀴즈쇼』의 민수와 지원의 이야기를 조금 변주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읽고 있는 어느 순간, 나와는 상관없을 거라 생각한 공포가 순식간에 내게 범람했다. 살인, 그리고 죽음.  

여주인공 은이의 부모와 오빠는 한순간에 유명을 달리했다. 어느 한 연쇄살인범이 "방범창을 장도리로 뜯고 안으로 들어"가 은이의 부모를 장도리로 내리쳐 죽이고, 오빠는 목을 졸라 살해한 후 유유히 사라진 사건이 발생했다. 후에 그 연쇄살인범이 잡혔을 때, 그는 이런 말을 했다고 했다. "차를 몰고 돌아다니다가 문득 영감이 떠오르면 차에서 내려 자신에게 영감을 준 집으로 들어"가 살인을 저질렀다. 물론 우리가 살면서 연쇄살인범을 만날 확률은 "0.0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것은 "논리의 세계"에서나 벌어질 일이다. "현실세계"는 다르다. 우리가 살면서 한강다리가 무너질 것이라 생각한 적이 있었나? 백화점이 무너질 것이라 생각한 적은? 한창 일하고 있는 건물에 비행기가 부딪힐 것이라 생각한 적은? <추격자>의 개미슈퍼 아줌마는 무식해서 그렇게 죽었나?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그 비극은 우리에게는 "놀라운 행운"이 된다. 김영하는 우리와는 전혀 상관없을 것이라 생각하는 저 멀리 있는 공포를 슬그머니 우리의 일상 곁에 놓아둔다. 그는 이미 일어난 과거의 이야기를 소설로 풀어낸다. 그리고 소설을 읽고 있는 우리에게 시제를 살짝 바꿔 묻는다. 정말 그렇게 안녕할 거라 확신하세요? 당신이 앞으로 살아가면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악몽을 꿨다. 하늘에 불꽃이 일어나 찢어지는 비명을 지르던 지난 새벽에, 나는 보고 말았다. 노란색 우비를 입고 4층 빌라를 올라 방충망을 뜯어내고 들어와 내가 누워있는 침대 앞에 선 한 사내의 모습을. 가위에 눌렸다. 소리를 질렀지만 목구멍 안에서 맴돌 뿐이었다. 사내는 (칼이 아닌) 긴 송곳을 천천히 들어올렸다. 혼신의 힘을 다해 거의 터진 목소리에, 놀란 아내가 잠을 깨웠다. 밖엔 비바람이 몰아쳤고 난 멍하니 있었다.  

아침에 일어나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에 수록된 단편 소설들을 하나씩 훑어보았다. 「로봇」, 「여행」, 「악어」, 「밀회」, 「명예살인」, 「마코토」, 「아이스크림」, 「조」, 「바다이야기 1」, 「바다이야기 2」, 「퀴즈쇼」, 「오늘의 커피」, 「약속」. 각각의 이야기들은 제각기 다른 빛을 뿜고 있었지만, 감히 규정된 흐름으로 엮어본다면, 그것은 상실과 공포다. 그가 다룬 상실과 공포는 일상과 밀접하기도 하지만 때론 멀리 떨어져있기도 하다. 그의 소설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은 일상과는 멀리 떨어진 사건들이다. 일반인들이라면 신문에서나 접할 수 있는, 0.01% 정도나 겪을 수 있는 일들이다. 하지만, 그 사건을 겪는 이들은, 0.01%의 특별한 사람들이 아닌, 바로 우리들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다.   

확실히, 동생이 사고를 당해 회사 사장에게 돈을 빌릴 확률은, 프랑크푸르트에서 헤어진 옛 애인을 만날 일은, 내 얼굴 때문에 회사 매출이 오를 일은, 국문학 박사과정의 일본인을 만날 확률은, 기름 맛 나는 아이스크림을 먹을 확률은, 일하는 매장에서 엄청난 물건을 도둑질을 할 일은, 연쇄살인범을 만날 일은, 주먹다짐으로 다른 사람의 코뼈를 부러뜨릴 일은, 다짜고짜 돈을 빌려달라는 여자를 만나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돈을 갚지 못해 사장에게 몸으로 때우는 사람은, 사랑 때문에 죽는 사람은, 매출 때문에 죽는 사람은,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을 온전히 오해해 감정의 골을 수습하지 못하는 사람은, 일 때문에 기름 맛 나는 아이스크림을 앉은 자리에서 4개나 먹어치우는 사람은, 타락한 사람은, 죽은 부모의 돈을 부러워하는 개새끼들은, 그래서 내 코뼈를 순순히 대주는 사람은, 집나간 아내를 찾는 사람은 우리 주위에서 (쉽지는 않겠지만)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어쨌거나, 우리들은 희극적 혹은 비극적 혹은 그 둘이 섞인 채로 살아간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인의 사무라이 - The Seven Samurai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구로사와 감독의 경이로운 활극 액션! 활동사진의 쾌감 그리고 인간에 대한 예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프 벡 로니 스콧 라이브 - Jeff Beck at Ronnie Scott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멋진 공연, 멋진 연주. 다만 실황이 아닌 필름으로 봐야하는 서글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페라의 유령 (TV 시리즈-1990) - [초특가판]
토니 리차드슨 감독, 버트 랭카스터 외 출연 / DVD 2002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토니 리처드슨 감독이 1990년에 연출한 <오페라의 유령>은 2부작 미니시리즈입니다. 편당 1시간 30분가량으로 두 편을 합치면 3시간이 넘는 엄청난 러닝타임입니다. 그래서인지 이 영화는 다른 판본의 <오페라의 유령>에 비해 한결 여유로운 진행을 합니다. 중요한 모티프는 가스통 루르의 원작소설에서 가져왔지만, 디테일한 요소들은 조금씩 바꾸었으며, 새로 들어온 인물이나 사건도 있습니다. 유령-에릭의 부모 이야기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드라마에는 과도한 플래시백이 두 번 등장합니다. 하나는 라울 백작과 크리스틴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장면이고, 다른 하나는 (소설에는 없는) 유령-에릭의 부모 이야기입니다. 이런 플래시백은 영화에서였다면 극의 흐름을 방해하는 장치로 쓰여 역효과를 일으키겠지만, 드라마에서는 오히려 장점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중간 중간 광고가 삽입되어 극이 끊기는 드라마의 입장에서는 이런 플래시백이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지요. 오히려, 한 회의 드라마를 한 편의 영화처럼 받아들이는 대한민국의 공중파 드라마에서는 어울리지 못하는 문법이기도 합니다.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차이 혹은 단막극과 영화의 차이가 무엇인지도 따져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기도 하겠지만, 지금 이 자리에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이 드라마가 의미 있는 것은 소설 『오페라의 유령』 영상버전의 완전판에 가까운 모습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미스터리 구조의 이야기와 크리스틴의 천상의 목소리를 감상할 수 있는 매력적인 이야기가 드디어 화면에 펼쳐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조금 안타깝게도 이 영화는 미스터리 구조를 포기한 대신 멜로를 택했습니다. 영화의 초반에 미스터리의 주인공들이 패를 펼쳐놓기 때문에 이 영화에는 서스펜스의 긴장이 없습니다. 대신 유령-크리스틴-라울의 삼각관계가 펼쳐지고, 크리스틴은 이 매력적인 두 남자 사이에서 갈등할 뿐입니다. 아! 이건 완전히 『공포의 외인구단』이야기입니다! 혜성과 동탁 사이에서 번민하는 엄지의 이야기이죠!   

 

한 가지 더 아쉬운 것은 이 영화의 결말부를 소설이 아닌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뮤지컬에서 가져왔다는 점입니다. 유령과 크리스틴이 서로 노래로 화답하는 것은 소설에는 없고 뮤지컬에만 있는 장면이지요. 아더 코빗의 각본은 뮤지컬을 너무 많이 참조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드라마는 소설과 뮤지컬 사이에 위치한 아쉬운 작품이 되었습니다. 아마도 이 드라마가 기획된 것도 뮤지컬의 선풍적인 인기에 힘입어 제작된 게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오히려 조엘 슈마허 감독의 <오페라의 유령>은 이 드라마에 빚을 진 게 아닐까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드라마는 매력적인 배우들로 가득합니다. 크리스틴 다에를 맡은 테리 폴로는 역대 크리스틴에 비해 주눅 들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가장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준 배우는 카를로타 역을 맡은 안드리아 페레올입니다. 온갖 악행과 온갖 고난을 겪는 그녀의 모습을 보고 있자면, 도저히 웃음을 견디기 힘들 지경입니다. 거대한 오페라 극장과 오페라 장면은 그 자체만으로도 장관입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0-08-06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자 주인공 정말 청순하군요.^^

Tomek 2010-08-06 13:28   좋아요 0 | URL
<미트 패어런츠>시리즈에도 나왔다는데 어디에 나왔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반면 TV에서는 많이 활동했다는데, 제가 본 작품은 하나도 없어서...
ㅠㅠ

2010-08-06 16: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8-07 08: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할로 2013-07-04 0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팬텀을 연기하신 분의 이름은 뭐에요??

Tomek 2013-07-11 08:09   좋아요 0 | URL
아무래도 크레디트를 확인해야 될 것 같은데, 지금 상황으로는 잘 모르겠어요.

phantom 2014-03-10 01:34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찰스 댄스입니다 .. 얼음과 불의 노래에서도 출연했어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팬텀이라 지나가다 댓글 달고 갑니다

Tomek 2014-03-21 11:16   좋아요 0 | URL
phantom님,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