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롤드 핀터 전집 2
해롤드 핀터 지음, 이현주 옮김 / 평민사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베케트 전집은 알라딘에서 볼 수가 없군요. 핀터의 전집만 있길래 그것으로 올립니다.
최근에 니콜 키드먼 주연의 영화로 화제를 모았던 〈인베이젼 Invasion〉은 원작의 세 번째 리메이크 작이었다. 1957년에 나왔던 〈신체강탈자의 침입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은 바로 그 영화의 원작이다. 이 작품은 SF 영화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고 할 수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 외계의 힘이 보여주는 공포를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근원적 물음을 던졌기 때문이다. 어느 날 도시의 사람들은 똑같은 표정과 말투를 하며 자신들과 다른 것을 표현하는 사람을 공격하는 일이 벌어진다. 이 작품에서 인간을 규정하는 중요한 조건은 ‘감정을 가진 존재인가’하는 것이다.
베케트와 핀터가 〈게임의 종말〉, 〈덤 웨이터〉를 통해 보여주는 현대인의 초상은 어떤 면에서 앞서 언급한 영화에 등장하는 사람들과 닮아있는 것처럼 보인다. 눈에 보이지 않은 신체강탈자들은 사람들이 자는 사이에 생각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기능을 빼앗아 가버린다. 〈게임의 종말〉의 함과 클로브, 〈덤 웨이터〉의 구스와 벤은 정상적으로 사고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잃어버린 인간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클로브는 함의 뒤치다꺼리와 무의미한 행위로 반복된 일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구스와 벤은 살인청부업을 아무렇지 않게 주어진 임무로 받아들여 해내고 있다. 왜 그들은 그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무기력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공교롭게도 이 두 작품은 발표된 년도가 같다. 1957년이다. 전후 깊게 드리워진 상처의 그림자를 이 두 작품에서도 볼 수 있다. 제 2차 세계 대전은 무엇보다 전대미문의 학살극이라 할 수 있는 유대인 대량학살의 끔찍한 기억을 남겼다.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조건이 있다면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이러한 치열하고 철저한 자기 성찰의 분위기는 특히 문학과 예술의 영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베케트와 핀터가 자신들의 시대와 호흡하며 뛰어난 작품을 내놓은 문제적 작가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그들의 작품 속에서 그 시대를 읽어내는 일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게임의 종말〉에서 끊임없이 피를 흘리는 부상당한 함이나 〈덤 웨이터〉의 도입부에서 나온 늙은 노인의 죽음과 어린아이의 고양이 살해 기사는 끊임없이 위험에 노출된 폭력적 현실을 암시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그런 상황에서 살아가야 하는 인간의 고통에 대해 보여준다.
베케트와 핀터는 그러한 상황에 처한 인간이 보여주는 위악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인다. 두 작가는 어떠한 해결책이나 구원을 제시하는 대신에 파국의 국면을 보여주는 데에 주저하지 않는다. 클로브는 함의 위협에 떠나지 못하고 무의미한 일상의 소극(笑劇)이 반복되는 무대(삶)에 남는다. 구스는 자신에게 끊임없는 희생과 복종만을 강요하는 인물에게 의문을 제기하고 반항을 선택한 대가로 죽음을 맞이한다. 베케트와 핀터가 보여주는 이러한 결말은 그들이 바라본 현대세계가 얼마나 우울하고, 희망을 꿈꿀 수 없게 만드는 곳인지를 증명한다.
〈덤 웨이터〉의 구스는 외친다. “왜, 왜 그는 이런 게임을 하는 거야? 이게 바로 내가 알고 싶은 거야. 왜 그는 이런 게임을 하는데?” 그 게임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게임을 그만 두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누구하나 말해주지 않는다. 핀터는 게임에서 패배하기로 결정되어 있는 인물에게 연민을 보이지 않는다. 그는 독자와 관객에게 게임의 규칙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에게 남은 것은 죽음뿐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누구도 그 게임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결코 그 누구와도 진정한 감정의 소통을 하지 못하고 단절된 채, 모두가 무표정한 표정을 짓고 주어진 명령에만 복종하는 기계와 같은 존재를 인간으로 규정하게 된 시대, 그것은 바로 우리가 사는 현대이다. 두 작가는 그 황량하고 슬픈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초상을 분열증적인 언어의 희곡으로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