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살 노라는 오빠와 함께 이제 막 새로운 학교에 들어서는 참이다. 아빠의 품에서 떨어지고 싶지 않다. 눈물이 계속 난다. 그래도 오빠가 있으니까 조금은 마음이 놓인다. 점심 시간에 급식실에서 오빠와 같이 앉으려는데, 선생님이 그러지 말라고 한다. 새로운 친구를 사귀어 보란다. 다행히 말을 걸어오는 애들이 있다. 운동장에서 함께 놀면서 조금씩 친해진다. 저기,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오빠가 있다. 뭔가 분위기가 안좋은 것 같다. 오빠는 가까이 오지 말라며 막아선다. 키 큰 남자애가 오빠를 괴롭히는 것을 보니 마음이 너무 아프다. 이걸 어쩌지...

  불안하게 흔들리는 카메라는 어린 노라의 심정을 그대로 보여주는듯 하다. 학교는 노라와 아벨 남매가 적응해야할 정글이다. 노라가 또래 아이들의 무리에 순조롭게 들어가는 것과는 달리, 아벨은 어려움을 겪는다. 신체적 위협과 욕설,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아벨은 맨 아래로 금새 밀려난다. 어떻게든 오빠를 돕고 싶은 노라는 선생님을 부르고 아빠에게 이야기 한다. 괴롭히는 녀석을 어른들이 혼내주면 오빠가 편해질 거야... 그런데 노라의 생각과는 다르게 일이 흘러간다.

  벨기에의 신인 감독 Laura Wandel의 데뷔작 'Playground(2021)'는 어린 남매의 괴로운 학교 생활을 따라간다. 영화는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괴롭힘과 따돌림 문제를 사실적으로 직시한다. 물론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있다. 교사는 얻어맞는 아벨을 떼어놓고, 잘못을 저지른 아이에게는 주의를 준다. 문제는 교사의 눈에 보이지 않는 대부분의 시간이다. 괴롭히는 녀석들은 영악하고 교활하다. 적당히 신경을 긁고 수치심을 줄 수 있는 지점을 파악해서 행동에 옮긴다. 아벨은 전보다 더 안좋은 처지에 놓인다.

  이 영화의 원제는 'Un monde', '세계'라는 뜻이다. 완델은 인간 관계의 심리적 역동성을 아이들의 놀이터에서 완벽하게 구현한다. 강자와 약자, 또래 집단과 인정의 문제. 그것은 어린 아이들의 학교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이제 직장 내 괴롭힘 문제는 법률의 영역에까지 들어왔다. 어른들의 사회는 또 다른 의미의 'Playground', '세계'이다. 우리는 이미 어린 시절에 그곳에서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을 나름대로 체득했다. 마치 거푸집 같은, 어쩌면 평생을 두고 반복해서 써먹을 생존 전략, 대인 관계의 틀이기도 하다. 영화 속 노라와 아벨 남매는 힘겹게 그것을 배우는 중이다.

  아벨이 겪는 시련은 노라의 세계를 뒤흔든다. 다정했던 오빠와는 사이가 멀어지고, 친구들은 노라를 따돌린다. 노라에게 그보다 더 견딜 수 없는 건 따로 있다. 오빠가 또래 집단에서의 생존을 위해 더 약한 아이를 괴롭히고 있다는 사실이다. 옳고 그름에 대한 확고한 감각,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노라에게 학교의 운동장은 혹독한 시험장이 된다. 노라가 평균대에서 흔들거리며 균형을 찾듯, 수영 강습 시간에 물에 뜨는 법을 배우듯, 그렇게 노라가 놀이터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까?

  'Playground'는 결코 아이들을 위한 영화가 아니다. 이 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어떤 식으로든 자신이 지나온 어린 시절의 놀이터를 떠올릴 수 밖에 없다. 햇빛이 쏟아지는 한가운데가 아니라 그늘지고 구석진, 남들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운동장의 담벼락에 가만히 기대어 선다. 나는 그곳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아니, 거기에서 더 나아가 이 영화가 던지는 근원적인 물음은 '학교'라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그곳은 아이들이 삶의 규칙을 배우기에 적합한 곳인가? 영민하고 통찰력 있는 여성 신인 감독은 7살 노라의 등 뒤에서 어른들의 서늘한 세계를 돌아보게 만든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