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video.naver.com/2009071622105752310
나는 이 광고가 매우 거슬린다.
이 광고의 컨셉은 '호랑이'같은 부장님이
임신한 직원을 엘리베이터에 태우기 위해
엘리베이터 문을 열고 기다려주는 '자상함'을 보인다는 것.
이런 의외의 모습에 직원들은 놀라고 반한다.
문제는, 그 다음 나오는 나래이션.
"앞으로 열달. 최부장님과 우리는 그녀의 박카스가 될 계획이다"란다.
그러나...'그녀'의 몸을 보라.
그녀는 이미 거의 만삭의 몸이다.
그런데 왜 '앞으로 열달'인가?
그녀가 아이를 낳기까지 남은 시간은 길어야 서너 달 아닌가?
내가 이걸 거슬린다고 하니, 다른 사람들은 '오버'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난 이 광경에서 임신했던 내 친구들의 사례들이 떠오르며
예사롭게 안보인다.
저 광고에서 남산만한 배의 '그녀'의 모습은
'임신중'이란 사실을 보여주기 위함일 것이다.
이미지로만 표현하려다보니 '임신한 그녀에게 임신한 동안 우리는 그녀에게 힘이 되어 주겠다'는
메시지를 남산만한 배의 이미지로 표현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미지는 역으로
남산만한 배가 아닌 임산부는 힘이 들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거나
아예 임신한 게 아닌 걸로 취급될 수 있는 현실을 보여주기도 한다.
내 친구들의 사례란 것이 그런 것이다.
남산만한 배가 되기 전에도,
약간의 배가 불렀으나 남들 임신하지 않고도 나올 수준으로 배가 나왔을때에도 그녀들은 힘이 든다.
그래서 장애인-임산부-노약자석에 그들이 앉기라도 하면
할아버지들이 마구 호통을 쳐서 쫓겨난 적이 대부분 한번 이상 있다는 것.
어디 젊은 여자가 이 자리에 앉느냐면서..
그런데 친구들에게 들어보면, 아주머니나 할머니들은 오히려 금세 친구들의 상태를 알아보고
그녀들에게 자리를 양보한다는 것이다.
(덧붙여, 또 한가지 임신한 여성의 몸에 대한 사회의 잘못된 통념화, 이미지 중 하나는
출산을 하기만 하면 출산하자마자 푹 꺼져버릴 거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실제 출산을 해도 얼마간은 임신했을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여성의 배는 불러 있는 것이 정상이다.)
그래서 친구들의 사례나 저 광고는 결국
이 사회(남성)의, 여성의 몸에 대한 무성의함과 불친절함을 보여준다.
사회의 몸 담론이 아무리 풍성해지고 확산되었어도
여성의 몸에 대한 진지하고 신중한 고찰은 아직 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