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탐>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책탐 - 넘쳐도 되는 욕심
김경집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책탐, 넘쳐도 되는 욕심이라... 많은 독서가들이 지적하듯이 책에 대한 욕심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모두에게 용인되는 것인 듯 하다. 사람들은 수석이나 분재, 피규어 등을 수집하는 이들을 특이한 시선으로 보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오타쿠인 양 바라보기도 하는데 유독 책에 대한 탐욕만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너그러이 봐주곤 한다. 아니 오히려 존경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인지 요즘 부쩍 책탐을 부추기는 책소개와 관련된 책들이 많이 출판되고 있다. 아마도 독서하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전략인 듯 싶다. 독서량이 부족하다고 욕만 하던 시대에서 벗어나 독서에 대한 길잡이를 통해 독서진입로로 들어서게 할 모양인가 보다. 여튼 덕분에 탐나는 책을 많이 소개받게 되었으니 난 이래저래 좋기만 하다. 

이 책의 저자는 서가에 누워있는 부잣집 책보다는 서가에 꽂혀 등뼈만 드러내고 있는 가난하고 옹골진 책들을 찾아다니는 취미를 갖고 있다. 나 역시 서가에 누워있는 책에는 거부감이 들곤 했는데 저자의 글을 읽고 나니 이해가 된다. 나 역시 자신을 마이너리티라고 여기는 터라 메이저들의 책이 고까웠던 모양이다. 읽고 싶다가도 서점 중앙에 널부러져 누워있는 책들을 보면 괜히 밉살스럽기도 하고, 나 자신이 시류에 편승하는 것 같아 괜스레 돌아가곤 한 것(무슨 속좁은 자존심이란 말인가)을 보면 말이다. 물론 숨은 보석을 찾아 사람들에게 소개하고픈 저자의 경우와 삐딱한 나의 경우가 약간 다르기는 하지만 말이다. 나의 행동은 사람들이 가는 길을 괜히 에두르고 싶은 나의 고집 정도라고 해 두자.  

각설하고 이번에 읽은 '책탐'은 이전에 읽었던 '깐깐한 독서본능(윤미화)'이라든지 '탐독(이정우)', '책과 세계(강유원)'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다. 무관한 듯 하면서 연결되어 있는 두 권의 책을 함께 소개하는 그의 방식도 맘에 들 뿐 아니라 책에 대한 줄거리 역시 독자로 하여금 책 속으로 빠져들게끔 만들어준다는 것이 특기할 만하다. 전부를 알려주는 것은 아니나 간만 보게 하는 것도 아닌 전체를 아울러주어 사람들로 하여금 읽고 싶게끔 만든다고나 할까? 책 내용이 너무나 감동스러워 누군가와 그 감동을 나누고 싶어 흥분한 그의 목소리가 적어도 나에겐 생생하게 느껴졌다. 그런 면에서 뚜렷한 색깔을 띄고 출판되었다가 사장된 책으로 가득한 출판사로서는  김경집이 은인일지도 모르겠다. 나만 하더라도 그에게 소개받은 책을 알라딘 장바구니에 한움큼이 아니라 한 박스 정도는 담아뒀으니 말이다. 좋은 책을 소개받은 일이 기쁘고, 읽을 만한 책이 가득하다는 사실이 맘을 설레게 한다. 하나하나 빼먹는 곶감처럼 이번 겨울에는 그의 소개로 만난 책 때문에 하루하루가 흥미진진할 것만 같다.  

맘에 꼭 드는 책을 읽고 난 후의 뿌듯함은 꼭 동지를 만들고 싶게 한다. 그렇기에 내가 읽은 책을 마치 전도사인 양 다른 이들에게 설파하고 다니고, 다른 이들 또한 나와 같은 감정을 느꼈다면 더욱 살갑게 느껴지곤 한다. 책 속의 세계는 죽은 세계라고들 하지만 죽은 세계를 읽음으로써 산 사람들의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니 그것 또한 할 만한 일이 아닌가 싶다. 이 책으로 인해 우리들은 더욱 책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