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흑산 - 김훈 장편소설
김훈 지음 / 학고재 / 2011년 10월
평점 :
김훈의 소설 흑산에는 이야기가 없다. 물론 그의 소설엔 수많은 등장인물들이 등장하며 그 인물들은 제각기 사연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가 소설적 이야기로 읽히지 않는 것은 거대한 맥을 따라 서사를 추동해 나가는 대부분의 소설들과 김훈의 소설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들은 저마다 이야기를 가지고 있으나 그것은 그마다의 이야기일 뿐 소설의 이야기가 아니다. 흑산에 유배당하는 정약전도, 조선 천주교회의 지도자로 성장한 황사영도, 황사영의 뜻에 따라 먼 길을 오고 가는 마부 마노리도, 육손이도 박차돌도 아리도 자신의 이야기는 간직하고 있지만 이 소설의 주인공은 아니다. 때문에 이 소설은 소설로서 읽히기 보다는 거대한 이미지로 읽힌다. 그것은 이 소설이 제목으로 삼고 있는 흑산과 같다. 김훈은 인물들이 살았던 시대에 대해 어떠한 주관적 견해도 넣으려 하지 않았다. 그의 시각은 흑산에 머무는 정약전이나 흑산을 오가는 사공 문풍새나 정약전을 돌보는 순매에 머물지 않으며 흑산 전체를 조망한다. 그들의 삶이 곤궁하고 피폐한 것은 흑산이 검기 때문이다.
김훈은 특유의 담백하고 정결한, 때로는 차갑고 날카로운 필체로 민초들의 이야기를 적어나갔다. 그들이 천주교에 빠져드는 이유는 단순하고 명료했다. 그것이 이미 자신들이 태어날 적부터 알고 있던 것들이기 때문이었다. 자연스럽고 당연한 이치에 백성들은 물들어간다. 물들었다고 하기도 어려운 것이 그 이치들은 그들이 날적부터 뼛속에 가지고 태어난 말들이었다. 슬픈 사실은 백성들이 그 자연한 사실들을 마땅하다 여기지 못하는 삶을 살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은 착취당하고 희롱당하는 삶을 제 것으로 여기고 묵묵히 사는 사람들이었다. 그런 그들에게 여기의 삶을 넘어선 저기의 삶은 무척이나 매력적인 것이었다. 마부 마노리는 황사영으로 부터 배운 놀랍도록 단순하고 당연한 이치가 왜 잘못된 것인지 끝내 알지 못했다. 그는 독실한 천주교도가 아니었다. 북경의 구베아 주교나 황사영은 그에게 마부의 길을 버리지 말 것을 요구하지만 그는 그 말을 애써 담지 않는다. 그는 구베아 주교에게서 받은 은전을 자기 몫으로 하여 주막을 차리겠다는 세속적 꿈을 가진다. 그는 그러한 평범한 인물이었다. 그런 그도 마땅한 것이라 여기고 그릇된 것이라 생각지 못했던 천주교의 가르침이 그릇된 것이라 매도되고 부정당하는 것은 당시 시대의 진실성이 얼마나 어긋난 것이었나 알 수 있게 한다.
여러모로 읽기 어려운 소설이었다. 첫째론 중심 스토리가 없고 인물에 따라 장면도 시간도 뒤죽박죽으로 흘러가 파악이 힘들었다. 그래서 과거와 미래에 얽매이기 보다는 현재를 읽는 것에 치중했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모든 등장인물들이 한데 모여 이곳을 만들어내었다. 소설의 이야기는 시작이 없고 끝이 없으며 한 지점만 존재했다. 그 속에서 인물들은 저마다 자연히 숨쉬었고, 갈망했으며, 살아갔다. 그 이미지 속에 빠져버리면 이곳이 그곳인 듯, 저곳이 이곳인 듯 생경해져 헤어나오기 어려웠다. 둘째론 민초들에게 행해진 끔찍한 살육이, 짐짝으로 취급받는 인간의 슬픈 존재들이, 물건처럼 사고팔리는 민초의 가엾은 행보가 소설의 전체를 아우르고 있었다. 그 인간의 것 같지 않은 삶이 언젠가의 인간의 것이었다는 자각이 소설을 읽는 내내 나를 힘들게 만들었다.
무엇이라 정의하기 어려운 소설이다. 읽고 난 뒤 할 말을 찾기 위해 한참을 망설여야 했다. 짚어나갈 이야기도 없으며, 두드러지는 사건도 없다. 다만 존재하는 것은 막막하고 적적한 누군가들의 삶의 흔적 뿐이다. 그 무겁고 어두운 소설의 무게를 직접 짊어져 보지 않으면 이 소설에 대한 여러 말도 무용할 거란 생각이 든다. 정약전이 흑산의 게와 고향의 게가 모양이 같아 그리움을 느끼듯이, 그곳의 게와 우리네의 게가 모양이 같으므로 그곳과 이곳은 그리 다른 곳이 아닐 것이다. 흑산은 사방이 막힌 섬이고, 유배지이다. 흑산과 육지는 다르지 않고, 흑산과 우리의 현재는 다르지 않다. 다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어둡고 두려운 흑산을 흑산黑山이 아니라 빛을 맞이할 이곳, 자산玆山으로 인지하는 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