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연우주 > 칸딘스키의 Yellow Red Blue
칸딘스키
모스크바 출생. 1939년 프랑스에 귀화하였다. 현대 추상미술을 창시한 한 사람이며 처음에는 법률과 경제학을 배웠으나, 1895년 인상파전을 보고 모네의 작품에 감명을 받고 이듬해인 1896년 뮌헨으로 옮겨 아즈베와 F.슈투크에게 사사하여 화가로 전향하고 1905년 살롱 도톤의 회원이 되었다. 그 전후에 이탈리아 ·튀니지 ·프랑스 등지를 여행하고, 1908년 이후 뮌헨 ·무르나우에 살면서, 1910년에 최초의 추상회화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현파인 프란츠 마르크와 함께 뮌헨에서 예술가집단인 ‘청기사(靑騎士)’를 조직하여(1911), 비구상 회화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 후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모스크바로 돌아가, 1918년 미술학교 교수가 되었으나 1921년 다시 베를린으로 가서 이듬해부터 1933년까지 바우하우스의 교수(처음 바이마르, 1925년부터 데사우)로서 후진지도와 신예술 개척에 힘썼다. 만년에는 1933년부터 프랑스에 정주하여, 여행 이외에는 파리 교외의 누이쉴센에 살았으며, 1937년 나치스가 퇴폐예술가라고 지적하여 작품이 몰수당한 적도 있다.
그는 현대 추상회화의 선구자로서, 대상의 구체적인 재현에서 이탈, 선명한 색채로써 교향악적이고도 다이내믹한 추상표현을 관철한 후 점차 기하학적 형태에 의한 구성적 양식으로 들어갔으나 P.C.몬드리안과는 또다른 독자적인 발전의 자취를 남겼다. 주요작품으로는 《푸른 산》 《즉흥 14》 《검은 선들》 《가을》 《콤포지션 7》 등이 있으며, 또 추상미술 이론가로서도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
ber das Geistige inder Kunst》(1921) 《점 ·선 ·면 Punkt und Linie zu Fl
che》(1926) 등의 저술도 남겼다.

칸딘스키의 묘한 색채 배열은 꽤나 매력적이다. 사실 미술은 잘 모른다. 그리고 추상화는 더더욱 모른다. 하지만 칸딘스키의 대부분의 추상화가 마음에 쏙 든다. 만약 내가 집을 산다면 칸딘스키의 이 yellow red blue는 꼭 걸어놓고 싶을 정도로.
색채가 화려한 작가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클림트나 피카소도 좋다. 물론 인상파 화가들의 그림도 좋아하지만.
사실 미술에 대해서는 쥐뿔도 모른다. 다만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들이 부러울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