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죽음
-또 그 꿈이네.
미주는 식은땀으로 축축해진 목덜미를 쓸어내리며 잠에서 깼다. 목이 말랐다. 식탁에서 물을 마시며 시계를 보니 5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밖은 어둑어둑했다. 9월, 이제 낮은 점점 더 짧아지고, 밤이 길어질 것이다. 동이 트려면 얼마나 더 있어야 할까, 잠깐 생각했다.
뭔가 풀리지 않거나, 기분이 좋지 않으면 늘 그 꿈을 꿨다. 화장실 꿈이었다. 꿈속에서 미주는 화장실을 찾아다녔다. 그런데 미주가 찾아다니는 화장실은 죄다 더럽고 막혀있었다. 방금 전의 꿈은 최악이었다. 엄청나게 많은, 대략 백 개 정도나 되는 화장실 문을 열어보고 닫기를 반복했다. 그 어디에도 깨끗한 화장실은 없었다.
-모든 게 다 걔 때문이야.
미주는 그렇게 혼잣말을 했다. 미주의 화장실 꿈은 나름의 역사가 있었다. 이것은 무려 30년 넘게 이어진 꿈이다. 그리고 그 시작은 미주의 재수 시절부터였다. 의대 입시에 실패하고 나서, 부모님은 미주를 재수 학원에 밀어넣었다. 시 외곽에 있는 기숙 학원이었다. 재수 학원 근방에는 논밭이 드넓게 펼쳐져 있었다. 그곳은 마치 외계 행성의 감옥처럼 보였다.
미주는 학원 입학 시에 시험을 치룬 후, 특수반 A에 편성되었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있는 반이었다. 그 아이는 일반반의 학생이었다. 155 정도의 키에, 약간 퉁퉁한 체격의 여자애는 빡빡 밀어버린 머리 때문에 눈에 띌 수밖에 없었다. 특수반과 일반반 학생들은 서로 대화를 하는 일도 거의 없었다. 기숙사의 방과 학급 배치, 식당의 동선도 철저하게 분리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미주가 그 빡빡머리의 여자애를 본 것은 단 한 번으로 그쳤다. 그리고 그것은 30년이 지나도록 미주의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는 이미지로 남았다.
4월, 2번째 모의고사를 앞둔 어느 날이었다. 아침부터 학원이 소란스러웠다. 경찰차와 구급차가 1층 출입구에 보였다.
-죽으려면, 지네 집에나 가서 죽을 것이지. 재수 없게.
1교시의 국어 선생이 찌그러진 표정으로 그렇게 말을 내뱉었다.
-그러니까, 걔 맞지? 그 머리 다 밀어버린.
미주는 뒷자리에서 누군가 수군거리는 소리를 들었다. 6층 화장실에서 사고가 있었다. 그 빡빡머리 여자애가 목을 매어 죽은 것이다. 그때부터였다. 미주가 화장실 꿈을 꾸게 된 것은. 빡빡머리의 여자애는 미주에게 화장실의 악령 같았다. 그렇다고 미주의 꿈에서 그 여자애가 나타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그것도 이상했다. 그럼에도 미주에게는 그 여자애는 화장실과 단단히 결합된 불길함 그 자체였다. 미주는 화장실 꿈에서 깨어날 때마다 그 여자애를 떠올리게 되었다.
-꼭 그렇게 죽었어야만 했을까...
미주는 화장실 꿈에서 깨어나면, 언제나 똑같은 질문을 했다. 그리고 그 질문에 여전히 답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것은 미주가 죽을 때까지 풀 수 없는 거대한 수수께끼였고, 심연이기도 했다. 더러운 화장실의 문을 닫듯, 매번 닫아버릴 수밖에 없는 질문이었다. 미주의 화장실 꿈에는 어떤 죽음이 그렇게 또아리를 틀고 오래도록 잠을 자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