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 1 책세상총서 20
볼프강 벨쉬 지음, 박민수 옮김 / 책세상 / 2001년 11월
평점 :
절판


  우리 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류 담론이란 것이 사실은 학자들의 경쟁적인 이기심이 빚어낸 외국이론의 수입 전시장처럼 생각되는 때가 종종 있다. 이제 근대에 막 진입하고 있다고 보이는 우리 사회에서 포스트 모더니즘 논쟁이 일어나던 때의 기억을 떠올려보니 더욱 그러한 확신은 굳어진다. 이젠 포스트 모더니즘의 인기가 시들한 대신, 라깡을 비롯한 프랑스 철학이 큰 유행이 되어버린 것 같다.


  벨쉬의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은 우리에게는 한물 가버린 것처럼 보이는 포스트 모더니즘 논의를 차근차근 명확하게 짚어가며 설명해주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포스트 모더니즘에 관해 이보다 더 잘 정리된 해설서를 찾기는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다. 그만큼 벨쉬의 학자적 안목은 빼어나다. 이 책에서 그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주요한 철학자들의 이론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해서 각 분야에 나타난 포스트 모던적 현상에 대해 꼼꼼히 분석하고 있다.


  벨쉬는 무엇보다도 포스트 모더니즘의 선구자로 불리는 리오타르와 그의 저작들을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어떤 면에서 리오타르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입구이자 출구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철학자이기 때문이다. 리오타르가 그토록 옹호하고자 했던 가치, 즉 다양성에의 열망과 그것의 실현은 벨쉬의 의도와도 맞닿아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포스트 모더니즘에는 다양성의 무조건적인 추종으로 인한 혼란의 야기라는 측면이 내재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데카르트 이후 확립된 보편과학과 근대성에 대한 메타 담론의 해체 필요성이 존재하고, 그것을 통해 진정한 모던의 실현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할 때 포스트 모더니즘의 가치는 유효하다고 봐야할 것이다.


  벨쉬는 자신의 책을 통해 포스트 모더니즘이라는 철학적 풍경을 친절하게 안내해주고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