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지 않은 일이다. 누구든 자신의 과거로부터 벗어난다는 일은. 왕 샤오슈아이의 2014년작 '틈입자(闖入者, Red Amnesia)는 어느 노부인의 길고 어두운 과거의 그림자에 대해 이야기한다. 베이징의 낡은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 덩 부인의 일상은 늘 바쁘다. 결혼한 큰 아들 가족을 비롯해 혼자 살고 있는 막내 아들의 먹을거리를 챙기고, 요양원에 있는 노모를 방문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버거워 보이는 핸드 카트를 끌고 다니며 악착스럽게 자식의 삶에 관여하는 덩 부인에게 본인의 삶이란 없어 보인다. 집에서 혼자 식사할 때, 죽은 남편을 떠올리며 대화하는 것이 덩 부인의 가장 개인적인 시간이다. 그런 변함없는 일상에 어느 날부터 걸려온 장난 전화가 균열을 일으킨다. 아무 말도 없이 끊어버리는 전화는 계속 이어지고, 창문으로는 돌이 날아온다. 큰 아들의 집 문 앞에는 쓰레기가 투척된다. 도대체 누가, 왜 그런 장난을 하는 것일까?

  '상하이 드림(靑紅, 2005)', '11송이 꽃(我十一, 2011)'에 이어 나온 왕 샤오슈아이의 '틈입자'는 그의 문화대혁명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이다. 사실 이 영화를 그 연작의 마지막으로 보기도 어려운 것이 그의 2019년작 '아들(地久天长)'에서도 문혁은 변주된 주제로 이어진다. 문화대혁명이 이 감독에게 그토록 중요한 영화적 주제가 된 이유는 왕 샤오슈아이의 어린 시절에서 찾을 수 있다. 문혁 시기의 '하방(下放)'은 대도시 출신의 지식인과 중산층들에게 지방과 시골로의 집단적 이주를 강제했다. 그의 가족도 상하이에서 귀주 지역으로 이주했고, 그는 13살이 되었을 때에야 그곳을 떠날 수 있었다. 그 시절의 궁핍하고 고통스러웠던 가족의 삶은 왕 샤오슈아이에게 강렬하게 각인되었다. 그는 '청홍'에서는 상하이로의 귀환을 꿈꾸는 시골 마을 일가족을, '아들'에서는 문혁 시절의 고통스러운 기억과 화해하는 오늘날의 구세대를 그린다. 어떤 면에서 '틈입자'는 그 가운데에 자리한 연결 고리와도 같은 작품이다.

  영화는 계속된 장난 전화에 불안과 혼란을 느끼는 덩 부인의 마음을 따라간다. 발신자 추적 전화기나 경찰에 신고하는 것으로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덩 부인은 문득 얼마 전에 들은 짜오의 죽음을 떠올린다. 귀주에서 살았던 문혁 시기, 둘째를 가지고 있었던 덩 부인은 상하이 이주권을 두고 짜오의 가족과 경쟁했다. 그것은 단지 원래 살던 고향으로 간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았다. 중국의 '후커우(戶口)' 제도는 출생지에 따라 학교와 직업, 주택 소유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대판 신분제도나 다름없다. '청홍'에서 청홍의 일가족이 상하이로 필사적으로 귀환하려고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덩 부인은 태어날 둘째의 미래를 위해서 이주권을 얻으려 애를 쓴다. 열심한 당원이었던 짜오를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비방하는 서한을 당국에 써보냈고, 결국 이주권은 덩 부인의 차지가 된다. 덩 부인의 자녀들이 누리고 있는 대도시에서의 안온한 일상은 그런 과거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제 덩 부인을 불안하게 만드는 전화는 더이상 '장난'이 아닌 것이 된다. 덩 부인은 그것이 죽은 짜오의 혼령이 과거의 과오에 대해 사죄를 요구하기 위해 걸어온 전화라고 생각한다. 그런 덩 부인의 주변에는 젊은 청년이 그즈음 기웃거리기 시작한다. 고장난 족욕기를 고치는 길을 동행해준 그 청년에게 덩 부인은 식사를 대접하지만, 청년은 덩 부인의 사진첩을 갈기갈기 찢어놓고 달아나 버린다. 덩 부인은 마침내 과거로의 여행을 결심한다. 귀주에 남아있는 짜오 가족을 찾아가서 용서를 빌기로 마음 먹은 것이다.

  고통스러웠던 과거로의 여행은 2019년작 '아들'에서도 반복된다. 어린 아들의 죽음을 잊고자 다른 도시로 떠났던 부부는 노년이 되어 그곳을 방문한다. 그들은 아들을 죽게 만든 가해자의 가족을 용서하고 화해한다. 그러나 '틈입자'의 덩 부인의 여행은 그렇게 끝나지 않는다. 사죄와 화해의 시도는 거부당한다. 왕 샤오슈아이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옥상의 열려진 창문을 오랫동안 보여준다. 그것은 한 개인의 과거의 기억과 역사는 열려진 통로를 통해 어떤 식으로든 현재와 이어짐을 의미한다. 사람들이 망각하고 부인하려고 해도 과거는 현실 속에 흘러내리며 영향을 끼친다. 왕 샤오슈아이는 문혁이라는 길고 어두운 그림자가 오늘날의 중국인들에게 드리워져 있음을 그렇게 '틈입자'의 덩 부인을 통해 보여준다.

  이 영화는 베니스를 비롯해 해외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았다. 덩 부인 역을 연기한 류종의 연기가 아주 좋다. '틈입자'가 가진 나름의 묵직하고 성찰적인 메시지가 호소력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왕 샤오슈아이의 문혁 연작은 이제 그만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는 자신의 개인적 경험이 가진 의미를 계속된 영화 작업으로 충분히 보여주었다.


  '청홍'과 '아들'에 이어 '틈입자'는 내가 왕 샤오슈아이의 영화를 보고 쓴 세 번째 리뷰이다. 이제 왕 샤오슈아이는 과거의 '문혁'이 아니라 현재의 중국을 이야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북경 자전거(Beijing Bicycle, 2001)'를 만들었을 때의 초심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창작자로서 오늘날의 중국인들의 삶과 그들의 이야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북경 자전거'가 북경의 지저분한 뒷골목을 보여주었다는 이유로 중국 당국의 탄압을 받았던 기억 때문일까? 왕 샤오슈아이는 공인된 역사적 과오인 '문화대혁명'으로 회귀해서 도통 현실로 나올 생각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가 과거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끊고, 열려진 창문으로 오늘날의 중국을 볼 수 있기를, 그리하여 다음 작품에는 그 현실의 풍경이 담겨져 있기를 기대한다.



*사진 출처: en.hkcinema.ru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