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환장할 봄날에 창비시선 232
박규리 지음 / 창비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게는 잡지를 읽을 때 맨 뒷장에서부터 읽는 기이한 습벽이 있다. 예전에는 나만 이런가 싶은 생각도 해보았으나 알아보니 예상외로 그런 사람들이 꽤 있는 모양이다. 소설이나 다른 일반 서적 같은 것은 그렇게 할 수 없지만 첫장부터 꼼꼼히 읽는 것은 한편으로는 답답하고 괴로운 일이기도 하다. 시집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냥 손 가는대로 아무데나 펴서 읽는다. 그렇게 읽기를 반복하다 보면 어느새 한권을 짜깁기하듯 다 읽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박규리의 시집은 그렇게 되지 않았다. 중간에 한부분을 읽다가 마음이 바뀌어서 첫장부터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시집을 덮고나니 이 시들을 그렇게 읽은 것이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처음부터 읽게 된 이유가 있었다. 이 시의 소재 대부분은 절과 스님, 그곳을 지나치는 이, 머무르는 이, 그곳을 둘러싼 자연에 관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처음엔 이것이 시인의 상상속의 산물인가 싶었는데 아무래도 생생하게 살아있는 묘사와 느낌들이 상상이 아닌 체험에서 나온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자 처음부터 찬찬히 읽어봐야할 것만 같았다. 상상에서 체험으로 나아간 시들이 쪽수를 넘겨갈 수록 이것은 시인의 삶 자체라는 결론에 이르게 만들었다. 그랬다. 시인은 적지않은 년수의 세월을 절의 공양주로 살았던 것이다.

  체험과 삶은 엄연히 다른 것이라고 누군가 내게 이야기해준 것이 기억났다. 체험은 단지 무언가를 해본다는 데에 그치는 것, 그래서 다시 돌아올 삶의 자리가 있는 한정적인 것이지만 산다는 것, 삶이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며 그곳이 그 사람이 서있는 전부라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내가 파출부의 하루를 체험해 보는 것이 파출부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의 하루와 동일시 될 수 없다는 이야기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박규리의 시들은 체험이 아닌 삶으로서의 기록들이다. 그것들은 때론 처연한 표정을 짓는가 하면 상처를 후벼파기도 하고 반성도 하고 눈물도 흘린다. 놀랍지 않은가? 시들에게 그러한 생명의 힘이 느껴진다는 사실이... 그러나 이는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것들은 모두 일회성의 체험이 아닌 매일의 일상 속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도록 단련되었기 때문이다. 그 목소리들은 읽는이에게 스며들어서 깊은 울림을 만들어낸다

  나도/ 언제쯤이면/ 다 풀어져/ 흔적도 없이 흐르고 흐르다가/ 그대 상처 깊은 그곳까지/ 온몸으로 스밀/  죽, 한사발 되랴   "죽 한사발"

  이 시집은 그녀가 대접해주는 따끈한 죽 한사발 같은 느낌으로 오래 남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