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메로스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욱송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다자이 오사무를 읽다보면 작가란 완만한 경사의 산을 올라가는 등산가라기 보다는 지뢰가 지천으로 깔린 전장 사이를 누비는 전사 같은 존재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그곳을 떠나고 싶지만 어떤 이유로든 떠날 수 없어서 목숨을 걸고 살아가는 그런 삶. 허무와 광기로 점철된 이십대를 보내고 나서야 비로소 작가의 길로 들어선 다자이 오사무의 글에서는 그 삶의 고단함이 여실히 드러난다. 

  8편의 단편들로만 엮인 이 책의 작품들 속에는 마치 고백성사를 하듯 자신의 청춘의 이력을 써내려가는 다자이 오사무가 있다. 매우 안정된 문체와는 달리 그가 보여주는 이십대의 모습은 불안과 두려움, 회한으로 가득차 있다. 자신에게 한때는 치명적이었던 상처들에 대해 그토록 담담해질 수 있었던 것은 글쓰기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생이 뿜어내는 엄청난 독기를 중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무기를 발견한 그는 어쩌면 행운아인지도 모르겠다.

  자전적인 단편들의 내용이 더러는 중복되기도 해서 다소 지루하고 밋밋한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여학생>의 경우는 다자이 오사무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매우 빼어난 글이다. 예민하게 흔들리는 여학생의 내면의 풍경이 마치 한폭의 수채화처럼 펼쳐지는 이 작품을 읽고 있노라면 어느새 나도 그 여학생의 일상에 들어와있는 듯한 느낌이다. 어디론가를 향해 끊임없이 부유하는 것들의 슬픔에 대해 작가는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기에 그런 글이 나올 수 있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들에서는 생의 독기를 보듬어낸 필사적인 흔적이 엿보인다. 그러나 그것이 너무 버거웠던 것일까? 결국 그는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이 책은 그가 세상에 남긴 슬프고도 아름다운 유품들 가운데 하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