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시로
나쓰메 소세키 지음, 최재철 옮김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들을 읽다보면 사람의 마음과 세상살이의 미묘하고 복잡한 질곡들을 참으로 정밀하게 써낸다는 인상을 받게된다. 그가 세상과 사람을 바라보는 눈은 감상적이지는 않으나 연민을 담고 있으며, 냉소적인 것 같으면서도 유머를 잃지 않는다. "산시로"는 소세키가 그러한 눈으로 바라본 방황하는 청춘의 모습을 그려낸 작품이다.

  억압적인 고등학교 시절에서 벗어나 동경의 대학에서 만난 독특하고 기이한 사람들, 그들이 사는 모습과 세계관은 산시로에게 때론 찬탄을, 때론 이해하기 어려운 곤혹스러움을 남기기도 한다. 그 혼란 속에서 만난 첫사랑의 매혹은 그를 더욱 흔들리게 만든다. 그러는 동안 산시로는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자각과 함께 타인의 세계를 이해하고 공존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간다. 물론 상처와 고통이 수반된다. 산시로는 첫사랑을 이루지 못한 좌절과 슬픔을 안게 되는 것이다.

  산시로가 사랑했던 미네코가 자신도 산시로처럼 방황하는 청춘임을 마음으로 호소하는 단어인 "스트레이 쉽(Stray sheep)"은 마치 모든 청춘들을 지칭하는 말처럼 들린다. 양들은 자신들이 가야할 곳이 어디인지 몰라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며 어지러운 발자국들을 남긴다. 이 소설은 그 예민하게 떨리는 발자국들을 포착해낸다. 그러한 발자국들이 끝나는 지점은 바로 청춘의 길이 끝나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삶은 지속되는 것이기에 길이 끝나는 곳에서 새로운 길은 시작된다.

  방황하는 청춘에 대한 이야기에는 떨림과 묘한 우수가 존재한다. 비록 시대적인 배경이나 공간이 다를지라도 그 본질에는 시련과 고통이 관통하고 있다. 나의 기억 속에는 그러한 이야기들로 J.D.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조셉 콘라드의 "청춘", 토마스 하디의 "석공 주드"가 있었다. 이제 "산시로"의 이야기가 새롭게 더해졌다. 이것이 전해준 마음의 울림은 오래도록 지속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