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 탄 기차가 데려다준 곳, 뜻밖의 사랑 이야기가 있는 영화 세 편

'운명의 아이러니(Ирония судьбы, или С лёгким паром!, The Irony of Fate, or Enjoy Your Bath!, 1975)', 엘다 라자노프 감독
'런치 박스(The Lunchbox, 2013)', 리테쉬 바트라 감독
'황무지(Badlands, 1973)', 테렌스 멜릭 감독


1. 소련 시절의 기념비적 로맨틱 코미디, 운명의 아이러니

  소련의 예술 창작 원리인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로맨틱 코미디는 어째 잘 어울리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코미디에 재능있는 엘다 라자노프 감독은 그걸 잘 해내었다. 1977년작 '오피스 로맨스(Служебный роман, Office Romance)'는 애 딸린 이혼남과 나이든 독신녀와의 로맨스를 그린 영화로 큰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그 이전에 만들어진 '운명의 아이러니(The Irony of Fate, or Enjoy Your Bath!, 1975)'는 라자노프를 명실상부한 코미디의 제왕으로 만들어준 작품이다. TV방영용 2부작 영화인 '운명의 아이러니'는 1976년 1월 1일에 시청자들에게 선보였다. 첫 방영 때 1억 명의 소련 시청자가 관람한 이 영화는 쏟아지는 재방영 요청에 2월에 다시 편성되었다. 그 후, 해마다 12월 31일이면 이 영화를 TV에서 틀어주는 것이 소련의 문화적 관습이 되었다. 참으로 소련인들에게 큰 사랑을 받은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모스크바에 살고 있는 노총각 외과의사 제냐는 마음에 둔 아가씨 갈리야에게 청혼을 하려는 참이다. 갈리야에게 자신의 아파트 열쇠를 주며 새해 첫날에 집에 오길 부탁하는 제냐. 그는 한 해의 마지막 날은 늘 절친들과 목욕탕에서 만나는데, 오랜만에 만나서 만취하고 만다. 취한 상태의 친구들은 레닌그라드에 사는 파벨을 비행기에 태워 보내는 대신 제냐를 보낸다. 술에 취한 제냐는 택시 기사에게 주소를 불러주고 아파트에 도착한다. 어떻게 열쇠로 문을 열고 들어가 쓰러져 누워 자는데, 그 집 주인인 나디야는 침대에 누워있는 낯선 남자의 존재에 혼비백산한다. 우연의 일치로 레닌그라드와 모스크바에 같은 모양으로 지어진 아파트가 같은 주소에, 심지어 아파트 열쇠마저 같았던 것이다. 나디야의 집에 오기로 한 약혼자 이폴리트, 제냐, 모스크바에서 제냐를 기다리는 갈리야, 이 네 명의 엇갈린 만남은 어떻게 끝날 것인가...  

  무려 3시간에 달하는 러닝타임을 가진 이 영화는 하나도 지루하지 않다. 노래 사랑하는 러시아 사람들답게 남녀 주인공들이 기타치면서 노래도 여러 곡 부른다. 무엇보다 제냐와 나디야 역을 맡은 안드레이 미야코프와 바르바라 브릴스카의 호흡이 아주 좋다. 브릴스카는 폴란드 출신의 배우로 라자노프 감독이 이 영화를 위해 특별히 캐스팅했는데, 정말로 좋은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는 브레즈네프 시대에 도시마다 찍어낸 것처럼 만들어낸 비슷한 아파트를 소재로 했다. 운명의 장난으로 만나게 된 두 남녀가 사랑에 빠지게 되는 과정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2. 참신하고 세련된 인도 로맨스 영화, 런치 박스

  인도의 리테쉬 바트라 감독의 '런치 박스(The Lunchbox, 2013)'도 예기치 못한 실수가 맺어다준 사랑 이야기를 그린다. 인도의 대도시 뭄바이, 이곳의 직장인들은 자신의 집에서 만든 도시락을 점심마다 배달시켜 먹는다. 남편과의 사이에 딸 하나를 둔 일라는 무관심한 남편의 마음을 돌이키고자 도시락 반찬 만들기에 온힘을 쏟는다. 이웃 아주머니의 도움을 받아 정성들여 만든 도시락은 배달원의 실수로 남편이 아닌 퇴직을 앞둔 홀아비 공무원 사잔에게 배달된다. 일라는 곧 도시락이 잘못 배달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지만, 어쩌다 쓰게 된 쪽지를 주고 받으며 두 사람 사이에는 친밀한 감정이 싹튼다. 그러는 와중에 일라는 남편의 외도를 알게 되고, 결혼 생활에 회의를 느낀다. 일라와 사잔은 만나기로 약속하지만, 사잔은 약속 장소에 나오지 않는다.

  노라 에프론 감독의 '유브갓 메일(You've got mail, 1998)'을 떠올리게 하는 '런치 박스'의 설정은 이메일 보다 구식인 '손편지'이다. 이 의외의 설정이 강력한 유인물로 작용한다는 것은 영화를 보다 보면 알 수 있다. 얼굴도 모르는 두 사람이 매일 도시락 속에 넣은 편지를 확인할 때의 설레임과 짜릿함이 스크린 너머 그대로 전해진다. 일라와 사잔이 편지를 통해 나누는 추억과 일상은 점차 서로의 마음을 물들인다. 마치 예기치 못한 교통사고를 당하는 것처럼 사랑이 그렇게 찾아온다. 뭄바이의 독특한 도시락 배달 시스템을 엿볼 수 있는 것도 덤이다. 아마도 이 영화에서 잊을 수 없는 대사는 사잔의 후임 셰이크가 하는 대사일 것이다.

  "때론 잘못 탄 기차가 우릴 목적지에 데려다 줍니다."


3. 낯설고 기이한 종착지, 황무지

  '운명의 아이러니'와 '런치 박스'의 주인공들이 잘못 탄 기차 같은 실수 때문에 사랑의 목적지에 이르게 되는 것과는 달리, '황무지(Badlands, 1973)'의 종착지는 낯설고 기이하다. 테렌스 멜릭(Terrence Malick)의 데뷔작인 이 영화는 아서 펜의 1967년작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Bonnie and Clyde)'의 마일드 버전 같은 느낌을 준다. 사우스 다코타주의 시골 마을, 억압적인 아버지와 살고 있는 15살 홀리(시시 스페이식 분)는 25살의 청소부 키트(마틴 신 분)와 알게 된다. 홀리는 제임스 딘을 닮은 키트에게 끌리지만, 홀리의 아버지는 둘의 만남을 반대한다. 홀리의 아버지에게 적대감을 드러낸 키트는 총을 쏘아 죽음에 이르게 만든다. 결국 시신과 집을 불태우고 정처없이 길을 떠나는 홀리와 키트. 이 괴상한 한 쌍은 사람들의 눈을 피해 몬태나주의 황무지로 들어간다. 황무지에서 보낸 둘만의 평화로운 시간도 잠시, 곧 현상금 사냥꾼을 비롯해 경찰과 주방위군이 그들의 뒤를 쫓는다.

  좋아하는 여자의 아버지를 죽인 남자, 그리고 그 남자와 길 떠나는 여자. 이 잘못된 인연의 끝에 무엇이 기다릴지 추측하는 일은 쉽지 않다. '황무지'는 테렌스 멜릭이 그려낸 1970년대 미국의 황폐한 내적 자화상 같다. 홀리의 아버지와 집으로 상징되는 기성 세대의 권위와 가부장적 질서에 거침없이 총질을 하고 불까지 질러 멸실에 이르게 하는 장면은 참혹하다. 홀리와 키트가 마주하는 몬태나의 황량한 풍경들은 마치 베트남전의 패배가 남긴 젊은 세대의 내적 트라우마처럼 보인다.

  잔잔하고 아름다운 선율 속에 펼쳐지는 이 기이한 범죄 스릴러 영화는 쓰디쓴 뒷맛을 남긴다. 어디로 가야할지 목적지도, 방향성도 잃은 세대. 멜릭은 서정적인 풍광 속에 정신병적 징후를 지닌 키트와 철부지 십대의 로맨스를 짜넣는다. 잘못된 만남은 어그러진 여정으로 이어지고, 도착한 곳에서 보게 되는 것은 파멸일 뿐이다. 테렌스 멜릭이 '황무지'에서 보여준 영화적 감성을 계속 유지했더라면 나았을 텐데, 그의 2011년작 'The Tree of Life'를 보고 있노라면 한숨만 나온다. 멜릭의 영화 종착지는 의미없는 공허함으로 가득하다. 어쨌든 이 '황무지'와 '천국의 나날들(1978)'은 볼만한 영화이므로 멜릭의 작품에 관심이 있는 이라면 챙겨볼 것을 추천한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사진 출처: en.unifrance.org


***사진 출처: themusichall.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