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57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김희숙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존의 책과 번역이 다르다고 해서 처음에는 갸웃,했으나 번역을 비교해보고 깜짝 놀랐다. 마치 현대소설처럼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세트 - 전3권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김희숙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존의 책과 번역이 다르다고 해서 처음에는 갸웃,했으나 번역을 비교해보고 깜짝 놀랐다. 마치 현대소설처럼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독자모니터를 진행하고,

신청해서 받은 책들이다.


정말 선별해서 고른 책들이다.^^

 

 

1. 너무 시끄러운 고독 - 보후밀 흐라발



이 책이 출간되고 이슈가 되었을 때 정말 읽고 싶었는데,

쌓인 책들이 많아서 읽지 못했다.

계속 찜해두었다 이번에 들였다.

책은 얇지만 내용은 묵직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2. 당신의 아주 먼 섬 - 정미경



<자스민, 어디로 가니?> 책을 읽었다.

저자의 부인이 소설가라는 말에 찾아보다,

이상문학상으로 읽은 <밤이여, 나뉘어라>의 정미경 작가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작년에 암으로 돌아가셨고,

일년이 되던 날 이 책이 출간된 걸 알고 있었다.


그래서 꼭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이제야 저자의 평안함을 빌어본다.

 

 

 

3. 책과 노니는 집 - 이영서



이 책은 한 다섯 번은 산 것 같다.

그런데도 집에 이 책이 없다.

너무 좋은 책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어서,

집에 놀러온 지인들에게 주다보니 정작 내 책은 없었다.


이번에는 꼭 읽어보마 하고 신청했다.

 

 

 

4.~5. 전쟁과 평화 3,4 - 레프 톨스토이



<전쟁과 평화> 1,2권이 출간되었을 때 들여놨다.

3,4권이 없어서 이제야 이렇게 권수를 맞췄다.


개인적으로 <전쟁과 평화>를 정말 읽고 싶었는데,

그동안 맘에 드는 출판사 책을 만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문동세문으로 나왔을 때 정말 반가웠다.


이렇게 모두 들였으니, 이제 읽어봐야겠지?

장편은 계속 묵히고 있었는데,

최근에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읽으면서

장편에 두려움을 조금 깼으니 조만간 시작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3.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3 - 도스토옙스키



얼마전에 독자모니터를 맡았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이 출간됐다.

독자모니터에 참여했다고 가장 먼저 책을 보내주어서 정말 너무 감격!


택배가 온다는 소식을 들은 뒤부터 얼마나 기다렸는지 모른다.

 

 

 

표지도 예쁘다.

표지의 사람 수가 소설의 내용을 떠올리게 만든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초판본에는 이렇게 책갈피가 들어있다고 한다.

 

 

 

책갈피의 뒷면은 이렇다.

고이고이 간직해야지.^^

 

 

 

책과 함께 도착한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도서목록집이다.

열심히 모으고 있긴 한데 없는 책들이 있다.

체크해봐야지.^^

 

 

그리고 이렇게 볼펜 두 자루도 함께 도착했다.

빨간색은 도스토옙스키, 까만색은 톨스토이 볼펜이다.



이건 절대 못 쓴다. 아까워서!

전시해놔야지.^^

 

 

내게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책이 이렇게 세 질이나 있다.

문학동네 번역을 읽을 때 종종 열린책들과 비교해 가면서 읽었는데,

다른점이 많아 깜짝놀랐다.


<앵무새 죽이기>의 김욱동 님이 번역은 10년마다 다시 번역해야 한다고 했는데,

문학동네 책을 읽으면서 그 말의 의미를 느꼈다.

문학동네 번역본을 읽으면서 이 오래된 소설이 현대소설처럼 느껴졌다.



번역비교는 다음에 기회가 되면 한 번 올려보기로 하고,

내게 도착한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이 너무 예쁘고,

감격스럽고,

고마운 날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18-04-25 1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합니다.
근데 번역본이 많이 다른가요?
저도 오래 전 열린 책들 빤간 책으로 샀었는데
그 다음으로 나온 게 하얀 바탕이죠?
문동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안녕반짝 2018-04-26 11:00   좋아요 1 | URL
열린책들에서는 이제 세계문학전집에 속한 3권짜리 책으로 구입할 수 있는데요.
그 책은 없어서 번역이 달라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제가 가지고 있는 책과 비교하면서 읽었는데, 많이 다르더라고요. 도끼 옹 작품은 열린책들에서 전집을 내주어서 전 완전 맹신하고 있었거든요. 다른 건 몰라도 도끼 옹 작품은 열린책들이라고요. 그래서 민음사 책도 안 사고 있었는데, 문동 번역을 읽고 혼란스러웠어요.
다음에 문장별 비교를 한번 해보려고 하는데, 확실히 다시 번역한 문동 번역으로 읽으니 그냥 현대소설 같았어요. 번역도 시대의 흐름을 따라야 한다는 걸 느꼈어요.
기회가 되시면 한번 읽어보세요.
좋아하는 책은 여러 번역본으로 가지고 있는 것을 좋아해서 전 이렇게 소장하고 있는 책이 꽤 돼요^^

K 2018-04-26 0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도 민음사 열린책들 두종을 읽었는데요.
이번 버전도 궁금하군요. 문학동네의 번역이 어떤지 궁금하군요.
비교 리뷰를 한 번 올려주심이.....

안녕반짝 2018-04-26 11:01   좋아요 0 | URL
우와! 민음사, 열린책들을 읽으셨군요.
전 도끼옹 전집을 열린책들에서 내주어서 맹신하고 아예 다른 판본은 읽을 생각도 없었거든요.
이번에 독자모니터 참여하면서 비교하면서 읽었는데 많이 달라서 당황했어요.
조만간 몇몇 문장 골라서 비교 올려볼게요^^

K-댓글 2018-04-27 0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감사합니다 .비교리뷰 기대하게 되는군요. 사실 로쟈의 전문리뷰는 있지만 안녕님같은 글도 일반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지요. 참 범우사 버전도 있으니 참조하시길.
추신-저도 빨간 도끼 전집을 다 소유하고 있고 맹신하는 사람이랍니다.

북프리쿠키 2018-04-28 2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빨갱이 다 있어요 ~ 안녕반짝님의 비교글이 기대됩니다^^
 
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 비채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선 1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이영미 옮김 / 비채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콘래드의 소설이 우리를 실제로 아프리카의 깊은 정글 속으로 끌고가듯이. 그러나 우리 모두는 언젠가는 책장을 덮고, 현실로 돌아와야만 한다. 우리 모두는 픽션이 아닌 다른 곳에서 현실세계와 마주선 우리 자신을, 아마도 픽션과 힘을 상호교환하는 형태로, 완성해가야만 한다. 235쪽

소설과 현실 세계를 적절하게 오가게 해주는 작가 가운데 하나는 하루키가 아닌가 싶다. 그의 소설을 읽다 현실세계로 돌아오고 싶으면 그의 에세이를 읽는다. 소설 속의 절제된(왠지 모르게 하루키 소설 속의 인물들이 절제되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모습을 벗어나면 나와 같이 숨 쉬고 살아가는 저자를 만난다. 그러나 그런 만남이 글로 한정되어 있듯이 ‘잡문집’이라 이름 붙인 이 책에서 정말 다양한 저자를 만났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글과 미발표 글을 나름대로 분류해서 엮어서 만든 두툼한 이 책을 읽으면서 굉장히 많은 저자를 만난 느낌이었다.

처음엔 순서대로 서문과 해설에 관한 글을 읽다가 읽히지 않아서 오랫동안 덮어뒀다. 그러다 읽히지 않는 부분은 제쳐두고 읽고 싶은 부분부터 읽었더니 재미있었다. 제목처럼 다루고 있는 이야기가 많아서 다 읽고 났을 땐 저자를 굉장히 오랫동안 지켜본 것 같은 기분이 들 정도였다. 지금까지 글을 쓰며 살아온 시간을 한번 되돌아 본 것이랄까? 글 쓰는 것에 대해, 좋아하는 재즈에 대해, 그 외 삶의 잡다한 이야기를 듣다보니 번외를 읽는 것 같은데 실은 그것이 지금껏 저자를 두둑하게 지탱했던 중심이었다는 것을 깨달은 것 같았다.

그건 아니지, 마살리스 씨. 그런 표현은 정당하지 않아. 재즈라는 음악은 이미 세계 음악 속에서 확고한 시민권을 얻었고, 그것은 달리 말해 세계 시민의 자산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뜻이지. (중략) 물론 흑인 뮤지션이 핵심 추진 세력으로 크게 경의받아야 하는 건 틀림없는 사실이고 그 역사 또한 절대 간과되어서는 안 되겠지. 그러나 그들만이 그 음악의 유일한 정통적 이해자요 표현자이며 다른 인종은 그곳에 낄 틈이 없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너무나 오만한 논리이자 오만한 세계관이 아닐까. (144쪽)

저자가 재즈를 좋아하는 사실은 익히 알고 있지만 내가 아는 재즈는 깊이가 너무 얕아 좋아하기도, 싫어하기도 힘들었다. 그러다 이 문장을 읽고 재즈를 정말 좋아하고 나름대로의 세계관이 있다는 인지가 되었고, 책을 읽다 궁금한 재즈 음악을 찾아 들으면서 느긋하게 책을 읽어 나갔다. 읽고 싶은 만큼 읽고, 공감할 수 있는 부분에서 감동하고, 언급된 책들을 찾아서 읽다 보니 더 많은 세계를 만난 듯 했다. 번역에 관한 부분을 읽다 그가 좋아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책장에서 빼왔다. 카버, 샐린저, 폴 오스터의 책을 꺼내놓고 조금씩 읽자 내 책장에서 잊혀지고 있던 작가를 다시 재조명해주는 것 같아서 고마웠다.

소설을 쓴다는 것은 다시 말해 이야기를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야기를 만드는 일은 자기만의 방을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방을 마련하고, 그곳으로 사람들을 불러 편안한 의자에 앉히고, 맛있는 음료를 내놓고, 상대가 그곳을 아주 마음에 들게 하는 것. 마치 자기만을 위한 장소인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 (445쪽)

저자는 그런 방을 꾸준히 만들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그가 만들어 낼 방을 기대하며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생각건대, 우리는 우리를 물어뜯거나 찌르는 책만 읽어야 한다. 책은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트리는 도끼여아만 한다.’는 프란츠 카프카의 편지를 인용해 저자가 쓰고자 하는 ‘책의 일관된 정의’를 더 느껴보고 싶기도 하다. 다소 과격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읽는 이의 바다를 깨트리는 일은 굉장한 일이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