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물 관찰 도감
윤주복 지음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2년 6월
평점 :
품절
아이들과 봄이나 가을이면 들로 산으로 들꽃을 보러 다닌지 얼추 세 해가 되었다. 활동하고 있는 지역내 환경모임에서 계절마다 아이들 서른명 쯤을 모아 생태탐사를 가는 일이다. 물론 그 아이들 새에는 우리 아이들도 언제나 함께 간다. 그렇게 다녀서인지 6학년이 된 딸은 일기에도 들꽃 이야기를 쓰고 집에 와서는 그날 본 조그맣고 놀라운 들꽃 이야기를 자주 화제로 올린다.
손에 쏙 들어가는 야생화 관찰 도감들을 한 손에 들고, 때로 돋보기로 살펴보며 냄새를 맡기도 하는 아이들을 이끄는 것도 행운이다 싶은 생각이 든다. 진득진득한 진득찰, 가시가 많아 아플 것 같은 며느리밑씻개, 줄기를 꺾으면 노란 즙이 나오는 애기똥풀, 꽃잎이 열개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두쪽씩 갈라진 다섯개의 꽃잎이라는 별꽃... 이런 얘기들을 곁들이며 아이들과 산과 들을 누비다보니 두터운 식물 도감 종류만도 집에 열가지가 넘게 되었다.
어떤 책은 세밀하게 그린 그림으로, 어떤 책은 봄-여름-가을,겨울로 나뉘어 져 손에 쏙 들어가는 작은 책들로, 어떤 책은 꽃마다 나무마다 저마다 가진 이야기로 술술 풀려져나오는 문학의 향기 넘치는 책으로... 진선출판사에서는 아름다운 사진 한 컷 한 컷으로 승부하는 듯한 편집을 해 왔다. 지금 윤주복씨가 지은 이 <식물 관찰 도감>뿐 아니라 다른 책들-예컨데 식물일기, 바다일기, 나비일기 등-도 그 한 컷마다 아름다움에 혹할 만한 무수한 사진들이 빛을 발한다.
꽃을 찾기 어려워도, 설명이 상세하지 않아도, 그냥 사진으로 보는 생물들의 신비로운 모습을 보는 즐거움에 반해 이것 저것 갖추게 된 책들이다. 초등학교 선생님이었다가 아예 식물의 사진을 찍는 일을 업으로 하게 된 윤주복 님의 이번 책은 더 만족스럽다. 김태정 님이 지은 우리꽃 종류의 책들도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언제나 사진이 미흡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색깔별로 찾기 좋게 되어 있어 언제나 들고 다니지만, 막상 들판의 꽃과 사진 속의 꽃이 같은지 다른지조차 구별하기 어려울만큼 사진은 명쾌하지 않았다(인쇄 상태가 좋지 않아서인지). 또 실제로 들판에서 꽃을 찾아보기에는 불필요하게 너무 많은 정보들.. 백과사전에나 나옴직한 내용들이 반드시 덧붙여진 것도 불필요하게 느껴졌다.
윤주복 님이 지은 이 책은, 실제로 초등학교에 계시면서 아이들과 함께 꽃을 찾으러 나가보고 느낀 아쉬움과 불편함을 반영해서인지, 정말 살뜰하게 편집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알고 싶은 내용들이 거추장스럽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쏙 들어있다. 들꽃과 나무꽃이 함께 있어서 좋고, 꽃집이나 친구집들, 학교 마당에서 보기 쉬운 꽃들도 모두 모아서 좋다.
그외에도 논밭을 지나다보면 자주 마주하게 되는 흔하디 흔한, 그러나 그 이름을 부르지 못하던 풀들도 드디어 이름을 찾아줄 수 있다. 이런 것들은 흔히 보이나 따로 모아 책으로 나온 것을 찾기 어려운 것들이다. 그러니, 실제로 우리가 살면서 궁금해할 만한 식물들을 거의 모아놓은 셈인데, 이런 모음이 얼마나 유용한지는 들과 산으로 식물 도감을 들고 다녀본 사람이 더 잘 알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아무래도 들고 다닐 책은 아니다. 집에서 곁에 두고 자주 꺼내 보기는 너무나 아름답고 신비롭기까지 하고, 들과 산으로 나가기 전이나 다녀온 후에 눈에 박아 온 것들을 찾아내는 데는 좋으나, 아무래도 들고 다닐 책은 아니라 아쉽다. 실물만큼 또렷하고 재깔재깔 꼭 필요한 설명이 들어있는 이런 책을 들고 다니며 볼 수가 없다니!
그래서 출판사에 제안하고 싶다. 일곱개의 장으로 나뉘어진 이 책을, 과감히 일곱개로 쪼개서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어내면 어떨까 하는 것이다. 얇고 말랑말랑한 일곱개의 속 책들이 하나의 통일된 묶음으로 조금 딱딱한 종이 상자(책장에 꽂아두고 낱권씩도 꺼낼 수 있도록 한 쪽이 틘)에 들어갈 수 있는 형태면 되지 않을까? 정말로 이 두꺼운 책을 쪼개서 들고 다니고 싶다. 부제에서 보여주듯,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의 모든 것'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