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늘
-어서 오세요. 아니, 이게 누구야? 웬일로 여길?
-너 일 잘하나 감시하려고.
민우는 진호가 눙치며 답하는 것을 보고는 웃었다. 자정이 좀 넘은 시각이었다.
-커피 줄까? 내가 살게.
-야, 그만둬. 내가 알바생 커피 한잔 사줄 돈은 있다고.
진호는 냉장고에서 캔 커피 2개를 꺼내 민우에게 건넸다. 그리고는 창가 옆의 간이 테이블 위에 가방을 놓고는 의자에 털썩 앉았다.
-이제까지 회사에서 일한 거야?
-응. 국제 도서전 행사가 있어. 그거 준비하느라.
-인턴이라 그냥 마구 굴리는 모양이군.
-그런 셈이지. 공인된 회사 노비 같은 느낌.
민우는 살짝 졸음이 오려던 참에 이렇게 찾아온 진호가 반갑고 고마웠다.
-복학은 언제 할 거야?
-글쎄. 좀 돈이 필요하기도 하고.
-학비는 학자금 대출 땡겨. 졸업을 빨리해서 취직하면 어떻게든 되지 않겠어?
-취직이라...
민우의 표정이 어두워졌다.
-너, 그럼 글을 계속 쓸 생각이냐?
-글은 써야지. 어쨌든
-그렇다면 더더욱 학교로 돌아와야지. 등단을 빨리 하는 게 상책이야. 문창과 좋은 게 뭐냐. 등단 제조기 아니냐. 애들하고 부대끼면 뭐라도 써내게 되잖아.
-그야 그렇지. 넌 등단했으니까 좋겠다. 나도 지방신문이나 독립 문예지 어떻게 파볼까?
-야, 그런 거면 관둬. 지방신문 등단은 내놓은 자식 취급이야. 너도 잘 알잖아. 이건 골품제보다 더해. 성골 진골 나누듯 메이저 마이너 선 긋고, 마이너는 대놓고 무시하는 거. 할려면 한 방에 메이저로 가라고.
-그게 쉬운 것도 아니고...
진호가 답답하다는 듯 말을 이어갔다.
-넌 그게 문제야. 결정을 내리는 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복학을 또 늦추면 어떻게 하려고 그래. 지금 우리 동기 가운데 학교에 남은 사람 수진이 뿐이야. 걔는 부모 돈으로 놀러 다니느라 그런 거고. 다들 진작에 졸업해서 어떻게든 그냥 비비고 사는데.
-그건 그래.
민우는 진호가 후벼파내는 자신의 현실이 짜증스럽게 느껴졌다.
-넌 글을 안 쓸 생각이야?
-확실한 건 지금은 아니라는 거지. 회사 적응하는 게 최선이야. 출판 시장 돌아가는 거 보면서 어떤 글 쓸지 생각하려고. 목표가 생겼어. 내가 보니까 출판사 편집장이 괜찮아 보여. 적당히 좋은 권력이라고나 할까. 여기 들어왔으니 한번 해볼 거야.
그렇게 말하고는 진호는 민우의 얼굴을 힐끔 쳐다보았다. 자신이 민우를 좀 몰아붙인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새벽에 손님 없을 때, 신간이라도 좀 읽으라고 챙겨왔어. 요새는 이런 감성 충만한 글이 먹혀. 낯 간지럽기 짝이 없지. 너도 유행을 따라가봐.
진호는 서류 가방에서 책을 주섬주섬 꺼냈다. 책을 민우에게 건네주고는, 진호는 자리에서 일어섰다.
-나, 간다. 얼굴 좀 펴고. 난 자식도 없는데, 이상하게 네가 자식 같다. 그것도 아픈 자식. 걱정이 되.
민우는 진호가 나간 편의점 문을 한참 동안 쳐다보았다. 졸음은 진작에 달아나 버렸다. 편의점의 닫힌 문은 감옥의 창살처럼 보였다. 이번 달 월급은 부모님의 통장으로 가버렸다. 아버지의 항암 치료는 17차로 접어들었다. 앞이 보이질 않았다. 민우는 눈꺼풀을 세게 비비며 쓸어내렸다. 회색의 더러운 비늘이 나방처럼 포스기 위를 나풀거리며 날아다니는 듯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