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자신을 교육부의 '노예(slave)'라고 소개한다. 그 말에 경찰관 크로포드의 표정이 살짝 일그러진다. 크로포드는 남자에게 거듭 맥주를 권한다. 호주의 내륙 오지(outback) Tiboonda, 학교 교사 존 그랜트는 흙먼지 풀풀 날리는 시골 학교를 이제 막 떠나왔다. 그에게는 6주 동안의 크리스마스 휴가가 주어졌다. 시드니로 날아갈 비행기를 타기 위해 그는 인근 소도시 Bundanyabba에서 하루를 보내야 한다. 술집에서 만난 이 경찰관은 친절한듯 보이지만 그 태도는 꽤나 위압적이다. 존은 내키지 않으면서도 이 낯선 도시에서의 하룻밤을 술집 말고 달리 보낼 데가 없다.

  그가 크로포드의 소개로 들어간 음식점 한 켠에서는 동전 도박장이 열렸다. 두 개의 동전을 던져서 둘 다 앞면이냐, 뒷면이냐에 따라 돈을 따는 단순한 도박. 남자들은 도박장의 열기에 취해있다. 존은 심심풀이로 도박에 참가한다. 행운의 여신이 연달아 미소를 짓는다. 단숨에 400달러를 따낸다. 좀 더 운이 따라준다면, 그를 교육부의 노예로 만든 1000달러의 보증금을 갚을 수 있다. 휴가비까지 탈탈 털어서 도박판에 건다. 그가 도박장을 나왔을 때, 그의 수중에는 담배 몇 개비와 약간의 동전이 전부였다. 존 그랜트는 말 그대로 분단야바에 발이 묶인다. 과연 그는 여자 친구가 있는 시드니에 갈 수 있을까...

  Ted Kotcheff 감독의 영화 'Wake in Fright(1971)'는 호주 출신의 작가 Kenneth Cook의 동명 소설(1961)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케네스 쿡은 자신이 머물렀던 Outback의 소도시 Broken Hill(영화에서 가상의 도시 분단야바로 형상화됨)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소설로 썼다. 그는 내륙 오지의 황량한 환경과 그곳 사람들의 무지와 야만성을 지독히도 싫어했다. 소설은 그러한 케네스 쿡의 날것 그대로의 감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영화는 143쪽 가량의 중편 소설을 충실히 재현한다. 시나리오 작업은 자메이카 출신의 영국인 Evan Jones가, 감독은 캐나다 출신의 Ted Kotcheff가 맡았다. 참으로 기묘한 조합이었다. 두 사람은 호주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으나, 이 이방인들의 눈으로 바라본 호주 내륙과 사람들에 대한 묘사는 전율을 느낄 정도로 사실적이다.

  동전 도박으로 파산한 존은 남은 돈을 그러모아 맥주 한 잔을 들이킨다. 그 술집에서 만난 중년의 남자 하인즈는 존에게 호의를 베풀며 자신의 집에 머물 것을 권유한다. 존은 하인즈의 집에서 거친 광부 조와 딕, 알콜 중독자 의사 닥을 만난다. 무지막지하게 술을 마시면서 그들은 곧 친구가 되고, 캥거루 사냥에 가기로 의기투합한다. 이 네 사람이 캥거루 사냥에서 보여준 잔혹함과 광기는 야만인의 그것과 다를 바 없다. 이 장면은 실제로 캥거루 사냥꾼들을 섭외해서 찍었다. 캥거루들은 난사된 총알에 의해 피투성이가 되고, 칼에 의해 난도질 당한다.

  호주 뉴 웨이브 영화의 신호탄이 된 Nicolas Roeg'Walkabout(1971)'은 백인의 시각으로 호주 자연의 원시성을 이상화한다. 영화 'Wake in Fright'에서 자연은 경외와 찬미의 대상이 아니다. 황량하고 거친 오지 내륙의 풍광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내면을 변화시킨다. '우리'라는 테두리 바깥에 있는 외지인은 차별과 감시의 대상이 된다. 광대한 자연 속에서 통제되지 않은 인간 내면의 본성은 일탈 행위에 무감각해진다. 존 그랜트는 처음엔 야바의 모든 것에 경멸의 시선을 보냈다. 술집을 꽉 채운 남자들의 폭음, 도박장의 미친듯한 열기, 광부 조와 딕의 역겨운 언행, 의사임에도 술 때문에 나락으로 떨어진 닥의 삶. 그런데 문학과 역사를 전공한 존의 지성은 그곳에서 순식간에 야만적 폭력으로 대체된다. 존은 그렇게 '야바'의 사람으로 변해간다.

  호주 내륙의 이 오지 도시는 어떤 의미에서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 곳인지도 모른다. 그것을 이겨내기 위해 술과 도박, 사냥과 같은 오락이 극대화되었다. 이 영화가 보여주는 호주 Outback 사람들의 초상은 결코 과장되거나 과거의 것이 아니다. Pete Gleeson의 다큐 'Hotel Coolgardie(2016)'는 내륙 오지 마을의 주점을 배경으로 그곳 주민들의 상스러운 민낯을 드러낸다. 폭음, 무자비한 살육, 성적 일탈(존과 닥의 동성애를 암시하는 장면이 있다)... 깔끔한 양복 차림의 존 그랜트는 거지 노숙자의 신세가 되어 거리를 헤맨다. 어떻게든 시드니에 가야겠다고 생각한 그는 히치하이킹으로 트럭에 몸을 맡긴다. '시드니'라는 글자가 박힌 트레일러의 기사는 존에게 목적지에 도착했음을 알린다. 그런데 그곳은 시드니가 아니다. 마치 반복되는 악몽처럼 존은 다시, 야바의 역 앞에 서있다. 이 영화의 제목 'Wake in Fright'는 원작 소설을 여는 구절에서 따왔다.

  "May you dream of the Devil and wake in fright.
  (당신이 악몽을 꾸고, 공포 속에서 깨어나길!)"


  오래된 저주의 문구. 원작자 케네스 쿡에게 Broken Hill에서의 삶은 그 저주 같았을까? 호주인들이 쿡의 소설과 그것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를 좋아할 리가 없었다. 호주에서 이 영화는 빠르게 잊혀졌다. 그렇게 세월이 흘러 2004년, 미국 피츠버그에서 폐기 직전의 원본 네거티브가 발견되면서 영화는 기사회생했다. 놀라운 귀환이었다.

  영화의 초반부, 존은 야바행 기차 객실에서 신나게 맥주를 마시며 노래를 부르는 백인 일행을 지나친다. 존이 앉은 자리 건너편에는 조용하게 창밖을 응시하는 원주민이 앉아있다. 그 기차는 상징적인 의미에서 호주라는 국가를 나타낸다. 기차의 주인인 것처럼 행동하는 백인들, 한쪽 구석으로 밀려난 원주민, 그리고 그들 바깥에는 결코 정복되지 않은 자연이 자리한다. 주인공 존 그랜트의 여정은 호주인의 어두운 내적 심연과 맞닿아 있다. 원작자 케네스 쿡은 문명화된 도시의 외관 속에 교양인으로 살아간다고 믿는 호주인들에게 조소를 보낸다. 영화는 호주인의 정체성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는 호주 자연, 그 원시성에 대한 근원적 성찰을 담아내었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호주 뉴 웨이브 영화들 리뷰

1부 호주 뉴 웨이브의 신호탄, Walkabout(1971)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3/walkabout1971.html

2부 호주인의 정체성과 자연: Sunday Too Far Away(1975), The Last Wave(1977)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3/sunday-too-far-away1975-last-wave1977.html

3부 발굴된 호주 여성의 서사, My Brilliant Career(1979)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3/australian-new-wave-3.html

4부 호명된 국민, 재조명된 호주인 서사:
Breaker Morant(1980), Bruce Beresford
Gallipoli(1981), Peter Weir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3/breaker-morant1980-gallipoli1981.html


***다큐 'Hotel Coolgardie(2016)'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5/hotel-coolgardie2016.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