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91
임레 케르테스 지음, 이상동 옮김 / 민음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조금 염세적이다. 인간관계도 좁고 사람에 대한 희망도, 그런 사람들이 모여 사는 이 사회에 대한 희망도 거의 없다. 그래서 그런지 이 세상에 아이를 낳아 키우는 사람들이 참 대단해 보일 때가 있다. 이런 나를 알기에 언젠가 엄마는 진지하게 내게 편지를 써서, 이 세상에 그래도 무언가 하나쯤은 남겨두고 가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한 적이 있다. 그 ‘무언가’란 바로 아이였다. 대다수의 많은 사람들이 아이를 낳고 그로써 자기의 핏줄, 자기의 대를 잇는다. 나는 이 세상에 무언가를 남긴다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인지 아직 확신이 서지 않고 그것이 나를 닮은 인간이라고 생각하면 더더욱 감당하기 어려운 일로 여겨진다.

케르테스의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를 읽는 내내 인간이 자기의 핏줄을, 자신의 유전자를 이 세상에 남기고 간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처럼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별다른 큰일을 겪어보지 않은, 그저 다만 염세적인 사람도 이 험난한 세상에 아이를 태어나게 하고 살아가게 한다는 것이 조금은, 무책임한 일이 아닐까 생각하는데, 하물며 케르테스야 어땠을까 싶어진다. 그는 잘 알려졌다시피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작가이다. ‘살아남았’다 하지만 그 삶이 과연 제대로 살아가는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상상조차 하지 못할 나치의 유대인 수용소, 그중에서도 가장 참혹하다는 유대인 ‘절멸’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케르테스는 그 참혹한 기억들을 고스란히 글로 남겼다. 이른바 ‘운명 4부작’ 시리즈를 통해 살아남았으나, 여전히 살아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고통스러운 삶을 고발한다. <운명>에서 나치의 절멸 수용소에서 겪은 끔찍한 기억들로 고통받는, 그리하여 예전의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십대 소년은 어느덧 노년이 되었다. 그런데도 여전히 그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는 글을 쓰고 번역을 하면서 작가로서 명성도 얻는 등, 사회적으로는 그럭저럭 한 사람 몫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사랑도 하고 결혼도 하고…. 얼핏 보면 이제 고통은, 참혹한 기억은 그의 삶에서 사라진 듯하다.

그러나 어느 날, 한 늙은 철학자의 질문, 정말 무심하게 던진 질문이 그의 삶을 뒤흔든다. 철학자는 그저 그에게 아이가 있는지 무심코 질문을 던진 게 전부이다. 어떤 질문이 누군가에게는 큰 상처가 될 줄 전혀 모르는 채 사적인 질문을 아무렇지 않게 던지는 사람들처럼, 그 철학자 또한 아이가 있느냐고 물은 것이다. 그런 질문도 어찌 보면 무례한데, 거기에 그는 또 덧붙인다. ‘아이를 갖지 않는 것이 일종의 의무태만 행위’(18쪽)이라는 생각이 든다거나, ‘이 땅에서 개인적으로 또 초인적인 일을 제대로 해냈든지 아니 오히려 제대로 해내지 못했다는 것이 정확하다면 대를 잇는 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19쪽)라거나 ‘삶에 반해서 매우 현실적인 인간의 의무라는 것은, 스스로를 불구이자 쓸모없는 존재로 궁극적으로는 생식 불능의 인간으로 여기지 않게 하는 것’(19쪽)일 거라는 말들….

철학자의 이런 말에 그는 생각해 본다. 자신의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떠올려본다. ‘혹시 네가 검은 눈동자를 가진 딸아이로 태어나지는 않을까? 너의 작은 코 주위에는 주근깨가 엷게 흩어져 있지는 않을까? 아니면 네가 고집 센 아들인 것일까? 너의 눈은 회청색 조약돌처럼 근사하고 힘찰까?-물론 나의 삶을 너의 존재의 가능성으로 생각할 경우에 해당하는 말이겠지만 말이다.’(25~26쪽) 그날, 그는 밤이 새도록 오로지 이 생각에 골몰한다.

왜 그는 아이가 없을까? 그가 홀로코스트 생존자라는 사실만으로도 대부분의 독자는 그 까닭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그토록 지옥 같은 현실을 겪고 살아남았는데, 그런 세상에 아이를 낳고 싶겠는가 하는 생각. 한편으로는 그렇게 고통스러운 일을 겪었으니 아이를 낳아 그 예쁜 웃음을 보며 이 세상 시름을 잊는 것은, 그러니까 살아갈 이유를 찾는 것이 오히려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는 단호하게 “안 돼!”를 말한다. “인간의 가장 큰 범죄는 태어난 것”(133쪽)이라고 말한다. 그것도 다른 사람이 아닌 아내에게.

그와 아내는 열정적으로 사랑한 사이였다. 그럼에도 그 두 사람의 결혼은 실패로 돌아가 둘은 이혼한 사이이다. 어쩌면 모든 것이 아이, 아니 아이로 치환할 수 있는 그의 고통스러운 기억 때문이다. 아내는 그에게 아이를 갖고 싶다고 말하지만 그는 단호히 “안 돼!”라고 말한다. 심지어 태어나는 것이 가장 큰 인간의 범죄라니…. 사랑하는 사람과 아이를 낳아 행복하게 살고 싶은 사람에게 이런 말은 독약과도 같을 것이다. 화목했던 관계에 금이 가지 않을 수 있을까? 집을 사거나 가구를 사거나 등등 어떤 소유물에 관한 취향 때문에 다툼이 생긴 것이 아니다. 이것은 가치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이다. 아주 큰 차이. 아내 입장에서는 아이를 갖는 것이 삶에 대한 본능의 발현인데, 그는 그것이 곧 범죄라고 하지 않는가.

너무 심하지 않은가 싶은데 그의 처지에서 보자면 꼭 그렇지도 않다. 그는 유대인 절멸 수용소에서 살아남기 이전부터, 세상이 한 어린아이에게 얼마나 추악한 곳인지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그의 부모도 그가 어릴 때 이혼했으며, 왜 이혼하느냐는 아이의 질문에 부모 누구도 납득할 만한 대답을 주지 않았다. 기숙학교에서도, 그 이후의 아우슈비츠에서도 사람들은 누구하나 믿을 수 없었고 혐오스럽기 짝이 없었다. 심지어 그는 살아가는 동안 내내 ‘학살자들, 삶을 훼손한 자들이 큰 소리로 스스로를 생명의 길로 선언하는 것을 질리도록’(127쪽) 목격한다. 그런 일들은 지나치게 자주 반복되어 그 안에서 반항심을 다시 불러일으키지도 못할 지경이다. 끔찍한 일이지만 그는 “삶을 훼손하는 자들 때문에 삶을 혐오”하게 돼버린 것이다.

그렇기에 그는 이미 오래전부터 다른 인간, 자연 그리고 그 자신과도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한 노력을 더 이상 기울이지 않게 된다. 변변한 주거지를 마련하는 일에도 관심이 없다. ‘소유물, 모두를 살게 하고 모두를 움직이며 모두를 미치게 만들기도 하는 소유물’(85쪽)은 사실상 실재하지 않으며 실재한다 해도 오로지 부정적인 것뿐이라고 생각한다. 수용소 생활에서 셋방살이로 생활이 연장되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무엇 때문에 우리는 영원히 치욕을 직면한 채 살아야 하는 것일까?’(135쪽) 생각하기도 한다. 그런 삶 속에서 그는 오로지 글을 쓰며 살아갈 뿐인데, 거기에서는 하나의 실낱같은 희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그것은 오래전 수용소에서 살아남기 위해 두려움에 떨며 구덩이를, 무덤을 파고자 삽질을 하던 것과 같다. ‘다른 사람들이 나를 위해 구름 속에, 바람 속에, 허공에 파기 시작했던 저 무덤을 계속 파는 일, 끝까지 파야 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는 것’(170쪽)을 깨닫는다. 때문에 그것은 그에게 은밀한 발버둥이자 은밀한 희망이다.

그러나 아내는 다르다. 아내는 아우슈비츠 이후에 태어났다. 그런데도 그녀의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는 아우슈비츠라는 표상 안에 있다. 그녀의 부모님도, 고모와 같은 친척들도 아우슈비츠를 거친 분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녀는 성장하는 내내 유대인의 감정들과 유대인의 생각들로 들어찬 또 다른 ‘게토’ 아닌 게토에서 살아간다. 이 또한 힘겨운 일이 아닐까. 아내는 유대인 문제가 화제에 오르면 그곳에서 잠시 자리를 뜨곤 했다고 고백하기도 한다. 그런데 또 이렇게 만난 사람이 여전히 아우슈비츠에서의 기억 때문에 고통받는 유대인이라니, 그녀의 인생도 어찌 보면 가련하다. 게다가 아이를 낳고 싶다는 그녀의 말에 “안 돼!”라고 단호히 말하는 남편이라니…. 그의 고통도 그녀의 고통도 모두 이해되기에 이 부부의 헤어짐도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와 헤어진 뒤 다른 남자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은 그녀가 현재의 남편은 “유대인이 아니”라고 말하는 부분은 이 부부의 그간의 고통이 고스란히 전해져와 마음이 아파온다.

‘절대로 나는 다른 한 인간의 아버지, 운명, 신이 될 수는 없’다고, ‘어린 시절 내가 겪었던 일을 또 다른 한 아이가 겪게 해서는 안 된’다고 끝끝내 울부짖는 그. 그는 정말 철학자의 말처럼 아이를 낳지 않음으로써 ‘의무태만 행위’를 저지른 것일까? 철학자는 결코 알 수 없을 것이다. 그에게 아우슈비츠는 어떤 말로도 설명될 수 없다. 그에게 아우슈비츠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그는 일평생을 ‘독일인들은 언제고 다시 돌아올 것이라는 기분’으로 살아간다. 이런 형별과도 같은 삶에서 아이를 낳는다는 것이 과연 가당키나 할까.  그의 절절한 외침, 고통스러운 절규가 머릿속에 오래도록 떠나지 않는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oolcat329 2022-03-31 10:42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아이를 갖지 않으려는 것도 과거를 잊지 않으려는 작가의 뜻이 아닌가 싶어요.
아우슈비츠 뿐만아니라 어린시절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도 한 몫했군요.
케르테스 책은 표지들이 다 이런 분위기에요. 읽기 전부터 숙연해지는...

잠자냥 2022-03-31 13:24   좋아요 5 | URL
네 기숙학교에서의 경험도 그렇고 이 작가는 인간에 대해 좋은 기억이 별로 없는 거 같아요. ㅠㅠ

새파랑 2022-03-31 11:09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요 책도<케르테스>의 자전적 이야기 같군요~ 저런 비극을 경험하면 세상에 대한 믿음이 절대 안생기겠죠 😅 이 책도 상당히 괴롭게 느껴질거 같아요~

잠자냥 2022-03-31 13:24   좋아요 6 | URL
네, 이 책도 완전 자전적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읽기 고통스러울 수 있어요. 문장 자체가 의식의 흐름…..

2022-03-31 12: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3-31 13: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공쟝쟝 2022-04-01 13:1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어.. 저도 진짜 범죄 같은데… 가끔 금쪽같은 내새끼 보면 생각 없이 번식하는 어른인간들 다 절멸시켜버라고 싶어요… 는 다행이도 이시대에 태어나 그걸 보고 있는 나니까 그런거고… 암튼…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들 숭고해지려고 하는 모습도 대단한데.. 꼭 인간이 숭고해져야하는가… 암튼 저는 뭘 남길 생각은 거의 없고 쓰레기나 좀 덜남기고 가야할텐데…. (염세주의자2)

잠자냥 2022-04-01 14:37   좋아요 3 | URL
엄훠, 내가 쓴 댓글인 줄 ㅋㅋㅋㅋㅋㅋ

공쟝쟝 2022-04-01 20:27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ㅋ (속닥속닥) 우린 어쩔수 없나바..

독서괭 2022-04-01 13:3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 제목이 그런 의미였군요.. 마음 아픕니다 ㅜㅜ 저는 어릴 때부터 결혼해서 애 둘 낳고 살기를 꿈꾸던 사람인데도 이번 코로나 겪으면서, 이걸 미리 알았다면 애를 안 낳았을 거란 생각이 들더라구요. 하물며 아우슈비츠를 겪은 사람이라면..
잠자냥님은 남기고 가셔야 할 거 하나 있습니다. 책이요, 책.

잠자냥 2022-04-01 14:40   좋아요 3 | URL
ㅎㅎㅎ 그래도 또 이렇게 힘든 세상에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생명체를 낳고 돌본다는 위대한 일을 하는 사람들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어요. 전 도무지 그럴 자신이…. 제 괭이들 돌보는 것도 때론 엄청 지치는데 말입니다. ㅎㅎㅎ 책! ㅎㅎㅎ 남길 만한 책을 남겨보도록 애써보겠습니다~

mini74 2022-04-01 16:2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제 친구가 여러 이유로 딩크인데 그 어머님이 똑같은 말씀을 하셨대요. 그래서 친구가 난 사리를 남길태니 엄마는 탑을 하나 쌓아줘 ㅠㅠ 했다가 머리 밀릴뻔 했지요 ㅠㅠ 전 지금 운명 읽고 있는데 이 편도 읽고 싶네요 ~

잠자냥 2022-04-01 16:52   좋아요 2 | URL
ㅋㅋㅋㅋㅋ 진심 크게 웃었습니다. 친구분이 정말 명언을 남기셨네요! ㅋㅋㅋ <운명> 읽고 이 책 읽으면 더 잘 이해되실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