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엄마가 좋은 10가지 이유 ㅣ 꼬마 그림책방 29
최재숙 지음, 문구선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0년 12월
평점 :
병설유치원에 다니는 첫째는 재량휴일로 오늘 유치원에 가지 않았다. 둘째는 어린이집에 등원을 해서 오롯이 둘만의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며칠 전부터 둘이서 무엇을 하며 놀까 하다 도서관에 가서 그림책 보고 돈가스를 먹고 오자고 했다. 아침에 둘째를 등원시키고 바로 도서관에 가서 큰 아이 도서대출증을 만들었다. 미성년자라서 만드는 방법이 좀 복잡했는데, 집에서 미리 가입을 하고 아이디를 만들어서 사진만 찍고 바로 카드를 발급받았다. 내 도서대출증이 10년도 넘은 거라 새로 발급하라 권유하기에 나도 다시 만들었다. 똑같은 카드를 만든 뒤 책도 보고, 돈가스를 먹고 버스를 타고 집에 왔다. 오늘 해본 게 다 처음이라는 첫째는 너무 재밌었다고 했다.
둘째는 말을 배우고 있는 중이라 얼마 전에 알려준 “엄마, 사랑해”를 잠들기 전에, 잠에서 깨자마자 해준다. 아직 표현 방법이 다양하지 않은 둘째에 비해 첫째는 기분과 상황에 따라 “엄마, 사랑해.” “엄마, 미워.” “엄마, 나 속상해.” 등 다양하게 말한다. 그럼에도 늘 부족한 엄마에게 사랑 표현을 더 많이 하는 편인데 그럴 때마다 고맙고 미안한 마음이 든다. 언제 이렇게 컸나 싶기도 하고, 더 잘해주고 싶은데 나도 엄마가 처음이니 실수하면서 함께 성장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첫째에게도 내가 좋은 이유가 10가지 이상 될까, 싶었다. 주인공은 매일매일 뽀뽀해 주고, 맛있는 밥을 해주고, 형이 뺏어간 장난감도 도로 빼앗아주고, 예쁘다는 다양한 이유로 엄마를 좋아한다. 반면 친구 앞에서도 뽀뽀하고, 아줌마들이랑 웃을 때는 정말 시끄럽다며 엄마를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도 한다.
주인공은 엄마가 그림책을 읽어주며 잠 재워줄 때도 좋다고 했다. 엄마가 읽어주는 <아기돼지 삼형제>의 내용이 덮고 있는 이불위로 펼쳐지는 부분에서 행복한 잠으로 빠지기 직전이라는 걸 알 수 있었다. 아이들이 듣고 있는 책 내용이 그렇게 이불 위에 펼쳐진다는 상상력이 참 좋았다. 그러나 이내 책 속의 동물들과 배경이 뒤엉켜서 모두 날아가는 장면에서 ‘그래도 중간에 빼먹고 읽지는 마, 응?’ 하는데 순간 너무 공감이 가서 빵 터졌다. 나도 너무 피곤할 때 슬그머니 두 장씩 넘기거나 글씨를 빼 먹고 읽는데, 그럴 때마다 첫째가 여기 빼먹었다고 친절히 알려주면 마지못해 읽어준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책을 읽다 먼저 잠들어버린 엄마를 보며 ‘그런데 사실은…… 난 엄마가 우리 엄마라서 그냥 좋아.’ 라고 말하는 주인공을 보며 나도 모르게 행복한 웃음이 배어나왔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우리 엄마라서 그냥 좋아.’라는데 굳이 설명이 필요할까 싶었다. 내가 낳은 아이들이니 그냥 사랑스러운 것처럼 아이들도 내가 엄마라는 이유로 좋아해주면 그것보다 더 기쁜 게 있을까 싶다. 부모가 된 뒤로 삶을 살아가는 수많은 이유가 아이들이 되어가는 것. 그것이 때론 힘들 때도 있지만 행복할 때가 더 많다는 걸 조금씩 느끼고 있다. 우리 부모님도 그랬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뭉클거리면서도 내 아이들을 키울 힘이 더 난다. 그렇게 사랑은 대물림이 되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