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관에 간다.
2. 한국 책 섹션으로 간다.
3. 빌리고 싶은 만큼 꺼낸다(물론 권수 제한이 있긴 한데 들고 가는 데는 생각보다 한계가...)
4. 대출기에 카드 인식시키고 몽땅 대출대에 올려놓고 스캔한 뒤 그린라이트가 뜨면 영수증 받고 나가면 끝
대강 이러한 프로세스... ㅎㅎㅎ
처음에는 도서관 갈 정신적인 여유도 뭣도 없다가 (여기도 지금은 낮 기온이 35도에 육박하는데 습한 것만 빼고 그야말로 한국 못잖게 태양작렬이다. 머릿가죽이 홀랑 벗겨지는 느낌인데, 처음엔 뭘 몰라서 그냥 나다니다가 정수리에 화상을 입고 한동안 고생한 뒤에 외출할 때는 반드시 모자를 쓴다. 모자는 패션아이템이 아니라 생존아이템) 가까스로 여유가 생기고 나서 아이들을 데리고 도서관이란 데를 갔다. 한국에선 집 나서면 바로 옆에 도서관이 있는 몹시 독서친화적 주거환경이었는데, 여기에서는 편도 15분 가량의 산책(가방에 20권 가량 되는 책을 넣고 가는 운동삘 나는 산책)이 필요하다. 음... 덧붙일 말이 많지만 여기까지만.

도서관 카드를 만들겠다고 하면 포토아이디 카드와 (신분증명) 주거지 증명서류를 한 부 가져오라고 한다. 인터넷 요금 청구서라든가 가스요금 청구서라든가 여하간 실거주 증명이 되면 되는데... 도서관은 다른 관공서와는 달리 이걸 엄청 엄격하게 검사하는 건 아니어서 심지어 아마존 영수증 같은 걸 보여줘도 되긴 하지만, 역시 깐깐한 사서한테 걸리면 별 소용 없으므로 케바케...
이 지루한 과정을 다 거치고 나면 카드 디자인을 고르란다. 이 지역 출신 일러스트레이터 네 명의 작품으로 디자인한 카드가 네 종류가 있는데, 다 나름으로 예쁘다. 아이들은 이게 뭐라고 심각하게 고심을 해서 고른다. 두 가지 크기의 카드가 나오는데 휴대성이나 관리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너무 웃긴 게 사서가 안내해 준 것도 아니고 누가 가르쳐 준 것도 아닌데 애들은 기가 막히게 한국 책이 어디 있는지를 찾아내서 잽싸게 그 서가 앞에서 한참을 맴돈다. 한국 같았으면 쳐다도 안 봤을 책들을, 한글로 씌여 있다는 이유만으로 거침없이 읽겠노라 주장하는 이 아이들을 어쯔끄나 ㅎㅎ 나는 한국 책이 있을 거라는 생각도 못 하고 있었는데. 우리나라 도서관처럼 유아동(+청소년) 자료실은 따로 있는데, 그 안에서 이건 또 어떻게 찾아오는건지.
여하간 그렇게 욕심껏 책을 가져오면, 대출을 한다. 앞서 이야기한 그런 스텝으로, 그리고 이런 영수증을 받을 수도 있고 안 받을 수도 있고, 이메일로 받을 수도 있는데 대출내역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영수증을 받는 쪽을 선택하지만, 쓰레기 양산에 일조하고 있다는 자책감은 어쩔 수가 없네...

의외로 최근에 발행된, 나름 신간 축에 속하는 책들이 잘 비치되어 있어서 좀 놀랐다. 그래도 이왕 여기까지 온 것 현지의 그림책들을 많이 보고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다. 본전 생각나는 엄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