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불교의 선문답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祖師)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고, 아라한을 만나면 아라한을 죽여야 비로소 해탈을 얻어서 참사람이 된다." 영화의 제목 "포도나무를 베어라"는 바로 그 선문답이 가리키는 지점과 맞닿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신약성서에 나오는 많은 비유들 가운데 하나인 포도나무는 바로 예수와 그를 믿고 따르는 이들의 관계를 가리킵니다. 포도나무와 가지, 그 둘은 서로 떨어져 살 수가 없는 존재입니다. 그런데 포도나무를 베라니요, 거기엔 무언가 다른 뜻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요.
민병훈 감독의 이 영화는 외양상으로는 가톨릭의 색채를 띤 종교영화입니다. 신학생, 신부, 수녀, 이 영화에 나오는 등장인물들 뿐만 아니라 배경이 되는 공간도 신학교, 수도원, 성당이 주를 이루죠. 그렇다고 이 영화가 거룩한 종교적 깨달음에 대한 것이라고 선입견을 갖고 단정하는 일은 아직 이릅니다. 영화에 나오는 인물들의 고민이 매우 인간적이니까요. 신학생인 수현은 여자친구인 수아를 마음에서 밀어내지 못해 힘들어합니다. 그가 마음의 짐을 덜어내기 위해서 찾아간 수도원에서 만나는 인물들은 또 어떤가요? 수련 수사인 정수는 예쁜 외국인 노동자에게 마음을 뺏겨버린 상태이고, 무뚝뚝하고 엄격해 보이는 문 신부는 자신의 불안함을 없애기 위해 술에 의지하기도 합니다. 네, 그들은 모두 약함을 가진 인간들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복잡한 수현의 마음은 수아와 너무나 닮은 헬레나를 보고서 더 헝클어집니다. 그런 그에게 수아의 갑작스런 죽음은 충격으로 다가옵니다. 그제서야 그는 자신을 괴롭히는 문제의 본질과 마주하게 됩니다. 민병훈 감독은 이 영화가 "두려움"에 관한 이야기라고 말합니다. 수현에게 있어 그 두려움이란 신을 따르는 길, 사제가 된다는 것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에서 파생된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동기인 강우가 신학교를 그만 두는 모습을 보고 흔들리지요. 강우는 그에게 묻습니다. "너는 가라면 가고, 멈추라면 멈출 수 있어?" 강우는 멈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떠나지만, 주인공 수현은 아직 자신이 가야할지 멈추어야 할지 모릅니다.
영화에는 수현이 자신이 진정으로 두려워하는 것과 직면하게 만들기 위한 몇가지 우연적인 사건과 신비적인 요소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여자친구와 닮은 외모의 수련 수녀라던가, 죽어가는 아이가 수현의 기도로 병이 낫는다던가 하는 것이 그것이지요. 물론 이것들은 명확히 설명되지도 않고, 그 때문에 관객들의 상상력은 더 풍성해질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그러한 요소들로 인해 이야기의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타인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응시하고, 진정한 용서와 화해를 이야기하는 감독의 시도는 너무 도식적이에요. 영화는 단아하고 깔끔하지만 그 이상의 것을 이끌어내는 데에는 역부족인 것처럼 보여요.
영화의 제목은 말 그대로 포도나무를 베라는 뜻은 아닙니다.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라는 선문답도 마찬가지구요. 그 말의 뜻은 수행자가 자신이 진정으로 두려워하고 직면하기 어려워하는 것과 맞서야 깨달음의 길에 들어설 수 있다는 데에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 수행자가 두려워하는 대상은 결국 자기 자신입니다. 스스로의 내면을 직시하고, 자신의 약함과 두려움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는 그 순간, 새로운 눈이 열리는 것이지요. 이것은 어떤 면에서 심리상담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고 그것을 인정하게 될 때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되는 것과도 비슷해 보이는군요.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매우 의미심장합니다. 돌아가는 기차 안, 자신의 손목시계에 귀를 갖다댄 수현은 잠시동안 아무소리도 듣지 못하다가 어느 순간 크게 울리는 초침 소리를 듣습니다. 그때 그가 짓는 미소는 이제 막 여행을 떠나는 이의 설레임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는 이제 막, 신을 따라 떠나는 자신만의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좋은 사제가 될 수 있을까요? 그 장면을 보면 그럴 것이라고 나는 진심으로 믿고 싶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