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re Dame de Paris - O.S.T. - Original Cast Recording
Various Artists 노래 / 소니뮤직(SonyMusic) / 2004년 4월
평점 :
절판



스튜디오앨범은 맨 오른쪽

지난 2월 25일부터 국내에서 공연 중인 프랑스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그 감동을 잊지않기 위해 CD는 필수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라이선스 판매되는 프랑스판과 영어판 앨범 2종류는 모두 스튜디오 앨범이다. 공연 실황과 전곡을 담은 2CD 앨범은 아직 국내에 정식 판매되진 않고 있다.  

프랑스판 스튜디오 앨범은 현재 공연장에서 팔고 있는 유일한 앨범이긴 하나 말 그대로 주연 배우들이 공연 전에 스튜디오에 모여 녹음한 앨범이다. 따라서 실황 앨범의 감동을 기대하긴 어렵지만 오리지널 캐스팅 멤버들의 화려한 노래 솜씨에 흠뻑 빠지기엔 충분하다.

아직 국내에서 공식 발매되지 않은 1999년 실황 앨범(2CD)과의 결정적 차이는 바로 에스메랄다 역이다. 스튜디오 앨범에서는 NOA가 맡은 반면, 실제 공연에서는 엘렌 세가라가 맡았다. 결국 현재 첫 에스메랄다는 엘렌 세가라로 기억되고 있지만 적어도 노래실력 만큼은 노아도 이에 못지않다.

나머지 배역은 실황 앨범과 동일하다. 콰지모도 역에 GAROU, 프롤로 역에 Daniel Lavoie, 그랭그와르 역에 Bruno Pelletier. 푀비스 역에 Patrick Flori, 클로팽 역에 Luck Mervil, 플뢰르 드 리스 역에 Julie Zenatti 등이다. 최근 발매된 영어판 앨범에도 Garou 등 일부가 참여했다.  

두번째 차이는 노래곡수다. 일단 노트르담 드 파리의 전곡은 50여곡에 이른다. 이 가운데 단 16곡만이 선곡됐다. 따라서 에스메랄다와 플뢰르 드 리스가 푀비스를 사이에 두고 부르는 Beau comme le soleil, 에스메랄다와 콰지모도의 듀엣곡인 Ma maison C'est ta maison, 에스메랄다가 철창에 갖혀 애절하게 부르는 Les oiseaux qu'on met en cage 등 좋은 곡들을 들을 수 없는 아쉬움이 있다.

세번째 차이는 노래 순서다. 대부분 극의 흐름에 맞춰 노래를 배치했지만 일부 곡들은 뒤섞여 있다. 예를 들어 푀비스가 두 여인 사이에서 갈등하며 부르는 'Dechire'는 1막 중반에 부르지만 여기선 2막 중간으로 밀렸다.  

이런 여러 가지 점에서 전곡이 실린 실황 앨범에 비해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하루빨리 국내에도 전곡이 담긴 실황 앨범이 들어오길 기대해 본다. 적어도 현 시점에선 최선의 선택임은 틀림없다. 스티브 발사모 등이 참여한 영어판 앨범은 가수들의 면면은 화려하지만, 우리가 영어권 국가가 아닌 이상 '노트르담 드 파리'의 프랑스 노래가 주는 특유의 매력을 뒤집긴 어려울 듯 하다.

                                                                              *별빛처럼


오픈 케이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Very Best Of Musicals Vol. 1
Various Artists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05년 1월
절판


이번에 유니버셜뮤직에서 나온 따끈따끈한 CD입니다. 일종의 뮤지컬 컴필레이션 음반인데 이름 그대로 베스트만 모였군요. 그럼 속을 들여다 볼까요?

1. DVD케이스 크기에 CD 2장이 담겨 있습니다. 옆에 달력은 부록이구요.

2. 겉케이스 뒷면과 달력을 펼친 모습입니다. 8월 달력엔 아이다 공연 안내가 있네요. 아이다 역에 핑클의 옥주현이 캐스팅됐다죠. 좀 불안합니다만 기대를 걸어보죠.

3. 안쪽 케이스는 디지팩입니다. CD 디자인은 단순하군요. 옆 가사집엔 영문가사와 뮤지컬 소개가 담겼습니다. 두툼한게 맘에 듭니다.

4. 가사집 펼친 모습입니다.

5. CD를 꺼낸 모습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Phantom Of The Opera - O.S.T. - 오페라의 유령 영화 사운드트랙
앤드류 로이드 웨버 (Andrew Lloyd Webber) 작곡 / 소니뮤직(SonyMusic)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내겐 이미 사라 브라이트만과 마이클 크로포드가 초연한 1987년 런던 오리지널 캐스트 앨범이 깊이 각인돼 있었다. 때문에 이번에 영화화된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OST를 구입하면서 많이 망설였다. 솔직히 한정판과 달리 '하이라이트' 음반이란 점이 더 끌렸을 정도였다. 분명 2장짜리 CD는 전곡을 다 들을 수 있는 것 말고는 귀찮은 점이 더 많으니까.  

12월 8일 국내 개봉 첫 날 영화를 보고 나서야 괜한 짓이 아니었음을 깨달았다. 분명, 새 크리스틴과 유령의 목소리도 색다른 매력이 있었다. 에미 로섬의 목소리는 사라 브라이트만보다 힘은 떨어졌으나 맑고 청아했으며 제라드 버틀러는 마이클 크로포드 못지 않은 카리스마가 있었다. 무엇보다 영화를 본 덕에 줄거리가 뚜렷해져 노래에 더 몰입할 수 있었다.

17년이란 시차 또한 무시할 수 없었다. 최근 리마스터링 앨범이 나오긴 했지만 음질이나 녹음기술면에서 1987년 앨범을 2004년 것과 비교하기는 어렵다. 무엇보다 오케스트라의 규모면에서 차이가 뚜렷하다. 두 번째 트랙 'Think of Me' 도중 크리스틴의 오디션 장면이 무대 장면으로 바뀌는 순간 울려 퍼지는 오케스트라의 장중함의 차이가 분명 달랐다. 또 영화 OST에서만 들을 수 있는 엔딩 테마 'Learn To be Lonely' 역시 팬텀 마니아에게 분명 훌륭한 보너스다.

하지만 옛 것일수록 더 좋다하지 않는가. 새 캐스트와 앨범이 아무리 훌륭하다 한들 첫 앨범의 감동을 뛰어넘을 수 있으랴. 다만 1987 런던 캐스트 앨범을 갖고 있는 진정한 '팬텀' 팬이라면, 영화 OST를 마다할 이유는 없을 듯 하다. 더구나 1장 짜리 하이라이트 앨범이 아닌가.



1987 오리지널 캐스트 앨범(왼쪽)과 영화 OST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style 2005-01-07 1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진 리뷰 감동했습니다. 덕분에 저도 한 장 구입합니다. 감사!

silver0 2005-01-08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첨 오리지날 시디를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과연 비슷한 걸 다시 구입하는것이 소용이 있을까 많이 망설였는데... 님의 글을 보고 당장 구입하기로 결정.. 저는 얼마전에 뉴욕 브로드웨이에 가서 직접 오페라를 보고 왔었습니다. 그 감동은 정말 평생 잊혀지지 않을거에요. 근데 이번에 영화로 나온것을 보고 가슴이 뛰더군요. 낼 꼭 가서 보렵니다. 좋은 글 고맙습니다.

별빛처럼 2005-01-10 2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영화 두 번 보고나니 음악의 감동이 더해지는군요. 2CD가 나와 선물용으로 살까 망설이고 있는데, 전 1CD로 충분한 것 같습니다.
 
The Motorcycle Diaries - O.S.T.
Various Artists 연주 / 유니버설(Universal)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영화를 보고 OST를 사야지 마음먹는 일은 많지만 실제 구입하는 건 정말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다. 애써 구입해봐야 영화의 여운이 가실 때쯤 구석에 처박히고 만다. 그만큼 제대로 된 OST 앨범을 만나기도 쉽지 않다.

그런 한계를 넘은 OST 가운데 하나가 바로 쿠바 음악의 입문 음반격인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이다. 그리고 여기 또 하나, '모터사이클 다이어리'가 그 뒤를 이을 듯 하다.

무척 기억에 남는 영화다. 11월 국내 개봉을 앞두고 미리 '체 게바라 평전'을 구해 읽는 열의까지 보였으니. 사실 이 영화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체'라는 코드 때문만은 아니다. 오히려 월터 살레스 감독의 전작 '중앙역' 탓이 더 컸다. 로드무비를 즐기는 편인 데다 남미의 황량한 풍경과 음악이 딱 맞아떨어진 영화 '중앙역'은 정말 인상깊었다.

이번 작품 역시 그런 기대를 무너뜨리지 않았다. 이야기 자체가 두 청년이 아르헨티나를 출발해 칠레, 페루 등 남미대륙을 두루 여행하는 것인 만큼. 그리고 남미의 아름다운 정경을 타고 흐르는 어쿠스틱풍의 기타 연주는 기가 막히게 어울렸다.

영화음악은 아르헨티나의 작곡가인 구스타보 산타올라야(Gustavo Santaollala)가 맡았다. 보진 못했지만 얼마전 개봉한 영화 '21그램'에서도 역량을 발휘했다고 한다. 그의 진가는 여행 장면 곳곳에 흐르는 기타 반주에서 드러난다.

오프닝, 아뻬르뚜라(Apertura)를 시작으로 두 젊은이의 여정 곳곳에서 남미 풍경들과 멋진 조화를 이룬다. 특히 '좁은 길'이란 뜻의 '센데로(Sendero)'는 어쿠스틱풍의 기타 리듬이 무척 인상깊다. 모터사이클 '포데로사'에 의존해 신나게 달리고 있는 두 젊은이의 여정이 어쩐지 순탄치만은 않음을 암시하는 듯 하다. 잔잔하게 흐르는 '하르딘(Jardin; 정원)'도 인상 깊다.

기타 반주 못지 않게 장면 장면에서 감초처럼 등장하는 보컬 역시 빼놓을 수 없다. 이 앨범의 백미 중 하나가 바로 Maria Esther Zamora가 부른 '치삐 치삐(Chipi chipi)'. 체와 알베르토가 모터사이클을 고치기 위해 잠시 머문 칠레의 한 도시에서 열린 무도회 장면에서 흐르는, 절로 어깨가 들썩이는 탱고풍의 노래다.

'께 리코 엘 맘보(Que Rico El Mambo)'와 앨범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Jorge Drexler가 부른 발라드풍의 '알 오뜨로 라도 델 리오(Al Otro Lado Del Rio; 강 건너편에)' 역시 머릿속을 계속 맴돈다.

라틴기타, 탱고, 맘보, 발라드 등 라틴 음악의 다양한 장르를 아우른 이 앨범으로 남미 음악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듯하다.


(이 글은 네이버·포노에 있는 제 개인 블로그에도 올렸습니다...별빛처럼)


앨범 사진(별빛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Blues : The Soul Of A Man - O.S.T - Martin Scorsese Presents
Various Artists 노래 / 소니뮤직(SonyMusic)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지난 20일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린 <더 블루스> 특별전에서 '소울오브맨'을 본 뒤 주저없이 구입한 앨범.  

영화를 보고나서 O.S.T를 사지 않을 수 없으리라는 어느 평자의 말이 과장은 아닌 듯 하다. 이 앨범에는 빔 벤더스의 다큐멘터리 '소울오브맨' 에 등장하는 세 주인공, 스킵 제임스와  J. B. 르누아르, 블라인드 윌리 존슨의 노래들이 빼곡히 담겨 있다. 그들이 직접 부른 노래는 단 세 곡뿐이지만 나머지 곡들은 그들을 추모하는 후배 뮤지션들이 영화 속에서 직접 부른 노래들이어서 더 큰 감동을 준다.

블루스에 익숙치 않더라도 영화를 본 이들이라면 부담 없이 다가갈 수 있는 입문 앨범으로 손색없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