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과 나, 김처선
이수광 지음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항상 역사의 뒤편에 있던 내시. 늘 왕의 뒤에서 왕을 보좌하는 신하이다. 아마 내시라는 존재가 왕에겐 가장 친숙한 존재가 아닐까 싶다. 하지만 그런 내시는 항상 역사에서도 사극에서도 일개 조연일 수밖에 없었다. 그도 그럴 것이 역사엔 내시가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내시에 대해 아는 것도 없었을 것이다. 그런 내시라는 존재가 얼마 전, 사극드라마와 책에서 드디어 주인공이라는 자리를 꿰찼다. 그의 이름이 바로 ‘김처선’ 이다.
내시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들이 몇 없다. 그저 남자구실 하지 못했던 존재라고만 생각했다. 늘 보던 사극드라마에서는 왕을 주인공으로 하거나 위대한 업적을 남긴 인물들을 그렸다. 그래서인지 내시의 삶을 다룬 이 책이 더 호기심을 느끼게 되었다. 늘 역사의 뒤편에 서있던 그들이 어떻게 그려질지도 궁금하였고, 우리가 알지 못 했던 그들의 삶이 궁금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지금 방영하고 있는 드라마 ‘왕과 나’와 비교해 보며 보는 재미 또한 있었다.
이 책은 예종의 의문의 죽음으로 막을 연다. 예종이 죽음으로서 자산군이 왕위에 오르고 김처선은 무임으로 궁을 떠나게 된다. 하지만 후에 김처선은 다시 궁으로 돌아가 성종과 연산군을 보좌하게 된다. 그 속에서 그려지는 권력다툼은 긴장감을 더 고조시켰다. 흔히들 그려지는 왕의 자리를 놓고 펼쳐지는 권력다툼뿐만 아니라 왕비의 자리와 내시들의 권력다툼 또한 잘 그려져 있었다.
성종이 왕위에 오른 후 무임으로 궁에서 나온 김처선은 아내와 양자를 들이며 7년간의 세월을 보낸다. 그 후, 판부사 내시인 한필주의 부름으로 다시 궁에 들어오게 된다. 한필주가 그를 다시 궁에 불러드린 이유가 바로 후궁들의 암투로 인해 내시부에 닥칠 위험을 막아달라는 것이었다. 한 때 자신이 귀여워했던 윤 숙의가 왕의 후궁이 된 것을 알고 그녀를 중전의 자리까지 올리는 데 성공한 김처선. 그 후에도 윤 씨를 도와주게 되지만 윤 씨는 결국 다른 후궁들의 모함으로 인해 사약을 받들고 죽게 된다.
조선 나라 임금의 혼이시여, 돌아오소서. 구만리 창천을 지나 이승으로 가지 말고 돌아오소서. 처선은 눈물이 주르르 흘러내렸다. 얼마나 야속한 임금인가. 자신의 부인인 중전 윤씨를 폐출하여 서인으로 만든 뒤에 사약을 내려 죽게 한 임금이었다.-p.266
폐비 윤씨가 죽기 전 그에게 원자를 부탁했고, 그는 윤씨의 부탁대로 그를 18년간 어머니를 대신했다. 그 원자가 바로 연산군이었다. 연산군이라 하면 왕의남자에서 칼을 뽑아들고 두 후궁들을 죽인 모습이 생각난다. 그 영화를 보고 국사선생님께 왜 연산군은 그런 폭군이 되었을까요? 물었던 기억이 난다. 그의 답은 간단명료했다. ‘그건 시대가 낳은 비극일 뿐이야’ 라고 답해주었다. 권력다툼이 치열했던 시대에 피해자인 연산군의 손에 김처선은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다.
가장 치열했던 조선시대를 내시의 눈으로 바라보았다. 치열한 권력다툼 뒤에서 왕을 위해 충성을 다했던 내시들의 삶. 하지만 그들도 사람인지라 권력다툼 속에서 피해자이기도 했었다. 왕들의 뒤에서 왕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도 했던 그들의 이야기가 아름답고 감동적이고 또 슬펐다.
내시이기 때문에 비루하지 않아도 비루하다고 손가락질을 받던 탓에 그의 허리는 언제나 수그러져 있었다. 당당하게 호령하소서. 영감의 학문이 사대부를 능가하고 경륜이 재상에 앞서니 당당하게 호령하소서. 임금에게 호령할 수 있는 사람은 영감밖에 없습니다. 그를 위로했던 말이 죽음으로 가는 길을 재촉한 것인지도 몰랐다.-p.325
여러 왕을 섬기며 그들의 곁에서 충성을 다했던 김처선. 그의 죽음이 지금도 안타깝다. 또 그의 곧은 정신이 아직도 생생한 감동으로 느껴진다.
이 책의 주인공인 김처선을 중심으로 내시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역사 속에서도 내시가 많은 천대를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들 역시 사람이었다. 드라마 왕과 나에서 전광렬이 했던 대사를 인용하자면, 내시도 기뻐서 웃을 수도 있고 기뻐서 눈물을 흘릴 수도 있다. 또한 그들은 희로애락의 감정을 느낄 수도 있었다. 단지 그들은 일반인과 조금 달랐을 뿐 그들의 품성은 충성 그 자체였다. 이 책을 통해 내시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