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만들었다. 여름 블록바쓰터가 해야 할 일은 다 잘 해 냈다.


김혜수와 염정아. 영화를 이끄는 주인공 둘이 모두 류감독과는 첨이고 최동훈 감독과는 연이 깊은 데다 '밀수'라는 범죄행위를 다룬 영화여서 보면서 류감독 영화 아닌 최감독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도 든다.


2015년 <베테랑> 나온 뒤 큰 흥행에도 불구하고 여성평론가들 사이에선 여성캐릭터를 너무 납작하게 그렸다, 주인공의 동료 경찰 장윤주 캐릭터는 이름도 없이 '미쓰봉'이라고만 불린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류감독이 그런 비판을 잘 받아들인 티가 확 난다.


음악은 좋으면서도 살짝 아쉽다. 배경에 맞춘 70년대 명곡들이 많이 나온 건 좋은데 아예 음악 빼고 조용했으면 더 나았을 듯한 데까지 음악이 너무 많이 들어간 느낌.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는 말이 살짝 떠오른다. 엔딩크레디트에 어느 가수의 어느 노래가 흐르는데 이 가수분 요즘 다시 제2의 전성기를 맞으시는 느낌.


이야기도 재미나고 김혜수,염정아,박정민,조인성,고민시,김종수 등 배우들도 제 몫 충분히 잘 해 내기에 자잘한 단점 몇에도 불구하고 올여름의 승자가 될 듯 하다.


우리동네 극장에는 불만 한 마디 해야겠다.


어제 동두천 문화극장은 밤 7:30에 동광극장은 밤 6:10에 하는 걸 확인하고 동광극장 가서 봤는데 동광극장도 엔딩크레디트 끊어먹는 건 문화극장이랑 똑같았다. 문화극장에서 몇 차례 겪어서 동광극장으로 간 건데! 아무리 80년대식 예스런 분위기를 내세우는 두 극장이라지만 이런 건 너무해. 대기업 편들기는 싫지만 이 두 영화관의 엔딩크레디트 짤라먹기에 골탕먹을 때마다 건물 공사까지 다 마쳤지만 영화관 불황 때문에 3년째 문 열지 못하는 동두천cgv 빨리 열어라 응원하는 마음이 든다.


10점 만점에 8점. 총평-훌륭한 여름 블록바쓰터. 류감독이 또 해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술 2023-08-11 15: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에

엔딩크레디트에 어느 가수의 어느 노래가 흐르는데 이 가수분 요즘 다시 제2의 전성기를 맞으시는 느낌

이라고 썼는데 노래는 ‘무인도‘고 가수는 ‘김추자‘다.
노래는 맞는데 가수 틀렸다.
난 지난해 박찬욱 감독 ‘헤어질 결심‘으로 다시 주목받은 가수 정훈희를 말한 거였다.
80년대 우리집엔 정훈희 음반을 자주 틀었는데 거기 무인도가 들어서 난 여태껏 정훈희가 원곡가수인줄로만 알았다.
알고 보니 김추자가 원곡가수고 심지어 작사도 김추자였다.

확인을 잘 하자! 오늘 배운 교훈이다.
엄밀히 말하면 오늘 아니라 화요일 늦은 밤, 수요일 새벽이라 해야겠네.
kbs1라디오 <문화공감> 듣다 알게 된 거니까..
 

한 주 전 박장근 첼리스트가 2013년 벨기에 브뤼쎌 왕립음악원 유학하다 슈퍼마켓에서 만난 대가가 누굴까란 퀴즈를 드렸다.


blog.aladin.co.kr/temper/14664498


힌트는 1할머니 2세계적 대가인 피아니쓰트

요 두 가지였고.


나도 박첼리스트 이야기 들으며 후보군을 줄여나갔는데

어느 집 지날 때마다 아침이고 낮이고 저녁이고 밤에도 피아노 소리가 들렸다는 데서 피아니스트란 걸 알았고

2013년에 이미 할머니라는 걸 들었을 때 남자 피아니스트와 여자피아니스트 가운데 중장청년층을 뺐다.


그러니 머리속에 떠오르는 이가 둘로 좁혔다.

두 분 각각 아르헨티나와 포르투갈 분이니까 메씨와 호날두라고 부르자.


할머니가 박첼리스트에게 '뭘 보냐'고 핀잔줬다는 얘기 들었을 때 정답이 나왔다.

호날두 할머니는 상냥하고 부드러운 성격으로 알고 

반면에 메씨 할머니는 가끔 성깔부리는 걸로도 유명하다는 얘길 들었으니까.


메씨 할머니는 바로!!

마르타 아르헤리치Martha Argerich 셨습니다!!

다만 박첼리스트는 마르타 아르게리치라고 말하고 자료화면에도 아르게리치라고 적으셨던데 에쓰빠뇰에서 g가 e,i 앞에 올 때 우리 귀에 ㅎ 비슷한 소리 난다는 걸 모르셨던 듯.


1941년생이시니 2013년이면 만나이로 일흔하나둘이셨는데 그런 대가도 하루종일 연습한다는 데서 감동과 게으른 스스로에게 부끄러움을 느꼈다.

대가는 과연 남달랐다!

아울러 두 해 가까이 공짜로 아르헤리치 연주를 들은 박첼리스트가 부러웠다.


오늘 저녁 박첼리스트와 함께하는 클래식 강연 3강이자 마지막 강연도 기대만빵.

참, 호날두 할머니는 1944년생 마리아 조앙 삐레쓰다. 삐레쓰가 맞나 s는 소리값 없고 삐레가 맞는지는 나도 모르겠는데 함 확인해봐야겠다.

-------------------------

어제 도서관에서 시사인 823호(2023.6.27.발행) 읽다가

지리산 모험왕 반달가슴곰 KM-53이 죽었다는 기사를 읽었다.

이럴 수가! 바로 8일 전인 6월 14일 수요일에 내가 쓴 글에서

오삼이 얘기를 했는데.. 내가 그 글 올릴 때 오삼이는 이미 저 세상 간 뒤였다니.


blog.aladin.co.kr/temper/14661708


오삼아, 그 동안 코로나, 불황, 정치 때문에 짜증나는 우리에게

많은 즐거움을 줘서 정말 고마웠고 저 세상에서도 맘대로 설치며 살렴.

안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헤미안 걸
도리스 되리 감독, 한넬로르 엘스너 외 출연 / 아이브엔터테인먼트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피 출신 막 나가는 예순살 쯤 된 쾌락주의자 독일 엄마와 마흔살 쯤 된 소심한 딸 중심으로 벌어지는 코미디. 강아지 연기는 거의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강아지 뺨친다. 63분에 나오는 엄마의 쎅쓰씬은 내가 영화에서 본 떡씬 가운데 가장 웃음 터지는 장면이었다. 조연들에게도 신경써서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동네 동두천시립도서관에서 박장근 첼리쓰트가 3주 강연 하시는데 오늘 저녁이 이틀째.

박장근님은 지난해도 오셨는데 두 해 이어 강연 하시는 것.


지난 주 첫 강연에서 가장 재미났던 얘기를 퀴즈로 알라딘서재와 나눌까 함.


박장근님이 2012~3년 벨기에 브뤼쎌 왕립음악원에서 공부했는데

당연히 음악원 주위에 음악원 학생들이 월세집 잡아 사는 일이 많다고.


음악원 오가는 길에 늘 피아노 소리 들리는 집을 지났다고.

아침에 지나도 낮에 지나도 저녁에 지나도 늘 피아노 소리가 들려서

박장근은 '열심히 연습하네. 앞으로 크게 될놈이 하나 사는군.' 생각했다고.


어느날 동네 슈퍼마켓에 갔는데 어디서 본 듯한 할머니를 만났다고.

할머니 보며 박장근은 '어디서 봤지?' 궁금해했는데

할머니는 박장근 시선이 불편했는지 성큼성큼 다가와서 '뭘 그렇게 보냐?'며 핀잔 줬다고.


그렇게 대화를 나누게 됐는데..


박: 어디서 뵌 분 같은데 기억을 못 하겠네요. 할머니, 혹시 저 만나셨어요?

할: (깔깔 웃더니) 너 음악원 다니지?

박: 예.

할: 전공 뭐니?

박: 첼로요.

할: 열심히 해. 악기 잘 하려면 연습 뿐이야.


이 말을 마지막으로 총총 떠난 할머니.

할머니가 악기 대가인 걸 깨달은 박장근.

슬그머니 멀리서 할머니 뒤를 따라갔는데

바로 그 '앞으로 크게 될 연습벌레 그놈'이 사는 그 집으로 할머니가 들어갔다고.

벨기에엔 우편통에 집주인 이름을 적는다고.

박장근이 그 집 우편통 살펴보니 적힌 이름은 뭘까요?


참고로 전 맞췄답니다. (엣헴, 자랑질임을 인정.)

답은 한 주 뒤에 알려드리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충격이다.


박근혜 정권 때 싫은 문화예술인들 블랙리스트 만들어서 괴롭힌 건 알았는데

오정희 작가가 동료 문화예술인들 괴롭히는 그 일에 꼈었다니.

이건 어제야 신문보고 알았다.


전두환 찬양한 미당이 떠오른다.


기분 찝찝한 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