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나는 어머니와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노래 부르기'를 새롭게 추가했다. 처음에는 어머니가 부르고 싶은 노래를 알려주셨다. 그런데 그렇게 부르다 보니 나중에는 딱히 떠오르는 것이 없으신듯 했다. 그래서 내가 그냥 유튜브를 방랑하면서 이런 저런 노래를 추천하는 식이 되어버렸다. 어제는 문득 아주 옛날 노래가 떠올랐다. 현인 선생이 부른 '굳세어라 금순아(1953)'였다. 어머니에게 그 노래는 어떠냐고 했더니 괜찮다고 하셨다. 큰글씨의 가사가 나오는 동영상을 찾아서 재생을 시켰다. 하도 오래전 노래라 나는 따라 부르지 않고 그 노래를 건성으로 듣고 있었다.

  한 2절쯤 되었을까? 노래를 부르시던 어머니의 눈시울이 붉어졌다. 나는 무슨 일인가 했다.

  "노래가 정말 슬퍼서 그런다."
 
  '굳세어라 금순아'의 가사는 피난민으로 부산에 온 남자가 전쟁통에 헤어진 연인 금순이를 그리워한다는 내용이다.

  "에이, 뭐가 그렇게 슬퍼요? 엄마는 실향민도 아닌데."

  어머니는 뭔가 감정이 북받치는지 눈물까지 흘리셨다.

  "얼마나 보고 싶으면 저렇게 노래를 하겠냐. 보고 싶은데 만나지도 못하고."

  나는 갑작스런 어머니의 반응에 당황했다. 노래는 이제 3절로 접어들고 있었다. 가사의 화자(話者)는 금순이에게 북진통일이 되면 다시 만나자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북진통일(北進統一)'이라니, 내게는 너무나 생경하고 현실성 없는 단어였다. 정말로 그 시대 사람들은 그것이 가능하다고 믿었던 것일까? 아마도 그 가사는 이산(離散)의 뼈저린 슬픔을 잊고 싶은 마음에서 나왔을 것이다.

  "엄마, 나중에 방송국에서 이산가족 찾기 했잖아. 그 사람도 거기서 금순이 찾아서 만났을 거야."

  나는 서둘러 유튜브 창을 닫으면서 어머니에게 그렇게 말했다. 노래 '굳세어라 금순아'에 담긴 정서를 공감할 수 있는 세대는 이미 세상을 떠났거나, 어머니처럼 생의 황혼기에 서있다. 나에게 이 노래는 그 시대를 알 수 있는 대중 문화의 텍스트로 생각될 뿐이다. 어떤 의미에서 '굳세어라 금순아'는 이제 계속해서 불려지는 노래라기 보다는 화석화되고 박제된 구시대의 오랜 기억이 되어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오늘 어머니와 함께 부른 윤수일의 '아파트(1982)'도 '굳세어라 금순아'와 같은 길을 걷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학창 시절에 이 노래는 학교 운동회 때 응원가 목록에 빠지지 않고 꼭 들어 있었다. 지금 시대의 아파트는 사방팔방에 들어선 흔하디 흔한 건물일 뿐이다. 하지만 1980년대에 아파트는 그리 흔한 주거 형태가 아니였다. 청약에 당첨되는 것은 복권 당첨과 같은 행운처럼 여겨졌었다.

  노래 '아파트'는 헤어진 연인에 대한 아련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이 노래를 가만히 듣고 있노라면 거기에 담긴 정서가 그 시대 사람들의 내면과 맞닿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연인이 살았던 아파트는 채워지지 않는 갈망과 선망의 대상으로 인식된다. 그렇게 노래 '아파트'에는 1980년이라는 시대와 사랑 이야기가 공명하고 있다. 요즘 그렇게 나는 어머니와 함께 노래를 부르며 지나간 시대의 사회사를 탐색해 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