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 골드베르크 변주곡 - 글렌 굴드 - 55년 녹음
바흐 (J. S. Bach) 작곡, 글렌 굴드 (Glenn Gould) 연주 / 소니뮤직(SonyMusic)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처음 만난 것은 아주 오래전 빌헬름 켐프를 통해서였다. 불면증을 앓는 귀족을 위해 작곡되었다는 친절한 설명서를 읽었던 때문이었을까? 괴로운 일이 있거나 마음을 가라앉히고 싶은 일이 있으면 이 곡을 즐겨서 들었다. 그런데 켐프의 연주는 명료하기는 하지만 매우 건조하다는 느낌을 떨치기는 어려웠다.

 

  장 기유가 파이프 오르간으로 연주한 골드베르크는 따뜻하고 편안한 느낌이 들어서 켐프 이후 내가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음반이었다. 그러던 가운데 만난 글렌 굴드의 음반은 참으로 낯설기 그지 없었다. 세상에, 이렇게 연주한 골드베르크도 있을 수 있구나 싶어서 놀랐던 것도 같다.


  그가 가진 재능에 못지않게 피아노 앞에서 일삼는 기행 때문에 더욱 더 세인의 관심을 끌었던 굴드의 면모는 음반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연주 속에 작게 들리는 허밍이라던가 숨소리는 이 피아니스트를 어떻게 이해해야할까 하는 생각의 거리를 던져주기도 한다. 거기에다 그의 골드베르크 연주는 일반적인 빠르기를 훌쩍 뛰어넘는다. 그런 이유로, 어떤 이들에게 이 곡은 편안함과 위안 대신 굴드가 선사하는 긴장과 각성처럼 여겨질런지도 모른다. 


  개인적으로 굴드의 골드베르크 연주를 좋아한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럼에도 내가 이 음반을 즐겨 듣는 이유는 고통 속에서도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추구했던 피아니스트의 내면을 추측하고 엿볼 수 있는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알려진 대로 그는 알 수 없는 여러 통증과 질병 때문에 항상 한보따리의 약병을 가지고 다녔으며, 자신만의 앉은뱅이 피아노 의자에 집착했고, 콘서트에서는 자신의 연주가 모두 사라져 버린다며 스튜디오 녹음을 고집했던 피아니스트였다.


  그에 관한 다큐를 작년에 볼 기회가 있었다. 치밀한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하는 프랑수와 지라르의 “글렌 굴드에 관한 32개의 단편”을 보고 나서도 굴드는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사람으로 남는다. 어쩌면 한 사람의 삶을, 내면을 이해한다는 것은 끊임없는 수수께끼를 푸는 과정과도 같은 것이 아닐까? 오늘도 그를 이해하고 싶어하는 세상 사람들은 그에 관한 책을 읽고 영화를 본다. 그리고 그가 연주한 골드베르크를 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