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먼저 봤다. 이미 오래전이다. 유명한 영화이고 감동적인 영화였다.. 

며칠 전 안토니오 스카르메타의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를 읽었다. 영화보다, 훨씬 좋았다. 하지만 영화를 다시 보고 싶다. 다시, 제대로 한번 더 보고 싶어진다. 책을 읽어서이다. 

1994년, 베니스 영화제에 이탈리아에서 만든 영화 <일 포스티노>가 최초로 상영되었다. 마이클 래드포드 감독. 네루다 역에 필립 느와레, 마리오 역에 마씨모 트로이시. 책에서 떠오르는 마리오보다 영화의 마리오는 나이들어보인다. (마이클 래드포드 감독은 2004년에 <베니스의 상인>을 감독했다.)

96년, 아카데미 다섯 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외국 영화로는 73년 이래 처음으로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수상은 음악상에 그쳤지만, 이 영화는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관객이 본 외국 영화로 꼽힌다. 

1985년, 원래는 <불타는 인내>라는 제목으로 이 책이 출간되었다. 이 소설이 나오기 전까지 스카르메타는 동일한 이야기를 연극으로 올리고 라디오 극으로 만들 정도로 집념을 보였다. 친구와 함께 직접 감독과 배우를 겸한 영화로도 만들었다. 스카르메타가 만든 영화는 칠레에서 15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기염을 토했다. 94년에 만들어진 영화 <일 포스티노> 이후에 소설의 제목을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로 바꾸었다.  

이 이야기에서 스카르메타는 '가벼운' 네루다를 창조한다. 네루다는 정치가이며 시인이었다. 네루다 시집 중 가장 어렵다는 <지상의 거처>와 장중함이 돋보이는 <모두의 노래>의 시는 별로 인용하지 않는다.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의 시나 사랑의 시들을 주로 이용한다. 이야기에 걸맞는 인용이다. 사랑의 시들 만으로도 네루다는 충분히 위대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인리히 뵐의 <카나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를 읽었다. 

누군가 꼭 써야 할 내용, 많은 이들이 꼭 읽어야 할 내용. '혹은 폭력은 어떻게 발생하고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 라는 부제.  하이에나같이, 죽을 때 까지, 죽고 난 뒤에도 물어뜯는 황색언론에 대한 분노를 촉구한다. 

1917년 독일의 쾰른에서 태어난 하인리히 뵐이 1974년에, 그러니까 57세에 출판했다. 그는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를 쓴 작가 이기도 하다. 72년에 노벨상을 받았다. 

그는 68년 본에서 비상계엄 선포에 반대하는 시위대 7만 명 앞에서 연설을 했다. 74년에 러시아 작가 알렉산더 솔제니친이 체포, 추방되자 뵐의 집으로 피신해왔다. 78년에 그가 속한 국제위원회가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수년 전부터 투옥된 시인 김지하의 석방을 청원했다. 베트남 난민을 위한 사설 원조 기구에 동참하고, 폴란드의 군사 정부에 반대 시위를 하고, 녹색당을 지지했다. 1985년에 사망. 뵐의 사망 후 독일의 많은 학교가 뵐의 이름을 학교 이름으로 사용했다. 

 

1975년에 폴커 슐렌도르프에 의해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가 영화화 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이에자이트 2010-09-26 15: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귄터 그라스와 하인리히 뵐은 독일 보수파가 엄청나게 싫어하더군요.이 책은 한동안 별로 인기를 못끌다가 작년 무렵부터 화제가 되고 있군요.

2010-10-03 02: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활동 종료] 6기 여러분 고생 많으셨습니다.

석달, 길지도 않은 기간인데 그새도 '자유롭게 읽고 쓰지 못하는' 시간이 오리라고는 미처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6월 한 달을 꼬박 '갑자기 떨어진 일'에 매달려 책 읽을 시간조차 내기가 쉽지 않아 미루기도 하고 빚진 마음에 눌려 무리하게 읽고 쓰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시간 안에 '숙제'를 다 하지 못해 잔뜩 미진한 마음입니다. 7월 초에 일이 끝나 이제 해방되고 그새 읽지 못한 책들을 마저 읽어냈습니다. 늦더라도 숙제는 마무리해야지.. 하고 생각하는 중입니다. 약속을 다 못지켜 담당자님께 미안한 마음- 또 우연히 주어지는 책을 행운처럼 즐기지 못한 상황에 대해 아쉬운 마음으로 이 시간을 맞게 되었습니다.   

또 하나, 그런 개인적인 사연 말고 선정된 책에 대해서라면, 실은 썩 내키지 않는 책이 생각보다 아주 많아서 의외였습니다 (내맘대로 좋은 책 베스트 5가 안 나오는 난감한 상황..). '인문학'이라는 파트에 실용서가 더 많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목은 그럴싸하게 달고 있어서 호기심과 함께 정작 읽기 시작하면 내용이 '전혀 궁금하지 않은', 특정인들만 집어들고 읽어야 할 책들이 꽤 있어서 읽는 내내 의무감이었던 책들.. 절반 이상이 그랬던 것 같습니다. 그리 편향되지 않고 두루 읽는다고 생각해왔는데 어쩌면 그게 아닐지도..라는 생각과 자기 개발, 심리치료, 성공적인 삶- 을 위한 책이 왜 이리 많은가? 라는 생각이 동시에 들었습니다. 한 가지 예라도 들어보자면 사마천의 <사기열전>을 20대에게 노골적으로 '처세술과 경영 전략과 다스리는 지혜를 배우기 위해' 이렇게 읽어라는 주문을 하고 있는 책은, 포장이 그럴싸해서 더 거북했습니다. 인문 정신과는 참 맞지 않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죠.

이런 저런 이유로,  

아아 아쉬워라~  

 

신간평가단 활동시 가장 기억에 남았던 책과 그 이유: 
 

<다시 민주주의를 말한다>  

책 한 권에 담긴 열 두 편의 글, 한국 사회에서 신념에 따라 살면서 부지런히 세상을 향해 발언하는 열 두 저자의 강연 요약집은 뜨거웠습니다. 책을 읽고 있는 동안 여러 독자를 열정에 휩싸이게 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시민을 위한 민주주의 특강', 이라는 부제답게 우리 사회의 현 주소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걱정하고 고민하는 사람들과 함께 돌려보고 뒷이야기도 함께 나누어보고 싶은 책입니다.  

 

신간평가단 도서 중 내맘대로 좋은 책 베스트 5 : 

<다시 민주주의를 말한다> <그림이 들리고 음악이 보이는 순간>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플레이, 즐거움의 발견> <  >
 

신간평가단 도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무엇보다도 시민교육은 시민의 삶에 가해지는 고통의 양을 줄이기 위한 교육이고 삶의 의미와 가치와 품위를 드높이기 위한 교육이다. '더 나은 세계를 향한 사유와 행동'의 모색, 그것이 시민교육의 내용이고 목표이다.                       

<다시 민주주의를 말한다> 중에서 도정일의 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신간평가단 2010-07-10 0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 죄송해라. 제가 좀 더 노력하겠습니다. 흑.

끝까지 노력해주셔서 감사드리고요, 저도 무려 서점에 다니면서, 참, 일과 독서를 병행하기가 쉽지 않음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모쪼록 7월은 좀 더 여유롭게 보내시길.

2010-07-17 00: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인디언들은 말을 타고 달리다 

이따금 말에서 내려 자신이 달려온 쪽을 한참 동안 바라보았다 한다. 

말을 쉬게 하려는 것도, 자신이 쉬려는 것도 아니었다. 

행여 자신의 영혼이 따라오지 못할까봐 

걸음이 느린 영혼을 기다려주는 배려였다. 

그리고 영혼이 곁에 왔다 싶으면 

그제서야 다시 달리기를 시작했다. 

 

박민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39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얄 패밀리쇼 <스노우맨> 초대 이벤트

스노우맨- 아이가 어릴 때 비디오로 함께 보다가 그 유명한 날아가는 장면이 나오면 항상 아이를 옆으로 안고 날리느라 땀 뻘뻘 흘리던 기억이 새롭다. ^^  "walking in the air " 라는 그 멋진 주제가가 나오면 나도 모르게 흥분되곤 했는데... 책도 좋았지만 영상으로 보는 것을 더 즐겼던 것 같다. 화요일이고 멀기도 한 서울이지만 표가 생기면 꼭 가볼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