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2-1 子曰: "性相近①也, 習相遠也."


자왈: "성상근야, 습상원야."

번역 : 공자가 말하였다. "성품은 서로 가깝지만, 습성은 서로 멀다."

① '近'의 풀이를 古今漢語詞典에서는 '差不多,接近(비슷하다)'라 하고 위의 본문을 들고 있다. 나는 굳이 '가깝다'라고 번역하였으나, 아무래도 '별 차이가 없다'나 '비슷하다'가 더 나을 것 같다. 당연히 相遠은 반대의 意味일 것이다.

集註 - 此所謂性, 兼氣質而言者也②. 氣質之性, 固有美惡之不同矣. 然以其初而言, 則皆不甚相遠也. 但習於善則善③, 習於惡則惡, 於是始④相遠耳. ♥ 程子曰: "此言氣質之性. 非言性之本也. 若言其⑤本, 則性卽是理, 理無不善, 孟子之言性善是也. 何相近之有哉?⑥"

번역 : 여기서 말하는 바의 性은 氣質(氣質之性)을 겸하여 말한 것이다. 氣質之性은 본래 美惡이 같지 않음이 있다. 하지만 그 처음(始初)을 가지고 말한다면, 모두 서로 먼 것이 심하지 않다. 다만, 善에 습관이 되면 善해지고, 惡에 습관이 들면 惡해지니, 여기에서 비로소 서로 멀어지는 것이다. ♥  정자가 말하였다. "이는 氣質之性을 말한 것이지 性의 근본을 말한 것이 아니다. 만약 性의 근본을 말한다면, 性은 바로 理이고, 理는 不善이 없는 것이니 맹자가 '性善'을 말한 것은 이것이니( 性의 근본이니) 어찌 '相近', 그것이 있겠는가?"

② 李申은 '包括氣質之性'이라고 번역한다. 즉, 이 문장에서의 兼은 '포괄하다'의 뜻으로 보아도 좋겠다.

③ 但習於善則善에서 '習'을 번역하기가 아주 애매하다. 언뜻 이해는 되는 데 글로 표현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중국인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李申의 번역을 보자. "只要從事于善就成爲善" 엄밀하게 이 문장을 번역해 보자. '只要~就~'는 원문의 '但~則'을 번역한 것으로 어떤 동작이 일어나는 최소한의 조건을 말한다. 즉, '~하기만 하면'으로 번역이 가능하다. '從事'는 當代漢英雙解詞典에는 1)'投身到(某種事業中去)' 2)'(按某種辦法)處理'라고 풀이되어 있다. 但習於善則善을 직역이 아닌, 의미에 근거하여 번역하면 <단지 善한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기만 하면 선해지고>가 되겠다.  별로 어렵지도 않은 문장을 어쩌면 어렵게 풀어 보는 이유는 나 역시 단어 하나하나에 너무나도 고정된 의미밖에 없는 것처럼 알아, 번역에도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李申은 나에게 좋은 스승이다.

④ 始는 부사로 '비로소'라는 의미이다.  

⑤ 其는 性을 가리키는 대사로 여기서는 관형어로 쓰여 '性之'이다.  늘 강조하지만, 사소한 것이라도 외국어 공부에 있어서 대(명)사의 지시대상을 꼼꼼히 챙기는 것은 중요하다.

⑥ '孟子之言性善是也. 何相近之有哉', 이 문장의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이 되지 않아 李申의 번역을 보니 문장 구조 자체를 다르게 보고 있어 소개한다.

* 孟子說的'性善'就是, (na)有什 (shenme)'相近'一說 (ne)?
 <맹자가 말한 '性善'에 어디에 무슨 '相近' 이런 말이 있더냐?>

내 개인적으로 李申의 번역에 찬성한다. 정자가 바로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여기서는 맹자가 말한 性과는 다른 氣質之性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何相近之有哉를 분석하면, 何(의문사)相近(주어)之(주어를 다시 가리키는 復指代詞)有(술어)哉(何와 호응하여 쓰이는 語氣詞)이다. 다시 직역하면, <어찌 '相近' 그것이 있겠는가?>가 될 것이다.

집주 - 차소위성, 겸기질이언자야. 기질지성, 고유미악지부동의. 연이기초이언, 즉개불심상원야. 단습어선즉선, 습어악즉악, 어시시상원이. ♥ 정자왈: "차언기질지성. 비언성지본야. 약언기본, 즉성즉시리, 리무불선, 맹자지언성선시야. 하상근지유재?" 433507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