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자(忍びの者, Ninja)가 언제부터 존재했는지 정확한 기록은 나와있지 않다. 대략 12세기 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닌자의 역사는 중세 시기 일본의 정치적 격변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일종의 정치 스파이라고 할 수 있는 닌자의 주요 업무는 '정보 수집'이었다. 치열한 세력 다툼을 벌이던 다이묘들은 경쟁자들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닌자를 고용했다. 말하자면 닌자는 하청을 받고 일하는 사업자였다. 그들의 신분은 미천했다. 닌자는 사회의 최하층에 속하는 천민 집단의 사람들로 무리를 지어 산골 지역에 은거했다. 평상시에는 농사를 짓고 살다가, 일감이 주어지면 비밀리에 활동해서 수익을 올렸다. 수집한 정보로 적들을 교란시키고, 때론 납치와 암살 같은 범죄도 저질렀다. '무사도(武士道)'를 따르는 사무라이들이 대놓고 할 수 없는 '더러운 일'을 닌자들은 떠맡았다. 

  '忍びの者(Shinobi no Mono, 1962)'의 도입부에는 산다유가 이끄는 닌자 무리가 등장한다. 깊은 산 속에서 밭을 일구며 사는 그들은 경계 경보가 울리자 일사불란하게 모인다. 그들 가운데 주인공 이시카와 고에몬도 있다. 우두머리 산다유는 오다 노부나가 타도를 내세우며 닌자들을 압박한다. 그런데 이 늙고 병약해 보이는 우두머리에게는 비밀이 있다. 그는 밤에 비밀 통로로 빠져나와 다른 곳의 은거지로 향한다.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장한 산다유는 또 다른 닌자 무리를 이끌고 있다. 그는 왜 이런 이중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일까? 한편 고에몬은 산다유의 젊은 아내와 사랑에 빠진다. 둘의 모습을 엿보는 산다유의 음흉한 미소에 고에몬의 험한 앞날이 예고되어 있다.

  무라야마 토모요시(村山知義)는 1960년부터 1962년까지 '忍びの者(Shinobi no Mono)'라는 소설을 잡지에 연재했다. 센코쿠 시대(戦国時代)의 닌자(Ninja)를 주인공으로 하는 이 소설은 큰 인기를 끌었다. 영화사 다이에이(大映)는 발빠르게 영화화에 착수했다. 주연은 다이에이의 간판스타 이치카와 라이조, 감독은 야마모토 사츠오(山本薩夫)가 내정되었다. 그것은 이후에 이어질 8부작 닌자 시리즈 영화의 첫걸음이었다. 영화는 계속해서 초대박 흥행 기록을 이어갔다. 주인공 닌자 이시카와 고에몬은 3편을 끝으로 나오지 않았지만, 새로운 닌자 사이조를 내세워 시리즈를 이어갔다. 6편에서는 사이조가 죽고 그 아들 사이스케가 등장한다. 감독은 바뀌었지만, 이치카와 라이조는 배역만 달리할 뿐 계속 출연했다. 이 영화는 이치카와 라이조의 인기와 명성에 기대고 있었다.

  배우 이치카와 라이조는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금각사'를 영화화한 '불꽃(炎上, Conflagration, 1958)'으로 스타의 길에 들어선다. 당시 그의 나이는 스물 일곱, 이후 이치카와 라이조는 영화사 다이에이의 간판스타가 되었다. 1962년에는 결혼도 했는데, 상대가 다이에이 사장 나가타 마사이치의 양녀였다. 이제 이치카와 라이조에게 영화는 가족 사업이 되었다. 흥행 보증 수표였던 그는 쉴 새 없이 영화를 찍었다. 시대극(時代劇, じだいげき)은 이치카와 라이조가 두각을 나타내는 분야였다. 1962년에 시작한 닌자 시리즈물은 1966년까지 이어졌다. 1969년에 이치카와 라이조가 서른 일곱의 나이에 세상을 뜨자 시리즈는 8편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그즈음, 영화사의 명운도 사그라들고 있었다. 1970년에 '忍びの者 9편'이 나오기는 했다. 하지만 1971년에 다이에이는 파산 신청을 하게 된다.

  어떤 면에서 '忍びの者(Shinobi no Mono)'는 다이에이의 흥망성쇠를 함께 한 시리즈물이기도 하다. 1, 2, 3편의 원작자 무라야마 토모요시는 닌자를 계급주의적 관점에서 그려냈다. 공산주의자였던 그는 일본의 제국주의가 발호할 때에도, 그리고 패전 이후에도 늘 박해의 대상이었다. 연극과 미술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활동하던 그는 역사 소설로 눈길을 돌린다. 시대물은 검열의 압력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다. 그가 소설을 연재한 곳은 공산당 잡지 '적기(赤旗)'였다. 

  오다 노부나가를 비롯해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이르는 권력자들의 역사 속에서 닌자는 이용당하고 버려진다. 지배 세력은 닌자를 소모품으로 취급한다. 무라야마 토모요시는 그 계급적 불평등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공고함을 드러낸다. 자본가와 노동자는 다이묘 권력자와 닌자로 치환된다. 소설이 쓰여진 1960년대는 일본이 본격적으로 고도 경제 성장에 접어들기 시작한 때였다. 무라야마 토모요시는 닌자의 삶에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비운을 투사한다. 뼛속 깊이 공산주의자였던 원작자가 왜 역사 속의 닌자를 새롭게 부각시켰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다시 영화 '忍びの者 1편'의 고에몬의 이야기로 돌아간다. 고에몬은 갑작스런 폭발 사고로 아버지를 잃는다. 닌자는 여러가지 비술을 사용해 자신의 임무를 수행했다. 폭약을 비록해 독극물, 여러 살상 무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그들의 직업적 가치를 높였다. 고에몬의 아버지는 바로 그 폭발물 제조의 비책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는 아들에게 평범한 농부의 삶을 살고 싶다는 뜻을 내비추지만 결국 비명횡사했다. 아버지의 죽음에 이어 산다유의 아내가 사고로 죽자 고에몬은 도망길에 오른다.

  닌자라고 해서 다 같은 닌자가 아니다. 그들 사이에도 엄연히 계급이 있다. 산다유는 닌자 무리를 이끌면서 오로지 자신의 안위와 영달을 추구한다. 그가 비밀리에 두 개의 닌자 무리를 꾸려가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닌자들 사이에 경쟁을 부추겨 성과를 내게 만들면 닌자들의 몸값은 올라간다. 그렇게 되면 닌자를 고용하는 다이묘들에게 더 많은 돈을 받아낼 수 있다. 고에몬이 믿고 의지한 산다유는 그런 추악한 인물이었다. 영화 속에서 오다 노부나가는 잔혹한 압제자로 묘사된다. 혼세한 시대적 상황에서 닌자 고에몬은 수탈과 착취의 제일 하부 구조에 자리한다. 과연 고에몬은 자신을 옥죄는 시대의 그물에서 진정한 자유를 찾을 수 있을까? 그 뒤의 이야기는 다음에 이어진다.



*사진 출처: vintageninja.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에는 영화 '불꽃(炎上, 1958)'의 결말 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민머리의 앳된 청년이 경찰의 심문을 받고 있다. 미조구치라는 이름의 수련승은 국보급의 사찰 취각사를 불지른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는 경찰의 심문에 침묵으로 일관한다. 영화 '불꽃(炎上, Conflagration, 1958)'은 미조구치의 플래시백을 통해 그 방화 사건의 오랜 시작점으로 돌아간다. 승려였던 미조구치의 부친은 세상을 뜨면서 친구 승려에게 아들을 수련승으로 받아줄 것을 부탁한다. 그렇게 미조구치는 취각사에서 지내게 된다. 빼어난 취각사의 정경은 미조구치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취각사는 곧 미조구치에게 지켜야할 전부가 된다. 취각사가 보여주는 완전한 아름다움과 달리 미조구치를 둘러싼 현실은 거짓과 더러움으로 물든다. 덕이 높은 고승인줄 알았던 주지는 돈에 집착하며 젊은 게이샤를 내연녀로 둔다. 미조구치의 모친은 아픈 남편을 놔두고 외간 남자와 바람이 난 적이 있었다. 미조구치는 어머니가 의탁할 곳을 찾아 취각사로 들어오자 그 기억을 떠올리며 괴로워한다. 절름발이 친구 토카리가 보여준 자신만만함은 열등감을 감추려는 위악에 지나지 않았다. 미조구치는 세상이 취각사의 절대적인 미와 순수가 존재할 수 없는 곳임을 자각하게 된다. 그 아름다움이 언젠가 변해 사라질 거라면 차라리 내 손으로 없애버리자. 미조구치의 취각사에 대한 비뚤어진 집착은 그렇게 방화라는 막다른 골목에 다다른다.

  1950년 7월 2일, 7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교토의 사찰 금각사가 불탔다. 범인은 22살의 사찰 수련승 하야시 요켄이었다. 경찰에 의해 체포된 그는 재판 과정 내내 횡설수설했다.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된 범인은 7년형을 언도받았다. 하야시 요켄은 복역 중에 결핵에 걸렸고, 결국 26살의 나이로 병사했다. 작가 미시마 유키오는 그 사건에 강렬한 호기심을 느꼈다. 그것을 소설로 쓰기 위해 작가는 금각사와 방화 사건 관련 인물들 취재에 많은 시간을 썼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작품이 바로 '금각사(金閣寺, 1956)'였다. '금각사'는 이전부터 쌓아온 미시마 유키오의 글쓰기 경력을 정점으로 끌어올렸다.

  영화사 다이에이(大映)는 소설을 영화로 만들기로 하고, 이치카와 콘을 감독으로 내정했다. '금각사'의 탐미주의적 문학 세계를 영화로 옮기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았다. 시나리오를 맡았던 와다 나토(和田夏十, 이치카와 콘 감독의 부인이었음)에게 가장 큰 힘이 되어준 이는 미시마 유키오였다. 그는 소설의 취재 노트를 통째로 건네면서 각색 작업을 격려했다. 미시마 유키오는 영화 촬영 현장도 참관했다. 소설과는 같은듯 다른 영화 '불꽃(炎上, Conflagration, 1958)'은 원작자의 마음에 꼭 들었다(출처: ja.wikipedia.org). 

  원작 소설을 읽은 이라면 이 영화가 소설과는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된다. '금각사'는 교토의 '취각사(驟閣寺, 당시 금각사 주지는 절의 명칭을 그대로 쓰는 것을 반대했다)'가 되었다. 영화는 소설 속 미조구치의 성적 일탈은 최대한 배제했다. 그 대신 주인공의 내적 트라우마가 부조리한 현실과 충돌하는 과정을 설득력있게 묘사한다. 불완전한 세상에서 완벽한 순수를 열망하는 일은 필연적인 절망을 내포한다. 미조구치의 절망은 그를 파멸로 이끈다.

  원작 소설의 주인공이 불타오르는 금각사를 보면서 '살아야겠다'고 다짐하는 것과는 달리, 영화 '불꽃'의 미조구치는 죽음을 택한다. 어떤 면에서 이러한 결말은 원작자 미시마 유키오의 내적 본질과 더 맞닿아 있다. 그의 단편 소설 '검(劍)'을 영화화한 '검(劍, Ken, 1964)'의 주인공도 검도에서 무오류성을 추구하다 실패한 후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잘 알려진 대로 미시마 유키오는 자위대의 궐기를 요구하다 할복자살했다. 그의 자기파괴적인 최후는 '검'의 주인공 고쿠부의 죽음에서 이미 예견된 것일지도 모른다.

  이치카와 콘은 중층적인 플래시백으로 영화를 독특하게 만든다. 와다 나토의 빼어난 각색은 소설의 주제를 훨씬 더 선명하게 부각시킨다. 또한 토카리 역을 연기한 나카다이 타츠야를 비롯해 여러 중견 배우들의 훌륭한 조합은 영화의 완성도를 높인다. 음울한 분위기의 영화 음악, 미니어처를 사용해 취각사의 화재 장면을 사실적으로 재현해낸 특수 효과도 빼놓을 수 없다.

  그 무엇보다 이 영화를 빛나게 만든 이는 미조구치 역의 이치카와 라이조였다. 다이에이로 이적한 뒤에 모처럼 큰 배역을 맡게 된 이치카와 라이조의 그때 나이는 스물 일곱. 가부키 배우 집안의 양자로 들어갔지만 그에겐 보잘 것 없는 배역만 주어졌다. 결국 그는 영화 배우로 활로를 찾았다. 순수한 얼굴 뒤에 숨겨진 상처와 불안정한 내면을 표현해내는 이 배우의 연기는 천재적이다. 이 뛰어난 배우는 서른 일곱의 나이에 암으로 요절했다. '불꽃'의 비극적 결말은 이치카와 라이조의 짧은 생애와 겹치며 도저한 울림을 만들어 낸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폴 슈레이더 감독 '미시마-그의 인생(Mishima: A Life in Four Chapters, 1985)'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9/mishima-life-in-four-chapters-1985.html

미스미 켄지 감독, 이치카와 라이조 주연의 영화
'무숙자(無宿者, On the Road Forever, 1964)'와 '검(劍, Ken, 1964)'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9/on-road-forever-1964-ken-1964.html

마스무라 야스조 감독, 이치카와 라이조 주연의 영화
'나카노 스파이 학교(Nakano Spy School, 1966)'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9/nakano-spy-school-1966.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39년, 이탈리아는 알바니아를 침공했다. 무솔리니는 집권 이후 알바니아에 대한 야욕을 서서히 드러냈다. 경제적인 수탈로부터 시작한 합병 작업은 2차 대전의 혼란기를 틈타 알바니아 본토 점령으로 이어졌다. 1944년까지 알바니아는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이탈리아 감독 Gianni Amelio '라메리카(Lamerica, 1994)'에는 그 역사적인 사건의 기억이 얄궂게 포개어져 있다.

  1990년대의 알바니아, 두 명의 이탈리아인이 알바니아를 찾는다. 지노의 상사 피오레는 알바니아에 신발 공장을 짓겠다고 공언한다. 사실 피오레는 합작 사업을 핑계로 눈먼 정부 보조금을 받아내려는 사기꾼이다. 바지 사장으로 내세울 알바니아인을 찾던 피오레는 요양원에서 아픈 노인 스피로를 데려온다. 이탈리아로 급하게 돌아간 상사를 대신해 지노는 스피로와 함께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하지만 몸과 정신이 온전치 못한 스피로는 지노를 피해 도망친다. 과연 이탈리아인의 신발 공장 사기극은 시작이나 할 수 있을까...

  이탈리아 청년 지노에게 알바니아는 후진국의 모습으로 비춰진다. 거리에는 실업자와 거지 아이들이 들끓는다. 어렵게 스피로를 찾아낸 지노, 그는 시골 마을 휴게소에 들렀다가 잠깐 주차해둔 차의 모든 부품이 사라졌음을 발견한다. 지노에게 알바니아는 총체적인 부정부패와 범죄가 횡행하는 나라이다. 스피로와 함께 하는 지노의 여정은 바로 그 피폐한 알바니아의 현실에 대한 영상 보고서나 다름없다. 휴게소에는 커피는 물론이고 그 어떤 음식도 팔지 않는다. 그곳 사람들은 먹고 살 방도를 찾을 수 없다. 알바니아인들은 어떻게든 이탈리아로 가고자 한다.

  지노는 스피로를 비롯해 알바니아 사람들을 차별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 가난하고 더럽고 무능한 사람들. 지노의 우월 의식은 한때 알바니아를 점령했던 이탈리아 제국주의자들의 관점과 다를 바 없다. 지노가 알바니아인으로 알았던 스피로는 바로 그 제국주의의 피해자이다. 알바니아 침공에 징집된 이탈리아 군인 스피로, 아니 미켈레는 고국에 돌아가지 못하고 50년을 타국에 매여있었다. 그는 자신의 나이를 스무 살이라고 말한다. 미켈레의 머릿속 시계는 전쟁이 끝난 1944년에 멈춰있다. 미쳐버린 늙은 군인은 어떻게든 시칠리아로 돌아가려 한다. 거기에는 아내와 그가 떠난 직후에 태어난 아들이 있다.

  뜻하지 않게 사업이 엎어지고, 가진 돈이 다 떨어지면서 지노의 행색은 자신이 경멸하던 알바니아인들처럼 변해간다. 알바니아 경찰은 지노를 사기 혐의로 체포하고 추방 명령을 내린다. 그는 이탈리아로 향하는 알바니아인들의 거대한 무리 속에 섞인다. 지노의 얼굴은 수심으로 그득하다. 지노에게 고국은 별 달리 기대할 것이 없는 곳이다. 낯선 나라 알바니아에서 한탕 사기로 인생 역전을 노렸던 지노의 꿈은 물거품이 되었다. 그와는 달리 알바니아인들에게 이탈리아는 '꿈의 나라'이다. 20세기 초, 이탈리아 이민자들에게 '아메리카'가 그러했던 것처럼 역사는 기이한 방식으로 반복된다. 지아니 아멜리오 감독은 난민선에 탄 알바니아인들의 얼굴을 클로즈업으로 찬찬히 보여준다. 카메라에 잡힌 그 얼굴의 주인공들은 실제 알바니아 난민들이다.  

  파시즘으로 뒤틀려버린 알바니아의 전후 역사는 공산 독재자의 철권 통치로 이어졌다. 1990년에 공산 정권이 몰락한 이후, 빈곤과 부패의 악순환에 빠진 알바니아 국가 시스템은 회복 불능의 상태가 되었다. 알바니아인들은 생존을 위해 무작정 이탈리아로 향했다. 이후 이탈리아에서는 지속적인 난민 사태가 발생했다. 거듭되는 추방 조치에도 불구하고 알바니아 난민 문제는 아직까지도 현재 진행형으로 남아있다.

  영화 '라메리카'는 음울하게 접혀진 이탈리아 현대사의 한 귀퉁이를 조심스럽게 펴본다. 거기에는 파시스트 무솔리니와 알바니아 공산 독재자 엔베르 호자(Enver Hoxha)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스피로는 무너진 건물벽에 낙서처럼 써진 엔베르 호자의 이름을 무솔리니로 읽는다. 지아니 아멜리오 감독은 과거와 현재를 대표하는 두 명의 이탈리아인, 스피로와 지노의 여정을 통해 이탈리아의 국가 정체성을 탐색한다. 동시에 영화는 난민에 대한 인도주의적 대책을 촉구한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국의 영화 매체들이 상반기에 뽑은 추천작들 순위에 이 영화가 꼭 들어있다. 제목도 희한한 영화 'RRR(2022)'은 인도 영화이다. 인도 영화하면 흔히 떠올리는 춤과 노래로 범벅이 된 3시간짜리 영화를 떠올리면 오산이다. 인도 영화 사상 최대의 제작비가 투입된 'RRR'은 이제까지의 인도 영화 최고 흥행기록도 경신했다. 영화는 인도 국내에서뿐만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엄청난 수익을 거두었다. 도대체 이 영화에 무슨 마력이 있는 것인지 궁금해졌다.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고 있는 1920년대의 인도. 영국 관료 스콧과 그의 부인 캐서린은 곤드 부족를 방문한다. 캐서린은 '말리'라는 이름의 소녀가 노래를 잘 부른다는 이유로 납치한다. 그 일에 분노한 부족의 전사 빔은 말리를 구출하기 위해 델리로 떠난다. 한편 제국 경찰로 복무하는 인도인 라주는 출세를 위해 동족들을 탄압하는 데에 앞장선다. 빔과 라주는 죽을 위험에 처한 소년을 함께 구하게 되면서 우정을 쌓아간다. 아직까지 서로의 진짜 정체를 알지 못하는 두 남자. 하지만 말리를 구하려던 빔을 라주가 체포하면서 둘의 우정은 깨어질 위기에 처한다. 결국 사형이 확정된 빔, 라주는 뜻밖에도 빔을 살려주고 그 일로 라주는 투옥된다. 라주 덕분에 말리와 함께 탈출할 수 있었던 빔은 우연히 라주의 여동생 시타를 만나게 된다. 시타로부터 라주의 과거를 듣게된 그는 라주를 구하기 위해 감옥에 잠입하는데...

  감독 S. S. Rajamouli는 실존했던 인도 독립의 영웅 두 사람을 빔과 라주로 형상화했다. 현실에서는 서로 만난 적이 없는 인도 독립 투사들은 영화 속에서 둘도 없는 친구로 나온다.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신화적 서사를 절묘하게 결합시킨다. 라주는 인도 신화의 라마(Rama), 빔은 비마(Bhima)신의 특성을 지닌다. 빔의 도움으로 탈옥에 성공한 라주는 제국 경찰을 공격한다. 놀랍게도 그가 사용하는 무기는 총이 아니라 '활(!!!)'이다. 그는 오로지 활쏘기만으로 일당백의 무력을 발휘한다. 신화 속에서 라마신은 숲의 지배자로 늘 활을 들고 다닌다. 빔이 보여주는 천하무적의 힘은 비마신의 무력과 통한다. 역사 속 인도의 독립 투사는 인간을 넘어선 신화 속 영웅의 모습으로 재탄생한다.

  'RRR'은 인도 관객들에게 시쳇말로 '국뽕'이라 부르는 애국심을 맹렬하게 자극한다. 영국 관료와 영국인들은 악마화된 모습으로 묘사된다. 스콧과 캐서린은 잔혹한 인물들로 지독한 인종차별주의자이기도 하다. 영화의 두 주인공 빔과 라주가 거기에 맞서는 방식은 지극히 인도적이다. 인도인들에게는 영국의 총칼을 단번에 제압할 수 있는 '무수한 신들'이 있다. 영화는 인도인들에게 매우 친숙한 신화 속 이야기를 차용해서 종교적인 감성을 극대화한다. 이 영화의 곳곳에는 오늘날 인도라는 국가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민족' '종교'라는 거대 이데올로기가 단단한 뿌리처럼 엉켜있다.

  현재 인도의 국가 수반 나렌드라 모디힌두 민족주의(Hindi Nationalism)를 내세우며 집권했다. 인도에서 힌두 원리주의와 결합한 배타적 민족주의는 타종교, 특히 이슬람과의 분란을 격화시키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영화 'RRR'의 서사는 인도의 과거와 현재를 교차시키며 인도인의 정체성을 환기시킨다. 이 영화가 인도에서 초대박 흥행 성공작이 된 이유를 충분히 짐작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서양 관객들, 특히 미국에서 'RRR'의 영화적 감수성이 먹혀들었다는 점은 나에게 무척 흥미롭게 다가온다. 나름 까탈스러운 미국의 영화 비평 매체들도 이 영화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대한 평을 써놓았다. 정말로 그들에게는 이 영화가 재미있었던 것이다. 헐리우드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arvel Cinematic Universe, MCU)에 익숙한 관객들에게 빔과 라주는 이국적 영웅으로 여겨졌을 법도 하다. 

  'RRR'이 거둔 엄청난 상업적 성공과는 별개로 이 영화가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소비되는 양상은 한번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서구의 관객들은 'RRR'이 지닌 인도 현실 정치의 맥락에는 별 관심이 없다. 아마도 때깔 좋은 인도 액션 시대극 한 편을 3시간 동안 즐겁게 감상했다고 여길 것이다. 우리나라 관객들에게 이 영화의 서사는 더 가깝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 영화 속 인도와 영국의 관계는 일제 치하의 조선과 일본을 떠올리게 만든다. 빔은 독립투사, 라주는 일제 앞잡이 조선인 순사로 치환된다. 그렇게 식민 지배의 기억을 지닌 제 3세계 국가들의 관객들은 'RRR'의 시대극 감성에 물든다. 영화의 제목처럼 이 낯선 Tollywood 영화(Telguru어로 제작된 인도 영화)는 인도라는 국가를 넘어(Rise), 전 세계 관객들을 향해 포효하며(Roar), 인도 영화 수출의 혁명적 발판(Revolt)을 만들어 냈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집을 잃은 여성: 밤의 여인들(夜の女たち, Women of the Night, 1948)

  전쟁은 전장터의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가혹하다. 미조구치 켄지(溝口健二)의 영화 '밤의 여인들(Women of the Night, 1948)'에는 전후 밑바닥 삶을 사는 여성이 그려진다. 그것은 별다른 상상의 여지없이 '매춘'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후사코(타나카 키누요 분)는 전쟁에 끌려간 남편이 돌아오길 기다리는 중이다. 아픈 어린 아들을 보살피는 데에 온 힘을 쏟는 후사코. 하지만 여자는 남편의 전사 소식에 이어 아이마저 잃는 슬픔을 겪는다. 후사코에게 호감을 가진 쿠리야마는 후사코를 비서로 채용한다. 한편 후사코는 전쟁통에 소식이 끊겼던 여동생 나츠코를 우연히 만난다. 재회의 기쁨도 잠시, 후사코는 쿠리야마가 나츠코에게 흑심을 품고 접근했음을 알게 된다. 그 일로 쿠리야마를 떠난 후사코는 생계가 막막해지자 거리의 여자가 되는데...

  미조구치 켄지를 '시대극(時代劇,  じだいげき)'을 주로 만든 감독으로 알고 있는 이들에게 '밤의 여자들'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흑백 필름으로 촬영된 이 강렬한 사회 고발 영화에는 이탈리아 '네오 리얼리즘(neorealism)'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평범한 주부로 살아가던 후사코는 패전의 후폭풍 속에 내던져진다. 남편과 아이의 죽음에 이어 가난은 이 여자를 옥죈다. 돈푼깨나 있는 후리야마의 내연녀에서 매춘 여성으로 급전직하하는 후사코의 삶. 추락하는 것은 후사코뿐만이 아니다. 댄스홀의 여급으로 살던 나츠코는 언니의 남자를 빼앗더니, 매독에 걸린 상태로 임신까지 하게 된다. 후사코의 어린 시누이 쿠미코는 가난한 집을 뛰쳐나왔다가, 건달에게 겁탈당한다. 이후에 쿠미코는 거리에서 자신과 같은 처지의 올케 언니 후사코와 만난다. 미조구치 켄지는 세 여성들의 처절한 추락의 여정을 매우 건조하고 사실적으로 그려낸다.

  영화 '밤의 여인들'은 전쟁이 여성, 특히 하층 계급의 여성에게 미친 영향이 어떤 것인가를 여지없이 드러낸다. 전사와 질병으로 인한 가족의 해체를 겪은 가난한 여성들은 성을 파는 노동자가 된다. 그럼에도 미조구치 켄지는 영화 속 여성들의 선택을 사회구조적인 악순환의 틀에서 파악하지 않는다. 그는 그것을 어디까지나 개인의 선택으로 바라본다. 후사코는 자신과 여동생을 유린한 쿠리야마에 대한 원한을 간직하고 있다. 후사코가 그것을 되갚는 방식은 매우 자기파괴적이다. 거리의 여자가 되어 '세상의 남자들에게 성병을 퍼뜨리는 것'이다. 후사코의 여동생 나츠코의 도덕적 타락은 강간에 의한 자포자기의 결과로 비춰진다. 이는 매춘을 하게 된 쿠미코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미조구치 켄지는 이 영화에서 매춘 여성들의 삶에 대한 적나라한 묘사로 당시 일본 사회의 어두운 부분을 부각시킨다. 그럼에도 그가 그 여성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결코 온정적이지 않다. 매춘부들은 어디까지나 구제와 치유가 필요한 존재로 그려진다. 그들이 새롭게 태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타락한 내면에 대한 절실한 자기 반성이다. 영화의 마지막에 후사코는 쿠미코에게 '집으로 돌아가자'고 울부짖는다. 과연 그들에게 돌아갈 진정한 집이 있는가? 애처롭게 부둥켜 안은 두 여자가 기댄 곳은 무너져 내린 성당의 외벽이다. 크레인 쇼트로 촬영된 이 장면에서 아기 예수를 안은 성모 마리아가 새겨진 스테인드 글라스가 비춰진다. 성녀(聖女)와 창녀(娼女). 여성에 대한 이러한 이분법적인 접근은 미조구치 켄지를 결코 페미니스트로 바라볼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2. 몰락하는 유곽의 풍경: 수치의 거리(赤線地帯, Street of Shame, 1956)

  미조구치 켄지는 유작이 된 '수치의 거리(Street of Shame, 1956)'에서 다시 한번 매춘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영화가 개봉된 1956년은 이 영화의 일본어 제목 '적선지대(赤線地帯)'의 운명이 결정된 해였다. 전후 일본에 주둔하게 된 연합군 총사령부(GHQ)는 일본 사회의 근본적인 개혁에 박차를 가했다. 그 개혁 조치들 가운데 큰 부분이 바로 성 매매 산업이었다. 1946년에 공창제(公娼制)가 폐지된다. 그 이후에 기존의 사창가는 '적선 지대'라는 명칭으로 경찰 관할 구역이 된다. 그러던 것이 1956년에는 의회에서 성 매매 금지법이 통과되기에 이른다. 그 역사적 사건 직전에 개봉된 '수치의 거리'는 소멸 위기에 처한 유곽의 풍경을 담는다.

  '수치의 거리'에서 미조구치 켄지는 5명의 게이샤들을 내세워 각각의 이야기를 흥미있게 풀어낸다. 이는 매춘 여성의 삶을 거칠고 직설적인 방식으로 그려낸 '밤의 여인들'과는 다소 차별화되는 점이다. 도쿄의 대표적인 적선지대 요시와라는 성 매매 금지법의 통과를 앞두고 혼란에 휩싸인다. 그곳에 자리한 '꿈의 나라'에는 5명의 게이샤들이 있다. 가장 잘 나가는 게이샤 야스미는 아버지의 보석금을 모으기 위해 애쓴다. 하나에는 어린 아기와 병든 남편을 건사하기 위해 고달픈 매춘의 삶을 이어간다. 중년의 요리에는 결혼할 남자가 있지만 빚 때문에 게이샤로 남아있다. 과부 유메코는 시골에 장성한 아들이 있다. 유메코는 아들이 언젠가 자신을 부양할 거라 믿으며 유곽에서의 삶을 견딘다. 제멋대로인 미키는 돈을 펑펑 써대며 자신의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살아간다.

  영화는 5명의 게이샤들 못지않게 그들을 데리고 영업하는 '꿈의 나라'의 주인 내외가 비중있게 등장한다. 그들은 성 매매 금지법이 통과될까봐 전전긍긍한다. 안주인은 쓸모없는 일이라면 300년 동안 가업이 이어질 수 있었겠느냐며 경찰에게 항변한다. 그 남편인 사장은 자신들 덕분에 오갈 데 없는 게이샤들이 먹고 살 수 있는 거라며 큰소리를 친다. 그들 내외가 꾸려나가는 '꿈의 나라'에는 착취와 사업의 이중적인 면모가 내재되어 있다. 이제 시대의 변화 속에 유구한 역사를 지닌 그들의 영업장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미조구치 켄지는 냉정한 관찰자로서 적선지대와 그곳의 사람들에게 호오(好惡)를 쉽사리 내비치지 않는다. 그가 성 매매 금지법에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그 부분에 있어 감독 자신에게는 가슴 아픈 개인사가 있기는 하다.

  매우 가난한 집안에서 성장한 미조구치 켄지는 누이가 게이샤로 팔려나가는 것을 목도해야만 했다. 그 또한 젊은 시절에는 여러 게이샤들과의 연애로 소란스럽게 보냈다. 빈곤과 매춘, 여성에 대한 감독 자신의 독특한 관점은 바로 그러한 경험을 통해 형성되었다. 그는 유곽(遊廓)으로 대표되는 성 산업에 대한 비판 보다는, 그것이 작동하고 기능하는 방식에 관심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거기에는 인간의 욕망과 계급적 불평등이 내재해 있다. 미조구치 켄지는 성 매매 금지법이 그러한 현실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영화 속 게이샤들이 머무는 '꿈의 나라'는 역설적으로 그들의 꿈을 바스러뜨리는 곳이다. 유메코는 아들로부터 연을 끊자는 말을 듣고 미쳐버린다. 결혼을 하기 위해 도망갔던 요리에는 노예처럼 일하는 삶을 견딜 수 없어서 다시 돌아온다. 미키는 부잣집 딸이지만 아버지에 대한 증오심 때문에 자신의 삶을 사창가에 내던진다. 하나에는 집세를 내지 못해 길바닥에 나앉을 남편과 아기를 두고 근심한다. 5명의 게이샤들 가운데 '꿈'을 이룬 이는 야스미 한 명뿐이다. 결혼을 핑계로 손님에게서 뜯어낸 엄청난 돈으로 야스미는 이불 가게를 차린다. 야스미의 그 꿈도 실은 손님이 횡령으로 마련한 부정한 돈에 의한 것이다.

  미쳐버린 유메코의 빈자리는 부모에 의해 팔린 시골 출신의 어린 게이샤로 메꿔진다. 희디흰 분칠에 화려한 기모노를 입고 가게 입구에서 침울한 표정으로 앉아있던 신참 게이샤는 무얼 해야할지 알지 못한다. 가게 언니들이 하는 것을 보며 자신도 따라해볼 용기를 낸다. 문 기둥을 어색하게 잡고 거리를 지나가는 남자를 향해 작게 손짓을 한다. 웅얼거리는 입에서는 차마 말이 떨어지지 않는다. 이 비감하고 서늘한 마지막 장면은 오랜 악습인 성 산업에 대한 통렬한 고발장처럼 보인다. 이 영화를 유작으로 남기고 미조구치 켄지는 세상을 떴다. 그리고 그 해에 의회에서는 마침내 성 매매 금지법이 통과되었다. 그것은 이전까지 국가가 묵인해주던 민간의 사업이 범죄 조직인 야쿠자들의 관할로 넘어간 것에 불과했다. 영화 '수치의 거리'에는 그 전환기의 암울한 풍경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사진 출처: criterion.com


 
***사진 출처: themoviedb.org

영화 '밤의 여인들'에서 주연을 맡은 타나카 키누요(가운데 인물). 배우 타나카 키누요(田中絹代)는 여성 감독으로도 이름을 남겼다. 영화 '여자들만의 밤(女ばかりの夜, Girls of the Night, 1961)'은 매춘 여성의 재활 과정을 인본주의적인 시선으로 담아낸다. 어떤 면에서 그 영화는 미조구치 켄지의 '밤의 여인들'에 대한 타나카 키누요의 영화적 응답인 셈이다.




****나루세 미키오 감독, 타나카 키누요 주연의 영화

긴자 화장(Ginza Cosmetics, 1951)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6/ginza-cosmetics-1951.html

엄마(Mother, 1952)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7/mother-1952.html

흐르다(Flowing, 1956)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flowing-1956.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