쿵쿵쿵쿵... 새해 첫날, 이른 아침부터 절구로 마늘 찧는 소리에 잠이 깼다. 정확히 어느 집에서 저런 소리를 내는지 나는 알 수가 없다. 다만 믹서기 없이 저렇게 절구로 마늘을 찧는 집이 있다는 것만 안다. 얼마 전에도 저 집구석의 하루종일 마늘 찧는 소리 때문에 머리가 울릴 지경이었다. 믹서기 가격이 대체 얼마나 한다고 저러고 살까? 믹서기 살 돈이 아까워서 저러고 산다고는 믿을 수 없었다. 아마도 저렇게 손으로 직접 찧어야만 마늘 맛이 좋다고 생각해서 그런 것일지도 몰랐다.

  나는 언젠가 커피 분쇄기가 고장 났었을 때의 일을 떠올렸다. 커피는 마셔야겠고, 분쇄기는 고장이 났다. 하는 수 없이 찬장 어느 구석탱이에 처박힌 사기로 된 절구를 꺼내었다. 원두커피 200g을 빻는데 30분 정도 걸린 것 같았다. 손에는 쥐가 나고 손목이 시큰거렸다. 옛날 어머니들은 참 힘들게도 살았구나. 나는 다시는 절구로 커피 빻는 일은 해볼 생각을 하지 못했다. 저렇게 몇 시간이고 마늘을 빻는 사람은 아마 나보다는 단련된 손목을 가진 사람이겠지. 

  나는 온집안에 울려퍼지는 절구 소리를 듣고 싶지 않았다. 무작정 밖으로 나갔다. 날은 그다지 춥지 않다. 지난가을부터 도진 족저근막염은 좀처럼 나을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늙어서 그런가 보다. 그냥 그런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안 걷고 마냥 지낼 수도 없다. 가끔은 걸어야지. 산책하러 가는 길에 지나는 공원에는 사람도 거의 없다. 나이 든 할머니 한 명이 운동기구로 다리를 힘겹게 내젓고 있었다. 나는 공원을 지나 근처의 아파트 단지로 들어선다. 한적한 도로를 걸어가는데, 좀 떨어진 곳에서 중년의 남자 하나가 걸어오고 있었다. 남자는 한쪽 어깨에 커다란 검정색 가방을 메고 있었다.

  "사모님, 안녕하세요. 저, 이것 좀..."

  나는 이 나이가 되도록 '사모님'이란 호칭을 듣는 것이 어째 영 어색하다. 남자가 내민 것은 중국집 전단이었다. 남자의 가방에 있는 것은 아마도 전단 꾸러미인 모양이었다. 그건 오늘 남자가 해야할 일감 같아 보였다. 내가 젊었을 때에는 거리에서 광고 전단을 주는 사람들을 피해가곤 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는 웬만하면 전단을 받아 들게 되었다. 내가 그걸 받아주면 그 사람들의 일이 조금은 줄어들 것이므로. 남자의 인상은 그리 좋아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나는 선뜻 손을 내밀어서 남자가 건넨 중국집 광고지를 받았다. 내가 건네받은 광고지는 무게조차 느낄 수 없는 한낱 가벼운 종이이다. 그건 그 남자가 짊어진 삶의 무게에 비한다면 아무것도 아니다. 조금 떨어진 곳에는 그 아파트의 분리수거장이 있다. 걸어가다가 나는 그 전단을 그곳에 던져놓았다. 나에게는 그것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곳을 지나 도로 하나를 건너면 다른 아파트 단지가 나온다. 거기에는 1층 화단에 자신만의 정원을 가꾸는 사람이 있다. 식물에 대한 애정은 차고 넘치나, 그것을 조화롭게 키워내는 재주는 없는 사람이었다. 언젠가 지나가면서 보니, 그 화단을 가꾸는 이는 60대 초반으로 보이는 남자였다. 이것저것 심어놓았던 화단은 휑하니 비어 있었다. 봄이 되어야 그곳에 화초들이 채워질 터였다. 흔하고 별 볼 일 없는 꽃이라 해도 그곳에 심어지면, 지나가면서 보는 이들에게는 나름의 즐거움을 준다. 나는 올해 봄에는 거기에 어떤 꽃들이 필지 생각을 해보았다.

  나에게도 키우는 화초 세 가지가 있기는 하다. 크리스마스선인장이라고 불리는 게발선인장, 천리향, 비파나무. 게발선인장은 해마다 이맘때쯤에 꽃을 피운다. 이건 키운지 15년도 넘은 것 같다. 이 선인장의 화분은 윗부분의 절반이 깨졌다. 베란다에서 발로 밀다가 그리 되었는데, 분갈이를 해주기 귀찮아서 그냥 그렇게 두고 있다. 화분의 모양새도 참 그런데, 몇 년 전에는 선인장 절반이 갑자기 뚝 하고 떨어져서 죽어버렸다. 절반 남은 선인장이 매해 꽃을 피웠다. 꽃송이를 세어보니 6송이이다. 참으로 고맙다. 내가 하는 거라곤 좀 시든 기운이 보일 때, 물을 주는 것뿐이다.

  천리향은 꽃봉오리가 맺히고 있다. 천리향은 꽃은 참 볼품없는데, 향이 정말 좋다. 아마 보름쯤 지나면 꽃이 필 것 같다. 어느 해인가, 겨울에 추울 것 같아서 천리향을 집안에 들여놓았다. 그랬더니 그해에 천리향이 꽃을 피우지 않고 그냥 지나갔다. 그때, 나는 깨달았다. 내한성(耐寒性) 식물을 따뜻한 곳에 두는 것은 독과 같다는 것을. 그래서 겨울에는 몹시 추운 날을 빼고는 천리향을 그냥 밖에 두었다. 얼마 전 강추위가 엄습했을 때, 천리향을 잠깐 집안에 들여놓기는 했다. 이제 날이 풀렸으니, 화분을 밖에 두어도 된다.

  "그래, 강하게 살아야지."

  나는 꽃이 핀 게발선인장만 저녁에 집안에 들여놓고, 천리향과 비파나무는 베란다에 놔두었다. 비파나무는 원래 밖에서 자라는 거니까 그러려니 하면서도, 천리향은 겨울밤 추위에 두는 것이 좀 마음에 걸린다. 그래서 천리향에게 변명하듯 나는 그렇게 말을 건넸다. 그런데 누군가가 나에게 '강하게 살아야 한다'고 말하면 어떨까? 아마도 나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하하하, 웃기시네. 나는 식물이 말을 못 하는 것에 새삼 안도한다.

  언젠가 사주 공부를 해보려고 한 적이 있다. 사주책을 사서 좀 보려고 했더니, 죄다 한자투성이였다. 이건 좀 힘들겠네. 그냥 내 사주나 좀 풀어서 들여다보다 말았다. 내 사주에는 오행 가운데 '木'이 참 많이 없었다. 물론 사람마다 부족한 오행의 기운이 있기는 하다. 木은 생기와 친화력, 뭐 그런 거에 해당하는데 그게 내게는 부족했다. 그럼 그걸 채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뭔가를 새롭게 만들고 하는 걸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식물을 키우던가 하는.

  그런데 나는 식물 키우는 재주는 정말이지 눈꼽만큼도 없다. 생각해 보니 나에게는 글쓰기가 있다. 이것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일이다. 木이 부족한 나에게 글쓰기는 그러니까 화초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날마다 써내지는 못해도, 어떻게든 좀 써보려고 노력은 한다. 작년에는 내내 글이 써지지 않아서 골머리를 앓았다. 그래도 글쓰기를 놓을 수는 없다. 보잘것없어 보이는 내 화초들이 해마다 꽃을 피우는 것처럼, 내 글도 언젠가 그렇게 되겠지. 그런 희망을 품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