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4-1 子之武城, 聞弦歌之聲.


자지무성, 문현가지성.

번역 : 공자가 武城에 가서 거문고 타는 소리와 노래부르는 소리를 들었다.

集註 - 弦, 琴瑟也. 時子游爲武城宰, 以禮樂爲敎①, 故邑人皆弦歌也.
집주 - 현, 금슬야. 시자유위무성재, 이예약위교, 고읍인개현가야.

번역 : 弦은 琴瑟이다. 이 때 子游가 武城의 邑宰가 되어 禮樂으로 (백성들을) 교화하였다. 그래서 邑人들이 모두 거문고를 타고 노래를 부른 것이다.

① '敎'를 名詞로 보아 '禮樂으로써 敎(가르침)로 삼다'라고 번역해도 좋고, '敎'를 動詞로 보고 목적어인 邑人이 생략되어 있다고 이해해도 좋겠다. 나는 後者로 번역하였다.

17-04-2 夫子莞爾而笑曰: "割鷄焉用牛刀?"


부자완이이소왈: "할계언용우도?"

번역 : 夫子가 빙긋이 웃으면서 말하였다. "닭을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느냐?"

集註 - 莞爾, 小笑貌, 蓋喜之也. 因②言其③治小邑, 何必用此④大道也.
집주 - 완이, 소소모, 개희지야. 인언기치소읍, 하필용차대도야.

번역 : 莞爾는 빙긋이 웃는 모습이며, 아마도 기뻐서일 것이다. 그래서 그가(子游) 작은 고을을 다스리는데 하필 이런 큰 道를 쓰느냐고 말한 것이다.

② '因'은 虛辭로 전치사와 접속사로 쓰인다. '因'이 접속사로 쓰일 때는 김원중의 ≪虛辭辭典≫ 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접속사로서(써) 뒷일이 앞일과 긴밀하게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구 맨 앞이나 주어 뒤에 쓰인다. '이에', '곧', '즉'이라고 해석한다." 나는 이 문장에서는 '因'을 접속사로 보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③ '其'를 나는 '子游'를 가리키는 人稱代詞로 보아 동사술어 '治'의 주어로 번역했다.

④ '此'는 指示代詞이며 이 문장에서는 관형어(定語)로 쓰였다.

17-04-3 子游對曰: "昔者偃⑤也聞諸夫子曰: '君子學道⑥則愛人, 小人學道則易使也.' "


자유대왈: "석자언야문저부자왈: '군자학도즉애인, 소인학도즉이사야.' "

번역 : 子游가 대답하여 말하였다. "예전에 저는 夫子께서 (이렇게) 말씀하신 것을 들었습니다. '君子가 道를 배우면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小人이 道를 배우면 부리기에 쉽다.' "

⑤ '偃'은 言偃, 즉 子游의 이름이다.

⑥ '道'는 孔安國은 禮樂으로 보고 있다.  

    "道, 謂禮樂也. 樂以和人, 人和則易使.
    <道는 禮樂을 이름이다. 음악으로써 백성을 교화시키고, 백성이 교화되면 부리기에 쉽다>"

集註 - 君子小人, 以位言之⑦. 子游所稱, 蓋夫子之常言. 言君子小人, 皆不可以不學. 故武城雖小, 亦必敎以禮樂.
집주 - 군자소인, 이위언지. 자유소칭, 개부자지상언. 언군자소인, 개불가이불학. 고무성수소, 역필교이예악.

번역 : 君子와 小人은 地位로써 말한 것이다. 子游가 말한 것은 아마도 夫子가 평소에 하던 말일 것이다. 君子와 小人이 모두 배우지 않아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따라서 武城이 비록 작지만 반드시 禮樂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⑦ 論語에서 말하는 君子와 小人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德이 있는 자(有德者)와 없는 자(無德者)이고, 다른 하나는 地位가 있는 자와 없는 자이다. 이 문장에서는 後者의 경우이다.

17-04-4 子曰: "二三者⑧! 偃之言是也. 前言戱之耳."


자왈: "이삼자! 언지언시야. 전언희지이."

번역 : 공자가 말하였다. "얘들아! 偃의 말이 옳구나. 전에 한 말은 농담이다."

⑧ '二三者'는 孔子가 武城에 갈 때 따라간 제자들을 부르는 말로 보인다. 들녘에서 번역 출판한 丁寅生의 『孔子演義』에 따르면, 이 때 수행한 제자는 자로, 안회, 자공, 염구 등이다.

集註 - 喜⑨子游之篤信, 又以⑩解門人之惑也. ♥ 治有大小, 而其治之必用禮樂, 則其⑪爲道一也. 但衆人多⑫不能用, 而子游獨行之⑬. 故夫子驟聞而深喜之, 因反其言⑭以戱之. 而子游以正對, 故復是其言, 而自實⑮其戱也.
집주 - 희자유지독신, 우이해문인지혹야. ♥ 치유대소, 이기치지필용예악, 칙기위도일야. 단중인다불능용, 이자유독행지. 고부자취문이심희지, 인반기언이희지. 이자유이정대, 고부시기언, 이자실기희야.

번역 : 子游가 독실하게 믿음을 칭찬하고, 또한 그럼으로써 제자들의 의혹을 풀어 준 것이다. ♥ 다스림에는 크고 작음이 있으나 그 다스림에는 반드시 禮樂을 써야 한다. 즉 그들이 道를 행함은  한 가지이다.  다만 뭇 사람들이 대다수 禮樂을 쓰지 못하는데 子游만이 禮樂을 썼던 것이다. 그래서 夫子가 언뜻 듣고는 아주 기뻐서, 고의적으로 말을 바꾸어 그를 놀린 것이다. 하지만 子游가 바르게 대답하므로 다시 그 말을 옳다고 하여 스스로 자기의 말이 농담임을 사실대로 말한 것이다.

⑨ '喜'는 '칭찬하다'라는 뜻이다.

⑩ '以'는 전치사로써 목적어는 앞의 분구 전체이다. '以'는 목적어 생략이 자주 일어나는 전치사이다.

⑪ 의미상으로 이 문장에서 '其'는 (큰 지역이건 작은 지역이건 지역을 다스리는) '治者'로 보는 것이 좋겠다.

⑫ '衆人多不能用'에서 '多'는 부사어로 쓰였지만 한국어로 번역할 때에는 관형어로 번역하는 것도 좋겠다. 이를테면, <많은 사람들이 .....>라고 말이다.

⑬ '行之'는 用禮樂을 말한다. 이때의 '行'을 나는 '用'을 받는 代動詞로 본다. 당연히 '之'는 '禮樂'을 받는 指示代詞이다.

⑭ '反其言'에서 '反言'은 '고의적으로 자기 생각과 반대되게 하는 말(을 하다)'이다.

⑮ '實'은 이 문장에서 동사술어로 쓰여 '사실대로 말하다' 정도의 번역이 가능하겠다.  433508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