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영화 'The Sleeping City(1950)'의 결말 부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The Sleeping City'는 특이한 도입부를 가지고 있다. 영화의 주연 배우인 리처드 콘테가 영화 속 사건과 실제 뉴욕시의 벨뷰 병원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고 설명하는 내레이션이 나온다. 이 영화가 배경이 된 뉴욕시와 벨뷰 병원(Bellevue Hospital)의 평판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시장의 입장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이 영화는 어떤 영화인가? 영화는 뉴욕 벨뷰 병원의 인턴이 의문의 총격을 당하는 것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수사 당국은 병원 내부의 사정을 알아보기 위해 형사 프레드(리처드 콘테 분)를 의사로 잠입시킨다. 그는 주변 상황을 면밀하게 관찰해 나간다. 프레드는 곧 매력적인 간호사 앤, 사교적인 엘리베이터 기사 팝과 친해진다. 그러던 중에 같은 방을 쓰는 동료 의사의 자살 사건이 일어난다. 동시에 프레드에게도 어둠의 손길이 다가온다. 팝에게 진 도박빚 때문에 한두 번 써주기 시작한 마약 처방전은 계속 늘어난다.
조지 셔먼 감독의 'The Sleeping City'는 명백히 줄스 다신 감독의 'The Naked City(1948)'의 연장선상에 있는 영화라고 볼 수 있다(두 영화 모두 Universal Pictures에서 제작했다). 뉴욕이라는 도시를 다루고 있으며, 대도시의 풍경 속에 '밤'이 아닌 '대낮'에 범인과의 추격전이 이루어진다. 일종의 도시 탐구 필름 느와르의 면모를 보여주는 이 영화는 다큐멘터리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당시로서는 매우 현대적이고 세련된 벨뷰 병원의 내부 모습을 포함해 1950년대 뉴욕의 풍광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멋진 외관의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범죄의 양상은 은밀하고 복잡하다. 영화 속 '의사'는 직업적 스트레스 때문에 도박과 우울증, 약물 중독에 취약한 상황 속에 놓여있다. 오늘날에도 의사들의 약물 중독은 민감한 문제로 다루어지는데, 1950년대의 상황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므로 영화의 내용이 '사실 무근'임을 알리는 도입부 내레이션은 외부의 압력으로 어쩔 수 없이 들어간 것이다.
주인공 프레드는 기숙사 룸메이트 스티브가 재정적인 압박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에게는 또한 가난한 간호사 여자 친구 캐시가 있다. 스티브의 자살은 캐시에게 큰 충격이 되는데, 캐시는 자신의 남자 친구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지 잘 모른다. 이 가련하고 순수한 간호사 아가씨는 추악한 범죄의 연결 고리에서 동떨어진 희생자로 묘사된다. 이와는 달리 프레드와 같은 병동에서 근무하며 애인처럼 가까워진 앤은 전형적인 팜므 파탈(femme fatale)의 모습을 보여준다. 앤은 영화 초반부 총을 맞고 사망한 인턴을 비롯해 스티브와도 모종의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암시된다. 치명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앤은 새로운 먹잇감이 될 프레드에게도 접근한다. 프레드는 앤이 도박 자금을 의사들에게 빌려준 댓가로 마약을 얻어내는 팝과 공모하고 있음을 알아챈다. 앤의 돈에 대한 갈망은 자신이 유혹한 남자들을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물론 앤에게도 사정은 있다. 이혼녀로 아이를 홀로 키우는 싱글맘 앤에게 돈은 목숨과도 같다. 그렇게 일그러진 모정은 범죄에 스며든다.
앤과 함께 의사들의 약점을 이용해 마약 유통 범죄에 끌어들이는 엘리베이터 기사 팝은 늙고 추악한 얼굴의 악인을 보여준다. 그가 영화의 마지막에 프레드와 쫓고 쫓기는 추격전을 벌이는 장소는 병원의 거대한 지하실이다. 크고 구불구불한 파이프들이 뱀처럼 끝없이 이어진 공간 속에서 형사와 범죄자는 최후의 결전을 벌인다. 최신식 병원의 지하 공간은 마치 욕망의 하수구처럼 묘사된다. 'The Naked City'의 살인범이 백주의 도시의 다리 맨 꼭대기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던 것처럼, 팝은 병원 옥상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그곳에서 보이는 한낮의 도시 풍경은 정물화처럼 평온하게 흐르고 있다.
이 영화는 필름 느와르에서는 볼 수 없었던 '병원'이라는 의외의 공간, 그리고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범죄 사건을 담았다는 점에서 파격적이다. 조지 셔먼 감독은 프레드가 병원에 부임해서 의사들의 세계에 적응하는 일련의 과정을 짜임새 있게 제시한다. 수술방에 들어간 프레드는 학술회의 참가자처럼 동료 의사의 수술 장면을 참관한다. 의사들이 무리지어 내려가는 수직의 계단을 부감 쇼트로 찍은 장면은 '병원'과 그곳에서 일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의 권위를 그 자체로 드러낸다. 영화는 병원이라는 공간 속에 내재된 구조적인 문제들이 인간적인 결함과 결합했을 때, 어떻게 범죄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건조하게 묘사한다.
'The Sleeping City'가 보여주는 병원은 결코 온기가 느껴지는 곳이 아니며, 환자들의 고통이 깔리는 배경 뒤에 돈에 대한 집착과 뒤틀린 욕망, 그로 인해 불안하게 흔들리는 인간의 모습이 감춰진 장소이다. 영화는 자신의 임무를 완수한 프레드가 홀로 거리를 걸어가는 가운데, 거대한 성처럼 서있는 병원을 비춰주며 끝난다. 그 성채의 위엄을 손상시킨 범죄자는 제거되었다. 빠지고 부서진 부품을 교체하듯 새로운 사람들이 그곳의 일원으로 채워질 것이다. 이 필름 느와르 영화는 도시 속 인간의 삶을 탐구한 작은 보석처럼 보인다.
*사진 출처: pinterest.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