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러셀 로버츠 지음, 이현주 옮김, 애덤 스미스 원작 / 세계사 / 201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이 모호하다는 생각이 든 것도 잠시, 입 안에 머금으면서 다시 읽어보니 참 좋은 제목이라며 혼자 감탄했다. 단순히 ‘나를 만드는 것들’이 아니라 ‘내 안에서’라는 말 때문에 더 마음에 들었는지도 모르겠다. 한편으론 내 안에서 과연 나를 만들 만한 재료가 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하다. 누구보다 내 자신을 잘 들여다보고 알고 있지만 스스로에게 관대하고 우유부단하며 한결 같을 수 없기에 그런 재료가 내 안에 들어있다고 자각할리 만무하단 뜻이다. 그래서 더욱 더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이 책의 원 저자가 애덤 스미스라는 사실에 당황스러웠다. 읽어보진 않았지만 <국부론>의 저자로 유명했고 나 역시 <도덕감정론>이란 책이 있는지도, 애덤 스미스가 생의 마지막까지 고치고 고쳐가며 완성한 책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다. 거기다 250년 전에 쓰인 책이라고 믿기 힘들 정도로 지금 읽어도 손색이 없다. 또 한 번 고전의 묘미를 느꼈고 도덕적인 면을 강조하는 이 책이 팍팍한 현 시대를 살아가는데 오히려 위로가 되는 것 같았다.
애덤 스미스는 우주의 중심이 나라고 착각하고 살아가는 때가 많다고 말했다. 나 역시 그렇게 살지 않았던 때가 거의 없었으므로 깊은 수긍을 하면서 우리 안의 공정한 목소리인 관찰자의 존재를 항상 인식하라는 말에 뜨끔했다. 가끔 그럴 때가 있다. 어떤 계기가 되어 내 자신에서 한 발짝 벗어나서 나를 바라볼 때의 그 어색하고 낯설고 부끄러웠던 일. 그렇게 나를 바라봤던 계기는 기쁜 일보다 안 좋은 일이었을 때가 더 많았다. 그 후에 어떠한 결정을 내렸는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일단 내 자신에서 한 발짝 벗어났다는 것은 애덤 스미스가 말한 공정한 관찰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는 것이므로, 인지를 하며 살았다는 데서 오는 안도감 같은 것이었다.
애덤 스미스는 ‘인간이 아무리 이기적인 존재라 할지라도, 기본 바탕에는 선한 본성도 있다. 자신에게 아무런 이득이 없을지라도 다른 사람의 행복을 진심으로 바라기도 한다.’라고 했다. 이 선한 본성을 출발점으로 공정한 관찰자와 끊임없이 마주하면 자기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는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안다. 특히나 요즘 같이 경제도 어렵고 타인에 대한 배려가 줄어드는 세상에서 그렇게 살아가려고 노력하는 건 자칫 고리타분해 보이고 어리석어 보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애덤 스미스의 말마따나 공정한 관찰자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인생을 살아갈 때 과연 행복할까란 질문을 던져보면 답이 나온다.
현 시류가 그렇기에, 나만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다는 말은 공정한 관찰자와 타협하기에 딱 좋은 말이다. 하지만 공정함 앞에서는 타인을 그렇게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타인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지 않는 한, 공정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살아갈 때 남들과 비교해서 좀 뒤쳐졌을지라도 훨씬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거란 확신이 들었다. 어떠한 결과물에 대한 만족이 아닌 차곡차곡 자신의 삶을 공정하고 성실하게 쌓아간다는 데서 오는 만족이라는 사실도 말이다.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을 바로 읽는다면 이 책처럼 재미있게 읽을지 장담할 수 없다. 이 책은 저자가 <도덕감정론>을 풀어서 현대인에게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한 책이기 때문이다. 문득 <도덕감정론> 원본을 읽어보고 싶단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이 책으로 애덤 스미스가 주장하는 것들과 저자의 설명과 경험들이 곁들어져서 충분한 메시지를 받았다. 이제 그것을 실천하는 일만 남았는데 꼭 특별한 것만이 실천의 달성은 아니라고 본다.
수많은 결함과 시행착오에도 불구하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이 세상, 이 세상을 만드는 데 있어 우리가 각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스미스의 주장이다. (243쪽)
항상 내가 고민하는 부분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였다. 하지만 내가 선한 행동 한 가지를 하고 그 생각이 널리 퍼져나갔을 때 끼치는 영향을 생각해본다면 선한 마음으로 하루를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금방 드러난다. 저자의 말마따나 우리의 노력은 언제나 실패의 가능성을 품고 있고 선한 행동의 변화가 불완전하기도 하며, 인간은 결점이 많아서 알 수 없을 때가 많다. 그럼에도 이 세상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나라고 생각하며 선한 영향력을 끼치며 살아갈 때 그에 따른 변화는 언젠가 드러날 것이다. 그 때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내가 무슨 변화를 일으킬 수 있겠어?‘보다 ’나는 잘하고 있는 거야. 이대로 바르게 살자‘고 다짐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