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하고 독한 쇼펜하우어의 철학 읽기>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유쾌하고 독한 쇼펜하우어의 철학읽기 - 쇼펜하우어의 재발견
랄프 비너 지음, 최흥주 옮김 / 시아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유쾌하고 독한 쇼펜하우어의 철학읽기라니. 어쩜 요즘은 이렇게 제목도 잘 짓는지 모를 일이다. 길어서 지루해 보일 듯한 제목인데도 확 사람을 잡아끄는 힘이 있다. 또한 사람들이 꺼려하는 철학이야기를 이렇게 구미 당기게 묘사할 수는 없으리라 싶다. 거기다 쇼펜하우어의 장난스러운 사진까지 매력을 보태는데 한 몫하고 있다. 요즘 나오는 철학서는 저마다 너무나 깊이있고 재미있고 거기다 쉽기까지 한지라 이 책에도 그런 기대를 품게 되었다. 그리고 책 서문에 번역하는 이에게 일침을 가한 아들의 소개를 보더라도 이 책에는 뭔가 재미있는 게 있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쇼펜하우어라... 이 책을 들고 있는 나를 보고 남편이 말한다. "캬! 염세주의자 쇼펜하우어? 이번엔 철학서인거야?" 철학에 일가견이 있다 자부하는 그조차도 쇼펜하우어라고 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염세주의자'인 모양이다. 물론 그가 내뱉은 '캬~'라는 감탄사에 포함된 의미가 무엇이었는지 나는 알 수가 없지만 말이다. 여튼 지독히도 자신을 사랑한 쇼펜하우어는 여러 방면에서 독설이라고 할 정도로 자신의 好, 不好를 명확히 하고 있다. 그것은 자신의 의견을 그 정도까지 뚜렷이 제시할 수 있을 만큼 다방면에 박학다식했다는 증거가 아니겠는가. 그에게 상처입은 이들에게 할 말은 아니지만, 자신에 대한 확신과 자부심이 대단한 그의 모습이 나는 그저 부럽기만 하다. 남의 눈치를 보느라 할 말을 삼키고, 좋은 게 좋은 거라는 두루뭉술한 기치 속에 나의 생각을 삼킨 적이 어디 한두번이었겠는가 말이다. 그런 면에서 인생은 정말 비극적이다. 이런 나의 생각은 쇼펜하우어가 근사하고도 명쾌하게 설명하는 구절이 있다.

   
  p57  전체적이고 일반적으로 개관하여 단지 가장 중요한 특징들만을 놓고 보면 모든 개인의 삶은 항상 비극이다. 그러나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면 그것은 희극적 성격을 갖는다. 왜냐하면 일상의 분망과 고통, 순간순간의 끊임없는 당혹, 한 주간의 희망과 걱정, 항상 장난칠 기회만을 노리는 우연으로 인해 매시간 일어나는 사고 등은 전부 희극적인 장면들이기 때문이다.    
   

 더이상 무슨 말이 필요할까 싶다. 인생은 비극이란 그의 결론이 딱히 마음에 드는 것은 아니나 지금 이순간만큼은 무릎을 치며 듣게 된다. 

 이 책은 이렇게 쇼펜하우어의 말과 행동에 대한 한두 문장의 설명이 덧붙여진 채 진행되고 있는데 각각의 부분이 명쾌하기 그지없다. 망설임 없는 자의 언변은 자신감을 내비치기 마련이니 말이다. 모든 결론과 진리를 아는 것은 자신뿐이란 자만에 가득찬 그의 모습이 또 다른 매력이라고나 할까? 그런데 그의 그런 매력을 알아가는 중간중간 나의 가슴을 탁탁 막히게 하는 구절이 있었다. 이건 원서의 잘못인지 번역의 잘못인지, 그것도 아니면 남탓만 하는 나의 독해력의 잘못인지 알 수가 없다. 

   
 

p62 그는 금전적인 이해관계를 폐지하라고 항상 요구했다.  

문학과 철학을 통해서는 돈을 벌 수 없도록 함으로써 그것들 자체를 중요시하는 사람들, 즉 그것들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여기는 사람들만이 그것들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그것들을 위해 매우 좋은 이유도 그 때문이다

 
   

이 길고 긴 한 문장 안에 그것이 자그마치 네 번이나 등장한다. 여기서 모든 그것들이 가리키는 것은 '문학과 철학'이다. 이 정도로 겹쳐진 그것들의 범람 속에서 서술어는 도대체 어느 주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 모를 정도이다. 이리하여 책을 읽는 내내 쇼펜하우어의 잔혹하리만큼 독한 촌철살인에 감탄하기보다 겹쳐지고 안긴 수많은 문장의 해독에 어려움을 느껴야 했다. 모든 문장이 그런 것도 아닌데 실컷 달리다가 한 번씩 걸리는 문장들은 나의 독서의욕을 저하시키기에 충분했다. 책을 읽긴 했는데 내용을 읽은 것이 아니라 글자를 읽은 듯한 이 기분. 문장을 적당히 자르고 이어서 읽기 쉽게 번역을 해 주었다면 하는 아쉬움을 감출 수가 없다. 조만간 다시 한 번 이 글을 찬찬히 읽어봐야 하는데 선뜻 손이 갈른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