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별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 호호 아줌마의 장애 인권 이야기
김효진 지음, 김숙경 그림 / 웃는돌고래 / 2017년 4월
평점 :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어요. 장애인들을 가장 힘들게 하는 건 장애로 인해 불편한 몸과 마음이 아니에요.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지요. 따라서 고쳐야 할 것은 장애인이 가진 장애가 아니라,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장애인을 차별하는 사회 구조와 제도죠. 76쪽
종종 길을 가다 장애인을 만나면 시선을 어떻게 둬야 할지 몰라 초조해질 때가 있다. 쳐다보면 실례가 될 것 같아서 최대한 신경 쓰지 않은 척 지나친다. 나름대로 다르게 보지 않는다는 시선이었는데, 어쩌면 그런 시선도 차별이 될 수 있다 느끼니 난감해졌다. 다르게 보지 않으려는 시선은 좋지만 다르니까, 다르게 보지 않으려는 딜레마에 빠진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참 무지했고 장애인 인권에 관해 관심이 없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선천적 장애는 약 11퍼센트에 불구하고 모두 후천적 장애인데, 내게는 일어나지 않을 것처럼 그저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말이다. 저자는 ‘그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울려 살 수 있는 준비가 아직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장애인에게 도움을 주다보면 자칫 우월감에 빠질 수 있어요. (중략) 그러니 장애인에게 도움을 주고 싶거든 평등한 마음으로 도와주세요. 그것이 진짜 도움이고, 그런 도움을 줄 때 주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진정한 기쁨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23~24쪽
그렇다면 장애인에게 어떻게 대해야 할까? 무조건 측은한 마음을 갖고 도와주어야 할까? 저자는 장애인을 도와주기 전에 “도와드릴까요?” 묻고, 어떻게 도와야 할지 확실하게 인지할 때까지 물어야 한다고 했다. 거기다 장애인의 보조기구(휠체어, 맹인견, 목발 등)는 장애인의 몸의 일부이니 함부로 만지는 일도 삼가 달라고 말이다. 종종 휠체어에 짐을 올려놓거나 기대는 사람이 있다고 하는데, 신체 일부라고 생각하면 그런 결례는 범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비장애인인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사람의 인권을 민감하게 생각하고 존중하려는 능력이 ‘인권 감수성’이라고 했다. 우리가 보통 감수성을 기르듯이 ‘인권 감수성’도 길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장애인들의 일상이 어떨지 생각해보고, ‘저 사람 입장이라면 어떨까?’ 생각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말이다. ‘일상의 차별을 발견하고 타인의 입장을 공감하면 할수록 자연스레 인권 감수성도 높아질 거’라는 저자의 말에 공감하는 바이다.
저자는 장애인이 살기 편한 사회가 비장애인도 살기 편한 사회라고 말하고 있다. 장애, 비장애를 구분하지 않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그런 사회가 이상적인 사회지만 너무 먼 얘기로만 생각하지 않고, 나와 상관없는 일이라고 치부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많이 미흡하긴 하지만 장애인이 더 편하게 생활할 수 있는 기술도 계발되고 있고, 사람들의 인식도 변화되고 있다. 차별은 언제든 누구나 당할 수 있는 폭력이다. 우리가 편견에 가득 찬 교육을 받고, 살아왔더라도 자라나고 있는 다음세대에게 물려주지 않았으면 좋겠다. 다양한 사람과 편견 없이 어울리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야말로 아이들에게 남겨주어야 할 소중한 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