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 죠운 현대영미드라마학회 영한대역 23
조지 버나드 쇼 지음, 김봉정 옮김 / 동인(이성모)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초등학교 5학년 때, 전학을 가는 나에게 잔 다르크와 그리스도의 전기를 선물해준 아이가 있었다. 초등학생이 보기엔 다소 작은 활자로 인쇄된 그 책에 대한 기억을 떠올려보니 사실 대단한 감동 보다는 무겁고  어두운 이야기로 읽혔던 것 같다. 특히 잔 다르크가 영국군에게 붙잡힌 후 높은 감옥에서 뛰어내려 탈출을 시도하는 장면에서는 기이한 경외감마저 느꼈다.

 

  나이가 들어서 만난 잔 다르크는 잉그리드 버그만이 주연한 영화의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최근 들어서는 EBS에서 해준 2부작 TV물을 보았으나 별로 눈길을 끌만한 점은 없었다. 그러다가 자끄 리베트 감독이 연출한 잔 다르크를 보고나니 그 인물이 이전과는 새롭게 보이기 시작한 것 같다.

 

  버나드 쇼가 그려낸 잔 다르크는 어떤 맥락에서는 리베트의 시각, 즉 성녀로서가 아닌 인간으로서의 면모, 그를 둘러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예리한 시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통한다는 생각도 든다. 쇼는 이 희곡에서 잔 다르크의 무용담이 아닌 혁신을 주장하는 새로운 인물에 대한 기득권층과 시대의 불협화음에 더 초점을 두었다. 그것은 예수가 유대 지도자들과 유대인들에게 배척당하는 것과 비슷해 보이며, 실제로 극의 구조는 그리스도의 수난극을 재현하고 있다는 느낌도 없지 않다.  

 

  쇼의 재능은 죽은 잔 다르크와 재판에 관련된 이들, 샤를 국왕의 대면이 꿈 속에서 이루어지는 마지막 장에서 빛난다. 이 장은 쇼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아무리 정의롭고 선한 가치를 지닌 인물이라 하더라도 법과 제도, 정치적인 판단에 의해 희생될 수 있다는 메시지는 읽는 이의 폐부를 날카롭게 찌른다.

 

  쉽게 읽을 수 있는 가벼운 부피의 책은 아니지만 쇼의 글솜씨에 빠지다보면 시간이 어찌가는 줄도 모른다. 깊이 있는 희곡 읽기를 희망하는 이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