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려진 자들의 영웅 - 차별에 맞선 위대한 혁명가 빔 암베드카르 ㅣ 다른만화 시리즈 6
스리비드야 나타라잔, S. 아난드 지음, 정성원 옮김, 두르가바이 브얌, 수바시 브얌 그림 / 다른 / 2012년 4월
평점 :
사람들은 우물에서 시원한 물을 마셔요. 짐승들도 여물통에 담긴 물을 배가 터질 때까지 마실 수 있죠. 하지만 내가 목을 좀 축이려고 하면 사방이 모두 사막으로 변해 버려요. 25쪽
인도의 사회운동가이자 혁명가인 암베드카르는 어릴 적 학교에서 물을 마실 수 없었다. 불가촉천민이라는 이유로 접촉하는 것을 꺼려하는 사람들 때문이었다. 불가촉천민에게 물을 주느니 쏟아붓겠다고 말한다. 그것뿐만이 아니다. ‘사람들은 물소 털을 빗질하고 염소 털을 깎아 줍니다. 하지만 불가촉천민 머리카락은 깎아 주질 않아요. 차라리 목을 잘라버리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읽는 내내 짜증과 분노 때문에 너무 답답했다. 당장 책을 덮어버리고 싶었지만 그런다고 불가촉천민들이 구제를 받는 것도 아니고, 같은 인간임에도 신분으로 차별하는 그들의 의식이 바뀔 리도 없다는 걸 알기에 왜 이러는지 이유라도 알고 싶었다.
1923년 봄베이 정부가 수돗물, 우물, 학교 등 공공 기금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발표하자 힌드교도들은 자신들의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반대하기 시작했다. 암베드카르는 불가촉천민 3천 명과 함께 4년 간 평화 시위를 한다. 그리고 지지자들과 함께 힌두교의 상징적인 마누 법전을 불태운다. 마누 법전은 카스트 제도를 옹호 하고 차별을 정당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교의 법전에서 이렇게 차별을 대놓고 인정하고 있으니 신분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람이 사람을 짐승만도 못하게 여기는 게 당연했는지도 모른다.
그들의 종교와 우리 종교가 같다면, 당연히 그들의 권리와 우리 권리도 같아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가요? 그렇지 않다면 그들은 도대체 무슨 근거로 우리가 힌두 사람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걸까요? 날마다 걷어 차이고 퇴자를 맞는데 말입니다. 53쪽
암베드카르는 세상을 떠나기 직전 불교로 개종한다. 불가촉천민으로 차별 받아온 그는 카스트 제도를 정당화하는 힌두교를 거부하기 위한 대안으로 불교를 택한다. 힌두교에서 벗어나야만 진정한 민주주의와 평등이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가 불교로 개종하자 50만 명이 함께 개종했다고 한다. 그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얼마나 그를 따르고 존경해하는지 단적으로 알려주는 일이었다. 이런 암베드카르를 네루 수상은 초대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헌법안의 첫 조항에는 ‘어떤 시민도 차별할 수 없다’라고 되어 있다. 거기다 여성들이 좀 더 공평하게 살 수 있도록 바랐다고 한다.
미국과 영국에서 교육을 받고 돌아왔지만 인도에서 그는 여전히 불가촉천민이었고 차별을 받았다. 그는 자신이 받은 교육으로 신분의 차별이 있지만 좀 더 편하게 살 수 있었음에도 약자의 편에 서서 사회운동을 한다. 그가 평화적으로 시위를 했음에도 불가촉천민들이 저수지를 이용했다는 이유로 돌아온 것은 폭력과 오물로 뒤덮인 저수지였다. 그럼에도 그는 끝까지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것을 바라며 행동했다.
저는 우리의 정의가 지는 걸 본 적이 없습니다. (중략) 여기엔 물질적이거나 사회적인 것은 개입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부나 권력을 쟁취하기 위해 싸우는 게 아닙니다. 우리는 자유를 위해 싸우는 것입니다. 우리의 싸움은 인간 존엄성 회복을 위한 싸움입니다. 91쪽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암베드카르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부끄럽기까지 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인간이 인간에게 행하는 차별을 위해 노력했다는 사실이 숙연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 책의 그림과 글은 무척 독특하다. 인도 곤드족의 예술로 표현되었다고 하는데, 글의 경계가 없어 읽기에 조금 불편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이 책에서만큼은 차별받고 나뉘질 않길 바랐다. 그림들이 신비하다 못해 낯설기까지 한데, 인도의 카스트제도가 우리에게 와 닿는 것은 이것 이상으로 낯설었다.
과연 이러한 차별이 인도에서만 벌어지고 있을까? 우리는 지역, 출신, 경제적 능력 등 보이는 것들로 차별하지 않으며 살고 있을까? 사람과 사람이 함께 더불어 가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지금도 18분마다 불가촉천민들은 범죄에 희생되고 있다고 한다. 암베드카르가 활동했던 시대와 별반 다를 게 없어 보이지만 인도에서도 조금씩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하니 나아지리라 기대해 보는 수밖에 없다. 암베드카르의 노력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믿고 있다. 그리고 그 노력이 헛되지 않음을 보여줬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