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연우주 > 칸딘스키의 Yellow Red Blue

칸딘스키

모스크바 출생. 1939년 프랑스에 귀화하였다. 현대 추상미술을 창시한 한 사람이며 처음에는 법률과 경제학을 배웠으나, 1895년 인상파전을 보고 모네의 작품에 감명을 받고 이듬해인 1896년 뮌헨으로 옮겨 아즈베와 F.슈투크에게 사사하여 화가로 전향하고 1905년 살롱 도톤의 회원이 되었다. 그 전후에 이탈리아 ·튀니지 ·프랑스 등지를 여행하고, 1908년 이후 뮌헨 ·무르나우에 살면서, 1910년에 최초의 추상회화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현파인 프란츠 마르크와 함께 뮌헨에서 예술가집단인 ‘청기사()’를 조직하여(1911), 비구상 회화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 후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모스크바로 돌아가, 1918년 미술학교 교수가 되었으나 1921년 다시 베를린으로 가서 이듬해부터 1933년까지 바우하우스의 교수(처음 바이마르, 1925년부터 데사우)로서 후진지도와 신예술 개척에 힘썼다. 만년에는 1933년부터 프랑스에 정주하여, 여행 이외에는 파리 교외의 누이쉴센에 살았으며, 1937년 나치스가 퇴폐예술가라고 지적하여 작품이 몰수당한 적도 있다.

그는 현대 추상회화의 선구자로서, 대상의 구체적인 재현에서 이탈, 선명한 색채로써 교향악적이고도 다이내믹한 추상표현을 관철한 후 점차 기하학적 형태에 의한 구성적 양식으로 들어갔으나 P.C.몬드리안과는 또다른 독자적인 발전의 자취를 남겼다. 주요작품으로는 《푸른 산》 《즉흥 14》 《검은 선들》 《가을》 《콤포지션 7》 등이 있으며, 또 추상미술 이론가로서도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 ber das Geistige inder Kunst》(1921) 《점 ·선 ·면 Punkt und Linie zu Flche》(1926) 등의 저술도 남겼다.


칸딘스키의 묘한 색채 배열은 꽤나 매력적이다. 사실 미술은 잘 모른다. 그리고 추상화는 더더욱 모른다. 하지만 칸딘스키의 대부분의 추상화가 마음에 쏙 든다. 만약 내가 집을 산다면 칸딘스키의 이 yellow red blue는 꼭 걸어놓고 싶을 정도로.

색채가 화려한 작가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클림트나 피카소도 좋다. 물론 인상파 화가들의 그림도 좋아하지만.

사실 미술에 대해서는 쥐뿔도 모른다. 다만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들이 부러울 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윤희형 2011-08-08 15: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이미지 검색 통해 들릅니다.
저도 뭐 사실 미술에 대해서는 쥐뿔도 모르지만 보면 볼수록 매력있는게 미술이더라구요.
호안 미로(Joan Miró) 그림도 시간되시면 봐보세요 ㅎ
칸딘스키와 비슷한 느낌이 많이 듭니다.
 
 전출처 : 로드무비 >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 김종삼 詩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시가 뭐냐고

나는 시인이 못 됨으로 잘 모른다고 대답하였다.

무교동과 종로와 명동과 남산과

서울역 앞을 걸었다

저녁녘 남대문시장 안에서

빈대떡을 먹을 때 생각나고 있었다.

그런 사람들이

엄청난 고생 되어도

순하고 명랑하고 맘 좋고 인정이 있으므로

슬기롭게 사는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이

이 세상에서 알파이고

고귀한 인류이고

영원한 광명이고

다름아닌 시인이라고

                       --1985년 수첩 기록

 

오래 전 김종삼 시인의 시 '묵화(默畵)'를 참 좋아했다. 물 먹는 소 목덜미에 / 할머니 손이 얹혀졌다. / 이 하루도 함께 지났다고 /  서로 발잔등이 부었다고 / 서로 적막하다고.('묵화' 전문).                        군더더기 하나 없이 똑 떨어지는  동양화 한 폭 같은 시  '묵화'에 비해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라는 시는 뭔지 좀 유치하고 어리숙해 보인다. 그런데 난 이 詩도 참 좋았다. 순하고 명랑하고 맘 좋고 인정있는 사람으로 살 자신은 없지만 그런 사람으로 살고 싶었다. 돼지기름으로 구운 번철 위의 남대문시장 빈대떡 같은 詩가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릴케 현상 > "진중권은 논객아닌 글을 파는 글쟁이"

 

"진중권은 논객아닌 글을 파는 글쟁이"

[한국일보   2005-03-15 14:16:37]  

대표적인 진보논객인 진중권 중앙대 겸임교수가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최근 인터넷신문인 데일리 서프라이즈에 '보수우익의 종말 다가오고 있다'라는 글을 기고한 데 대해 진보 성향 네티즌들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는 것.

진 교수는 '보수우익의 종말…'에서 "과거사 청산의 핵심에 놓인 인물이 박정희"라면서 한승조·지만원·조갑제씨 등이 "대한민국 우익의 정체성 그 자체인 박정희를 옹호하려다가 결국 그의 친일까지 옹호하게 되고, 그러다가 아예 친일파 전체를 민족에게 '축복'을 가져다 준 사람이라 주장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들의 행태는 자멸 직전의 사이비 종교를 닮았다"면서 "지금 보수우익들도 이데올로기적 자살을 집행하는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진보 성향의 인터넷매체 진보누리의 독자인 '한그루'는 "진중권이 데일리서프에 기고? 글쎄? 좀 심한 말을 하고 싶은데, 뭐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치 않으니…. 진중권도 갈 데까지 가는구나"라고 말하며 "(진중권은) 논객이 아니라 '글을 파는 글쟁이'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진중권이 데일리 서프라이즈에 글을 기고한 것을 보고 욕지기가 나온다"면서 "진중권은 데일리 서프라이즈에 기고함으로써 그가 마지막으로 가졌던 일관성조차 내팽개쳤다"고 말했다.

'음'이라는 이름의 네티즌은 "진중권이 데일리 서프에 글을 기고한 것을 시작으로 김동렬과 함께 투톱 체제로 서프에서 노빠질 하는 걸 볼 날도 멀지 않을 걸까?"라고 말했다. 김동렬씨는 정치칼럼 사이트인 서프라이즈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개혁 성향의 논객이며, '노빠질'은 노무현 대통령을 지지하는 행위를 비하하는 말이다.

'비몽'은 "당파성 과잉에 질려버려 한겨레신문에 기고도 않고 집에서도 안 본다던 진중권이 동아일보, 중앙일보에 글을 올려대는 것을 보며 이상했다"면서 "이제는 진중권이 그토록 비판해왔던 노빠 당파성의 화신 데일리 서프에도 칼럼을 기고한다.

이것을 보면 결국 온라인, 오프라인 불문하고 소위 좀 많이 본다 싶은 매체에는 글질을 해대는 것 아닌가? 한겨레의 당파성에 질려 한겨레엔 글을 안 쓴다는 사람이 데일리 서프에 기고를 해?"라고 말했다.

'좀'은 "생뚱맞긴 하다"면서 "자기 글이 (진보주의자들에게) 어떻게 독해될지에 대한 생각은 좀 부족한 것 같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반면 '진보놀음'이라는 독자는 민노당 노회찬 의원이 조선일보의 애독자라는 사실을 거론한 후 "세상 그렇게 샛눈 뜨고 보는 거 아니다"라고 말하며 진 교수에 대한 일방적인 비판을 경계했다.

진중권 교수는 지난해 7월 데일리 서프라이즈 창간을 주도한 서영석 기자(전 서프라이즈 대표)의 청탁 사건과 관련, "서프라이즈 같은 조그만 사이트는 경제적으로 수익 구조가 없다"면서 "그런데도 기자 모집하고 편집장 모집하며 공격적으로 사세를 확장해 나가고 있어, 속을 들여다보면 구린 일이 많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서프라이즈에 노골적인 의혹을 보낸 바 있다.

당시 그는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5,000명을 먹이는 이 예수의 기적과 같은 일이 어떻게 가능할지는 각자 알아서 상상하라"면서 "명계남, 김정란, 노혜경 등 과거 안티조선의 인사들이 필진으로 참여한 이 사이트가 권력과 유착하여 정보를 캐내고, 그 대가로 권력을 비호하고, 돈 받고 선거운동을 대행해주고, 심지어 인사청탁과 같은 불법까지 저지르고 있다"고 말했다.

진 교수는 지난 2002년 11월에는 한겨레신문이 민노당에 가입한 홍세화 논설위원의 직무를 정지시킨 데 반발, 오마이뉴스에 '<한겨레>에 기고를 거부하며'라는 글을 기고해 다시는 한겨레신문에 글을 게재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그는 당시 글에서 "한겨레 지면이 대단히 노골적으로 특정 후보를 지원하고 있음을 누구나 다 알 것이다. 심지어 만화가까지 나서서 노골적으로 민주노동당을 견제하며 속 들여다 보일 정도의 비열한 편파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조중동은 한나라당의 기관지, 한겨레와 오마이뉴스는 민주당의 기관지, 피차 기관지이니 앞으로 자기의 당파성을 위해 누가 왜곡보도, 확대보도, 축소보도를 잘 하는지 선의의(?) 경쟁을 벌일 것을 선언하라"면서 오마이뉴스에도 글을 싣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글 말미에 "욕설을 퍼부을 것으로 예상되는 빌어먹을 인터넷 룸펜 떼거지들에게 밝히노니, 나는 이미 그 빌어먹을 정당이 지겨워서 탈당을 한 지 오래 되었으니, 욕을 하더라도 좀 말이 되게 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하며 이미 민노당을 탈당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reporter@hankooki.com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낯선바람 2005-03-22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탐이 나서 가져온 건 아니고, 얼마 전 밥 먹는 자리에서 '진중권' 얘기가 나와서 관심있게 읽어봤다. 그런데 역시... 말싸움 하는 사람들은 머리가 아프다--;
 
 전출처 : 릴케 현상 > 소스라치다

소스라치다-함민복

 

뱀을 볼 때마다

소스라치게 놀란다고

말하는 사람들

 

 

 

사람들을 볼 때마다

소스라치게 놀랐을

뱀, 바위, 나무, 하늘

 

 

 

지상 모든

생명들

무생명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에 가보니 나무들은 제가끔 서 있더군

제가끔 서 있어도 나무들은 숲이었어

광화문 지하도를 지나며 숱한 사람들이 만나지만

왜 그들은 숲이 아닌가

이 메마른 땅을 외롭게 지나치며

낯선 그대와 만날 때

그대와 나는 왜 숲이 아닌가

 

-정희성 <숲>

                    

어느날 서점에서 사진집을 보다가 이 시를 만났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 시를 나눠주고 싶었다. 이 메마른 땅에서 숲이 되자고. 희미하지만 아직도 그 꿈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