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한 장의 사진 - 내 마음속 사진첩에서 꺼낸
박완서 외 지음 / 샘터사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처음 사진을 배울 때에는 무얼 찍으면 그림이 될만한지에 정신이 팔려서 일상적인 것보다는 특이한 소재와 인물들을 담기에 바빴다. 거기에다 노출과 촛점, 심도까지 잘 살펴보아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정작 내가 찍는 대상에는 그다지 집중할 수가 없었다. 나중에 현상과 인화를 거치고 나서야 내가 찍은 사진들을 찬찬히 살펴볼 수 있었는데 처음이라 그러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그 사진들을 통해 내가 무엇을 말하고 싶어했는지 알 수가 없어서 상심이 컸던 기억이 난다. 나는 사진을 찍는다는 자체에만 흥미를 갖고 열광했을 뿐이지, 사진 안에 담고자 했던 것들에 대해 생각하고 소통하는 데에는 무지했었던 것이다.

  이 책은 문인들 각자에게 각별한 의미로 남는 한장의 사진에 대한 이야기들로 구성되어있다. 말하자면 사진들의 내력에 대한 풀이인 셈이다. 그런데 인상적인 것은 그 사진들이 과거의 특정한 시점, 사건, 인물에 대한 이야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재까지도 글을 쓴 사람에게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과연 우리의 삶에서 그런 사진이 얼마나 될까? 너도 나도 디지털 카메라로 손쉽게 이미지를 담아낼 수 있게되었지만 거기에 대상의 진정성은 얼마만큼이나 들어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너무나 흔해진만큼 정작 중요한 것은 담아내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한번 생각해볼 일이다.

  이 책에 실린 사진들을 보다보면 우리네 삶의 근간을 이루는 뿌리들이 투명하게 드러나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부모, 형제, 친구, 자녀, 손주, 이웃, 나무와 풍경에 이르기까지 인생의 단면들을 담아내기에 모자람이 없다. 그런가하면 자신만의 모습을 담은 자화상과도 같은 사진을 통해 스스로 삶의 여정을 가늠해보기도 한다.

  손녀에게 글을 가르치려는 욕심에 그림책으로 열심히 설명을 하는 할머니로서의 박완서, 살림이 어지럽게 널려진 거실에서 티없이 맑게 웃고 있는 어린 남매의 사진을 통해 결혼 초의 어려움을 회상하는 이명랑, 젊은 시절 형제들의 산행을 담은 사진에서 각자의 삶에 어린 굴곡을 읽어내는 조은, 백야의 그 황홀하고 아찔한 순간을 그 때 찍은 사진에서 잡아내는 박상우... 비록 한장의 사진에 불과해보이지만 그 안에는 인생의 일부가 녹아들어가 있다.

  무엇보다 그 가운데에서 가장 마음에 남았던 것은 이호철의 사진이다. 북에 있는 누이가 그의 동생임을 입증하기 위해서 한장의 사진을 보냈는데 그 사진으로 그는 바로 누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진에는 "들뜬 두마음"이란 글귀와 함께 열아홉살의 이호철의 모습이 있었던 것이다. 한장의 사진이 그 오랜 세월을 뛰어넘어 혈육의 증표가 되었다는 사실에 왠지 모를 뜨거움이 마음에서 일어났다.

  카메라를 잡지 않은지가 일년이 지났다. 내가 다시 카메라를 든다면 잘 찍을 수 있을것인지에 대해 요즘들어 자주 생각해보곤 한다. 사진과 담을 쌓고 지내온 동안 나 나름대로 세운 원칙이 있다면 그것은 이젠 내가 사진 속에 담고자 하는 대상에 더욱 집중할 것과, 그 진정성을 한자락만이라도 담아낼 수 있도록 더 진지해지자는 것이다. 그런 연후라면 내가 찍은 사진들 속에서 삶의 진실된 단면들이 잘 드러나지 않을까. 마치 이 책에 실린 인생을 말하는 사진들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