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가 되어 인간을 밀어라 - 산문의 향기 005
나쓰메 소세키 지음, 미요시 유키오 엮음, 이종수 옮김 / 미다스북스 / 2004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고나서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을 처음 읽었을 때가 생각났다. 열 일곱살이었던가, 범우사에서 나온 푸른색 표지의 <마음>을 읽었던 것이. 돌이켜 보면 소설의 내용이 온전히 이해된 것은 아니었고 그것이 주는 쓸쓸하고 애잔한 느낌만이 두고두고 남았다. 그리고나서 이십대에 들어와서 그 소설을 다시 한번 읽었고, 그 때에서야 마음 속 깊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공감할 수 있었다. <그후>, <문>, <행인>, <한눈 팔기>, <산시로>와 같은 작품들을 몇년의 간격을 두고 접하게 되면서 소세키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가 되었다. 나이에 따라서 하나의 작품을 이해하는 폭이 달라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겠지만 소세키의 작품들은 이십대 후반이나 삼십대에 들어서면 더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소세키가 쓴 편지글 가운데 그의 인간적 면모를 잘 살펴볼 수 있는 글들로 엮인 이 책에서 이 위대한 작가는 자신에게 드리워진 후광을 내려놓고 일상의 옷을 입은 편안한 모습을 보여준다. 친한 친구, 아내, 신문사의 동료, 문학계의 동료와 후배들, 지인과 독자들에게 보낸 편지들은 소설 속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작가의 일상과 세상에 대한 견해, 품성등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정부 장학생으로 가게 된 영국에서 아내에게 보낸 편지들에는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의 소세키의 모습이 매우 잘 드러나 있다. 머나먼 타국에 있으면서도 아내 교코의 틀니 맞추는 일에서부터 늦잠을 자지 말라는 당부, 아이들의 교육에 이르기까지 소세키는 세세한 관심을 아끼지 않는다. 그런가하면 생활고로 아이들 키우는 일에 여념이 없는 아내가 답장을 자주 할 수 없는 상황인데도 그것을 서운해하며 노여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 가정내에서의 모습과 함께 작가로서의 자신의 본분을 잊지 않고 끊임없이 정진하려했던 소세키의 노력도 잘 나타난다. 문부성에서 수여하려는 문학 박사 학위를 끝끝내 거절하는 소세키의 의지가 담긴 여러통의 편지에서는 그가 "박사"라는 호칭이 주는 명예 보다도 작가로서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더 소중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 밖에도 아사히 신문사 시절 직장인으로서의 갈등과 고민, 후배 작가에게 주는 진심어린 충고들이 담긴 편지들은 소세키의 잘 알려지지 않은 인간적 면모를 투명하게 비추어주고 있다.

  오직 편지글로만 엮여있다는 점 때문에 소세키의 이름을 처음으로 듣는 독자에게는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그의 작품 한두 편은 접하고 읽는 것이 개인적으로는 더 낫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소세키를 전혀 모르는 독자라 하더라도 이 책을 통해 예민하고 올곧은 영혼을 지닌 작가의 모습에 흥미를 느끼고 그의 작품들을 찾게 되는 것도 좋은 독서 체험이 되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