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가장 큰 고통 가운데 하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고통이다"

- 월터 배젓(Walter Bagehot) - P221

무엇을 예금이라고 할 것인가란 무엇인가?


은행의 가장 대표적이고 전통적인 수신 상품은 예금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각종 법률에서는 은행뿐만이 아니라 우체국, 상호저축은행,
신협 등도 예금을 취급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렇다면 예금이우리나라에서는 예금을 다른 금융 상품과 구분하려고 할 때 정체identity)와 속성(property)을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 지급수단이라는속성을 보고 비트코인을 화폐라고 착각하는 것이 그 예다. 지급수단으로만 보면 어음도 화폐라고 해야 하지만, 이에 동의하는 사람은 없다. 예금도 마찬가지다. 소비임치계약(민법 제702조)이라는 속성을 예금의 정체라고 믿는 것은 착각이다.


소비임치계약이란 
물건을 맡은 사람이 일단 소비하고 나중에 동종 동량으로 갚는 계약을 말한다. 창고업 같은 통상적인 임치계약에서는 물건을 맡은 사람이 소비하는 것을 금지하지만, 소비임치는 소비가 허용된다.

.. - P253

그렇다면 은행들이 취급하는 수많은 금융상품 중에서 어디까지를 예금으로 보고 지급준비의무를 적용하느냐를 판단해야 하는 문제가남는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그 판단을 중앙은행에 맡긴다. 지급결제 업무는 통화정책 운용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각국 중앙은행들은 예금의 범위를 비교적 넓게 설정하고 낮은 수준의 지급준비율을 적용한다. 예외를 적게 만들어야 빠져나갈 구멍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런 나라에서는 정기예금과 채권은행채)을 구별하지 않고 동일하게 지급준비의무를 부과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예금의 범위를 정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한국은행이 예금의 범위를 넓히면 상업은행들의 지급준비의무 부담이 커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지극히 통화주의적 발상이다. 통화주의적 관점에서는 지급준비제도를 규제 차원에서만 본다.
그래서 ‘지급준비세(reserve tax)‘라는 말이 생겼다. - P2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y do you always bring upthe bad things?"

"If you didn‘t have bad things, you wouldn‘thave good things. They would all just be things. Didyou ever think about that?"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돈이란 무엇인가 ]
...
서양에서 돈은 ‘경제적 가치를 표현하는 물건‘이라고 본다. 반면동양에서는 ‘다른 물건의 가격을 표현하기 위해 사회구성원(또는 최고권력자)들이 정한 약속‘이라고 본다.

경제사학자인 킨들버거Kindleberger는 이러한 동서양의 생각 차이를 사유재냐, 공공재냐‘의 문제로 해석한다. 돈을 물질이라고만 보게되면 틀림없이 모든 돈에는 소유권이 있다. 하지만 돈을 사회구성원의 합의로 만든 사회제도(예를 들어 헌법)로 보게 되면, 돈은 모든 사람의 공동 소유물이다.( 찢어진 돈을 공짜로 교환해 주는 것은 파손된 도로를 세금으로 고치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래곤과의 춤 3 - 전면개정판 얼음과 불의 노래 5
조지 R. R. 마틴 지음, 이수현 옮김 / 은행나무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으로 가려면 돌아가야 한다." - P4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인간은 오류에 빠지는 순간 맹목적이 된다 ]

심리사회학자 솔로몬 아시는 인간이 다른 사람들에게 맞춰가기 위해 자신의 생각도 부정할 때가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줄이 있는데 집단 구성원들은 모두 줄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고 생각하는 반면 나 혼자만 줄의 길이가 모두 똑같다고 생각한다고 해보자. 내 의견을 끝까지 관찰할 수 있을까? 결국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맞춰가는 것이편해서 원래 나의 생각을 접을 수도 있다.

하지만 2005년 애틀랜타 에머리대학교의 연구원 그레고리 번Gregory Berns는 MRI를 이용해 아시의 실험을 새롭게 해봤다. 번스가 본 것은 무엇일까? 믿기 힘들지만 위 실험을 진행하자 인지충돌 처리를 담당하는 두뇌의 부분은 작동하지 않고 오직 공간인식과 관련된 두뇌 부분만 작동했다.

즉, 처음에는 다른 사람들이 틀렸다고 생각했지만 내 의견을 다른 사람들에게 맞추다 보니 그 오류가 이제는 진실로 둔갑해버렸다는 것이다.

...

오류는 단순히 의견뿐만 아니라 현실을 바라보는 인식까지도 바꾼다.
인간은 오류에 빠지는 순간 맹목적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오류인지 알면서도 쉽게 버리지 못한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