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나
존 휴즈 지음, 연진희 옮김 / 바다출판사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내가 배웠던 중학교 교과서에는 중국의 문인 주자청의 "아버지의 뒷모습"이라는 수필이 실려있었다. 무척 담담하고 소박한 필치로 쓰여진 그 짧은 수필은 매번 읽을 때마다 마음에 깊은 울림을 주었다.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아버지의 속 깊은 잔잔한 사랑에 대해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던 글이었던 것 같다. 

  이 책은 저자 존 휴즈가 아버지와 자신의 관계를 반추하며, 알츠하이머 병을 앓게된 아버지의 노년기와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오직 펜만을 사용해서 단순하고 솔직한 그림체로 담아낸 그림책이다. 펜의 질감과 흑백이 두드러지는 저자의 그림체는 그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 속으로 독자를 단번에 끌어들이는 힘을 지니고 있다. 어떤 면에서 이 책은 아트 슈피겔만의 그림책 "쥐"와 비슷한 맥락으로 읽힐 수 있는 부분이 있기도 하다. 아들과 아버지 사이의 갈등과 대립,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이해의 노력들이 두 책에 공통적으로 잘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알츠하이머 병을 앓게 된 아버지의 이전과는 달라진 변덕스러운 모습에 때론 화도 내고 연민과 괴로움을 느끼기도 하고, 자신에게 혹 그 병이 유전되지나 않을까 근심하는 모습도 보인다. 함께 산책을 나간 어느날 아버지가 바지에 실례를 하는 모습을 보고는 차라리 저렇게 사느니 돌아가시는 것이 낫지 않은가 하고 한탄하기도 한다. 아버지가 무너지고 약해지는 모습은 자식에게는 가슴아프고 받아들이기 힘든 일일 터이다. 결국, 아버지를 더 깊이 사랑하고 이해하지 못한 채 보내야했던 저자의 안타까움과 슬픔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자식들의 운명일지도 모른다.

  책의 마지막 장을 덮고나서, 아버지의 뒷모습을 한번 떠올려 보았다. 어린 시절에는 무척이나 든든하고 넓게 보여서 세상의 그 무엇도 다 막아낼 것 같은 아버지의 등은 이제는 많이 굽고 내려앉아 있다. 단지 세월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나 또한 이런저런 걱정과 짐들로 당신의 쓸쓸한 뒷모습을 만든 것은 아닌지 가슴이 아려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