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붉은 가막살 나무(Калина красная, 1973)'의 결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는 교도소에서 합창 공연을 펼치는 재소자들의 모습에서부터 시작한다. 절도죄로 형기를 마치고 나온 예고르(바실리 슉신 분)는 펜팔로 알게된 여자 친구 류바를 찾아간다. 평화롭고 한적한 농촌 마을에서 류바는 노부모와 함께 살고 있다. 류바와의 미래를 꿈꾸는 예고르. 그러나 그는 전과자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냉대와 편견과 마주하고 실망하게 된다. 과연 예고르는 과거의 그림자에서 벗어나 평범한 일상의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바실리 슉신(
Vasily Shukshin) 감독의 1973년작 '붉은 가막살 나무(Калина красная)'는 구 소련 영화들 가운데 경이적인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개봉 첫해의 관객은 6250만명에 달했다. 소련은 국가가 영화사를 설립하고 운영했으며, 영화의 상영 및 배급도 국가의 관리하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로 인한 수익은 모두 국고로 귀속되었는데, 소련 영화의 수익률은 대략 900%정도 였다. 당시 소련 관객들에게 높은 인기를 누렸던 장르는 '코미디'였다. 코미디 영화의 감독들은 높은 수익을 내는 영화를 만들었기 때문에 대우도 남달랐다. 그런 현실 속에서 슉신의 영화가 이룬 성취는 특별해 보인다. 출소한 재소자의 귀향이야기를 담은 영화에 왜 소련의 관객들은 그토록 호응했던 것일까? 사실 러시아인이 아닌 외국인의 시선으로 이 영화를 해석하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예고르는 류바의 마을에 와서 붉은 가막살 나무 숲속을 거닐며 새들에게 말을 건넨다. 그는 그 나무를 무척 좋아하는 것처럼 보인다. 붉은 가막살 나무는 자작나무처럼 흰색의 목질부를 갖고 있으며 작고 붉은 열매들이 열린다. 러시아어로 '칼리나 크라스나야(Kalina krasnaya, 영화의 제목이기도 함)'라고 불리는 이 나무는 러시아 민속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상징성을 띤다. 특히 열매의 '빨강색'은 사랑과 아름다움, 젊음과 열정, 슬픔과 고통에 이르는 정서까지 폭넓게 포함한다. 영화 속에서 예고르는 붉은색 셔츠를 입고 나온다. 그것은 가막살 나무의 열매색이다. 예고르에게는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을 의미하는 색이며, 농촌 출신인 그의 근원으로서의 자연을 떠올리는 색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붉은색은 예고르에게 슬픔이기도 하다. 그는 류바에게 자신의 별명을 '슬픔(grief)'으로 소개하는데, 이것은 범죄와 이어진 어두운 과거와 정상적인 삶의 경로에서 벗어난 이의 고통과도 맞닿아 있다. 

  그 고통은 예고르가 류바와 함께 자신의 어머니를 찾아간 장면에서 정점을 이룬다. 그는 류바에게 사회복지사인 것처럼 위장해서 노파의 안부를 물어달라고 부탁한다. 아들 세 명을 전쟁에서 잃은 노파는 나머지 아들 하나는 20년 동안 만날 수 없었다고 말한다. 차마 어머니의 얼굴을 볼 수 없었던 예고르는 나중에서야 류바에게 사실을 털어놓고 흐느낀다. 원래 예고르의 어머니 역할을 하기로 했던 배우가 있었으나, 늙은 배역의 연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슉신은 마을 주민 가운데 한 명을 섭외했다. 실제로 아들 셋이 전쟁터에서 돌아오지 못한 노파는 자신의 이야기를 그대로 했고, 슉신은 그것을 자연스럽게 영화 속에 담았다. 자식을 잃은 슬픔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노인의 연기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소련 당국이 '애국 전쟁'이라는 명칭을 붙이며 영광스런 승리로 포장한 그 전쟁은 많은 소련인들에게 고통스러운 과거였다. 노파는 아들의 죽음으로 자신이 받는 연금에 대해서도 말하는데, 그것은 너무나도 적은 액수였다. 그 장면에 대해 검열 당국은 불편한 심기를 보였고, 슉신은 편집 과정 내내 당국과 지루하고 치열한 싸움을 이어가야만 했다.

  출소한 범죄자가 착실하게 갱생의 길을 가면서 희망적인 미래를 보여주는 것, 그것이 당국이 원하는 이상적인 그림이었다. 그러나 슉신은 예고르를 예정된 비극으로 이끈다. 과거 조직원들은 자신들과 함께 하지 않으려는 예고르를 응징한다. 그가 막 트랙터로 씨를 뿌린 밭의 가장자리 풀숲에서 예고르는 피를 흘리며 류바의 품에서 숨을 거둔다. 흰색의 셔츠를 붉게 물들이는 예고르의 피는 그렇게 '칼리나 크리스나야' 열매색이 가진 또 다른 의미인 슬픔과 고통에 도달한다. 슉신의 아내이기도 했던 류바 역의 배우 리디아 페도세예바는 죽어가는 예고르를 안고 통곡하는데, 그 장면이 더 슬프게 보이는 이유가 있다. 이듬해인 1974년, 새로운 영화를 촬영 중이던 슉신이 사고로 세상을 떴기 때문이다.

  '붉은 가막살 나무'에는 전쟁의 상처, 좌절된 꿈, 거기에 국경 지대의 소박한 농촌 마을과 자연의 풍광이 더해져 있다. 슉신 자신이 각본을 쓴 이 영화는 경제 불황의 터널을 지나는 당시의 소련인의 감성과 크게 공명했다. 영화의 엄청난 흥행에는 당시 관객들의 관객성, 거기에 러시아인들만이 느낄 수 있는 근원적 정서도 작용했다. 그런 이유로 이 영화를 외국인의 시선으로 단지 영화적 의미만을 분석하는 것은 피상적인 작업에 그치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영화 속 예고르를 통해 슉신이 보여주였던 자연과 땅, 농촌의 소박한 사람들에 대한 깊은 애정은 언어와 민족성의 장벽을 뛰어넘어 전달된다. 그렇게 오늘날의 관객은 시인이며 소설가, 배우이며 감독이었던 바실리 슉신의 유작 '붉은 가막살 나무'를 통해 러시아의 정신과 만난다. 



*사진 출처: mosfilm.itcenter.pro   영화 '붉은 가막살 나무' 촬영 현장의 바실리 슉신(붉은색 셔츠)과 아내 리디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